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hestnut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밤나무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적용

  • Jeon, Jun-Heon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oo, Byoung-Il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Jung-Min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i, Dong-Hyun (Chung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im, Yeon-Tae (Chung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ang, Kil-Nam (Chung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유병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이정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지동현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
  • 김연태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
  • 강길남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chestnut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is developed and would be utilized in order that a manager raising chestnuts checks where the own level of management is and grasps current state of own for the purpose of planning aims and advancing toward a higher level. The developed 'Chestnut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consisted of 3 first classified items, 19 second classified items and 2 product indicator items by the chestnut experts consultative meeting. A survey of 212 farmhouses in 4 major producing area was conducted. Except invalid survey of 53 farmers, 159 farmhouses interviewed were used in analysis. Total score was calculated with sum of each item's scor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verage score is 68.0 and Buyeo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69.7 and Suncheon received the lowest score of 61.8 by regional groups. The higher the group in score, the better it is in output per hectare. But the property of 'the ratio of the best products in total products' does not show a statistical correlation. Generally the score of 'management-based evaluation indicator part' and 'management and sale capacity indicator part' in Suncheon was low because of many elderly people. In par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indicator' a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ion is progressed in over 70% of four regions, when comes to a disease and insect pest control there are rarely farmhouses having a way of crop dusting.

밤 재배 경영주가 스스로 현재의 경영 상태를 체크하여 어느 정도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 파악하고 현재보다 상위의 목표를 설정하여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밤나무 경영 표준진단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표준진단표의 작성을 위해 밤 관련 연구자와 밤 주산단지의 선도농가를 전문가로 선정하여 2번의 자문회의를 거쳤으며, 밤 재배 경영기반, 경영 및 판매능력, 생산기술수준으로 구성되는 3개의 대분류 항목과 19개의 중분류 항목을 선정하였다. 작성된 표준진단표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밤 주산단지인 청양, 공주, 부여, 순천의 4개 지역에서 총 212개 밤 재배 임가의 경영실태를 설문조사 하였고, 이 중 총 159개 임가의 설문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준진단표의 총점은 각 평가 인자 항목의 점수를 합계하여 산출하였는데 전체 임가의 평균 점수는 68.0점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여지역이 69.7점으로 가장 높았고, 순천지역이 61.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점이 높은 그룹일수록 ha당 생산량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체 생산량 중 특품 이상 비율이 증가하는 것과는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 밤재배 경영기반과 경영 및 판매능력에서는 고령의 재배자가 많은 순천지역에서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산기술수준에 대해 살펴보면 4개 지역 모두 70% 이상이 친환경재배를 하고 있어 병해충 방제시 항공 방제를 이용하고 있는 임가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성, 이욱. 2009. 밤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504-511.
  2. 김재성, 정병헌, 주린원, 최수임. 2004. 밤 유통구조 및 경제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12(1): 12-21.
  3. 박용배. 2008. 밤나무 재배 경영실태 분석. 한국임학회지 97(4): 398-407.
  4. 박평식, 정호근, 이상덕. 2001. 농가의 경영진단기법 이용현황과 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28(3): 540-555.
  5. 산림청. 2011. 2010 임산물생산조사. pp. 5-35.
  6. 손철호, 장우환, 장철수. 2004. 밤나무 재배실태와 정책 방향. 농촌경제 27(2): 73-86.
  7. 지동현, 김연태, 강길남, 오도교, 노희경, 김세빈, 곽경호. 2010. 벤치마킹을 이용한 밤 재배 경영모델 개발-충청남도에 적용 가능한 밤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 37(3): 515-522.
  8. 최수임, 김재성. 2006. 친환경 밤의 생산실태 및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5(1): 73-81.
  9. 최수임, 김재성, 주린원, 김철상. 2006. 밤나무재배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5(3): 274-281.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임업관측(밤) 12월호.
  11. 한국학술진흥재단. 2000. 농업경영의 벤치마킹 추진을 위한 경영진단표의 개발. pp. 5-39.
  12. http://amis.rda.go.kr/(농촌진흥청 농업경영종합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