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ircular art using a numeral operation for the mathematical gifted - Focused on the design of a circle using GSP -

초등수학 영재학생의 자연수의 연산을 활용한 원형 디자인 - GSP를 활용한 원 디자인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2.03.12
  • Accepted : 2012.04.10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In this paper, we developed teaching learning models using a numeral operation for the mathematical gifted focused on the design of a circle using GSP and investigated effects of this models. This model gave gifted-students to be able to produce creative outputs with mathematical principles and practicality and beauty of mathematics.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ly, a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improves a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s analytic thinking and deductive inference. Secondly, a circular design using GSP helps gift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abstract rules because mathematical patterns was represented visually by a circular design. Lastly, a circular design using a numeral operation is helpful to gifted students revealing to creativity and beauty of mathematics.

본 연구는 영재 교수 학습 과정에서 초동영재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 발견식 탐구식 학습을 실시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수학적 원리와 수학의 심미성을 갖는 창의적인 산출물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형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나타난 특징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발된 영재 교수 학습 모형은 초등수학 영재학생들에게 자료를 통찰하는 능력과 분석적 연역적 추론 능력과 같은 수학적 창의성을 발현하게 한다. 둘째, GSP를 활용한 원형 디자인은 초등수학 영재학생들에게 수학적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추상화된 규칙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자연수의 연산을 활용한 원형 디자인은 초등수학 영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심미성과 창의성을 발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계영희 (2004). GSP를 활용하여 투시화법으로 작도한 펜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8(1), 249-255.
  2. 계영희 (2005). GSP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작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9(1), 319-320.
  3. 계영희.김종민 (2008). GSP를 활용한 한국전통문양의 테셀레이션 작도. 한국수학사학회지, 21(2), 71-80.
  4. 계영희.오진경 (2006). 카오스 관점에서 본 르네상스의 수학과 미술. 한국수학사학회지, 19(2), 59-76.
  5. 김홍원.김명숙.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I )-기초연구편-. 연구보고 CR 96-26. 한국교육개발원.
  6. 문철 (2003).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서 프랙탈 구조의 활용 가능성 연구. 디자인학 연구, 17(1), 211-220.
  7. 박종률 (2005). 쌍곡선기하에서 타일링의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창의적 사사교육보고서.
  8. 박종률 (2008). 수학영재교육길잡이. 전남대학교출판부
  9. 박종률 (2006). 구면과 쌍곡면에서 유사정규 타일링의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창의적 사사교육보고서.
  10. 박종률 (2008) 수학영재교육길잡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1. 신희영.고은성.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 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12. 양종인.박종률 (2007). Penrose tiling에 대한 성질과 그 구성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31, 83-92.
  13. 이강섭.심상길 (2007). 교구를 이용한 활동에서 창의성 평가를 위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2), 227-237.
  14. 이경화 (1999). 교수학적 변환론의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6(1), 203-213.
  15. 이규봉 (2001). 체험을 통한 수학교육 -프랙털과 무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1), 29-36.
  16. 임해경.박은영 (2002).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3(2), 563-589.
  17. 조한혁 (1995). 프랙탈 수학과 카오스. 한국수학사학회지, 8(1), 61-68.
  18. 황혜정 외 (2009). 수학교육학신록. 서울 : 문음사.
  19. Devlin, K. (1994). Mathematics: The Science of patterns scientific american library. 허민, 오혜영 옮김 (1996). 수학: 양식의 과학, 경문사.
  20. Farmer, D. W. (1996). Groups and symmetry: A guide to discovering mathematics. America Mathematical Society.
  21. Kalajdzievski, S. (2008). Math and art: An introduction to visual mathematics. CRC Press. New York.
  22. NCTM (1989). Cum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Reston, VA: NCTM.
  23. Papick, I. J. (2007). Algebra connections, mathematics for middle school teachers. Pearson Prentice Hall.

Cited by

  1. 수학 창의적 산출물 의미 척도의 개선 및 창의적 산출물의 구조 탐색 vol.54, pp.4, 2015, https://doi.org/10.7468/mathedu.2015.54.4.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