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Efficiency of Forest Tending Work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Data Envelopment Analysis)기법을 이용한 숲가꾸기 사업의 경영 효율성 분석

  • Woo, Hee Sung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o, Jong Choon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n, Hyun Kyu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and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우희성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
  • 우종춘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 원현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Korea Forest Service is recently focused on forest tending works for promoting in green jobs. The purpose of forest tending work is not only maintaining ecologically stable forest stand structure but also developing commercial forest. These trends are also emphasized by creation of various benefits and expanding carbon absorption in forest management.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Management efficiency of output was analized by the inputs such as labor cost, material cost and expense cost using DEA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19 sub-compartments are appeared to be the optimal in the efficiency of the forest tending works among total 52 sub-compartments. Among those there were 5 sub-compartment 8-0-3, 9-3-3, 6-0-3, 7-0-6, 1-0-5 and 3-0-3 to be considered in the high reference. The high reference areas mean those areas which is well accomplished in forest tending works as the desirable model.

산림청은 산림분야 녹색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숲가꾸기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숲가꾸기의 목표는 숲을 효율적으로 가꾸어 경제림을 조성하고 동시에 생태적으로 안정된 임분구조를 유지하는데 있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를 만들고 탄소흡수원을 확충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낳는 매우 중요한 사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숲가꾸기 사업에 투입되는 여러가지 투입요소(재료비, 노무비, 경비)에 따른 산출물(작업량, 제거본수, 사업면적)의 경영효율성을 DEA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52개 숲가꾸기 대상지 중 19개 지역에서 효율성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횟수가 높은 지역은 6개(소반 8-0-3, 9-3-3, 6-0-3, 7-0-6, 1-0-5, 3-0-3)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지역은 소반 3-0-3으로 나타났다. 참조횟수가 많이 나온 지역의 의미는 비교대상지로부터 숲가꾸기 사업의 벤치마킹을 해야 하는 우수지역으로 선정된 것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종태, 이향미. 2011. DEA를 이용한 강원도 파프리카 수출농가 경영 효율성 분석. 한국식품유통학회 28(2): 1-23.
  2. 국립산림과학원. 2009.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지침서 (ver.1.3). 서울. pp. 32.
  3. 김동현. 2011. 자료포락분석(DEA기법)을 이용한 산림조합 효율성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7.
  4. 김명관. 2012. 지방자치단체 숲가꾸기 사업 수핵역량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6.
  5. 박상만. 2001. DEA를 이용한 경영효율성 평가 -국내 생명보험회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3.
  6. 산림청. 2012. 2011년 임업통계연보(제41호). pp. 484.
  7. 이대희. 2009. 저탄소 녹색성장시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림행정의 역할. 한국행정학회 2009(6): 1181-1201
  8. 이윤경. 2010. 시뮬레이션과 DEA를 이용한 최적 작업조 기반의 Cost Data Table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6.
  9. 이정동과 오동현. 2010. 효율성 분석이론 DEA : 자료 포락분석법. IBbook. 서울. pp. 372.
  10. Banker, R.D., Charnes, A. and Cooper, W.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1. Charnes, A., Cooper, W.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