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rest Landscape Management of Therapeutic Forests by Visual Preference on the Simulation of Tree Density

임목밀도 시뮬레이션의 시각적 선호도를 통한 치유의 숲 산림경관 관리

  • Lee, Yeon He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
  • Kim, Ki Weon (Department of Forestry, Environment & Systems, Kookmin University)
  • 이연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과) ;
  • 김기원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at suggesting the reasonable guideline for managing tree density of a therapeutic forest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iciency. To obtain visually preferable tree density for 4 coniferous tree species; Pinus koraiensis, Chamaecyparis obtusa,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the simulations of tree density according to the 3 diameter classes are used. 250 people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and 239 people of them were analyzed. The tree density preferences of 4 tree species are as follows; Pinus koraiensis forest; tree density for trees with Diameter (DBH=D)<25 cm about 816/ha, tree density for trees with 25=D<40 about 400/ha and tree density for trees with 40=D about 277/ha. Chamaecyparis obtusa forest; tree density for trees with D<25 about 625/ha, tree density for trees with 25=D<40 about 625/ha and tree density for trees with 40=D about 400/ha. Pinus densiflora forest; tree density for trees with D<25 about 816/ha, tree density for trees with 25=D<40 about 625/ha and tree density for trees with 40=D about 400/ha. Larix kaempferi forest; tree density for trees with D<25 about 625/ha, tree density for trees with 25=D<40 about 625/ha and tree density for trees with 40=D about 277/ha.

본 연구는 치유의 숲의 치유효과 증진을 위해 대중의 시각적 선호도에 기반 한 적정 임목밀도 관리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잣나무, 편백, 소나무, 낙엽송의 4개 침엽수종에 대해서 3개 주요 직경급별로 임목밀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잣나무의 경우, 일반소경재(D<25)는 임목밀도 약 816본/ha, 우량중경재($25{\leq}D$ <40)는 임목밀도 약 400본/ha, 우량대경재($40{\leq}D$)는 임목밀도 약 277본/ha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편백의 경우, 일반소경재(D<25)는 임목밀도 약 625본/ha, 우량중경재($25{\leq}D$ <40)는 임목밀도 약 625본/ha, 우량대경재($40{\leq}D$)는 임목밀도 약 400본/ha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의 경우, 일반소경재(D<25)는 임목밀도 약 816본/ha, 우량중경재($25{\leq}D$ <40)는 임목밀도 약 625본/ha, 우량대경재($40{\leq}D$)는 임목밀도 약 400본/ha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낙엽송의 경우, 일반소경재(D<25)는 임목밀도 약 625본/ha, 우량중경재($25{\leq}D$ <40)는 임목밀도 약 625본/ha, 우량대경재($40{\leq}D$)는 임목밀도 약 277본/ha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하영. 2003. 피톤치드의 비밀. 역사넷. 서울. pp. 200.
  2. 국립산림과학원. 200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서울. pp. 289.
  3. 국립산림과학원. 2007. 숲 가꾸기 표준 교재 III. 조림 IV. 육림. 서울. pp. 181.
  4. 김기원. 1999a. 보건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자연 휴양림 숲 가꾸기 기법.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2(4): 1-11.
  5. 김기원. 2006a. 산림미학시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295.
  6. 김기원, 전경수. 2006b. 산림요양학. 국민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279.
  7. 김기원. 2006c. 치유요소의 특성과 산림치유에의 활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9(4): 111-123.
  8. 김기원. 2009. 치유 숲길 조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4): 57-66.
  9. 김기원 외 10. 2009. 산림치유. 전나무숲. 서울. pp. 485.
  10. 박민우. 2002. 안면도 자연휴양림 경관관리를 위한 시각 선호도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범진. 2006. 내 몸이 좋아하는 삼림욕. 넥서스 BOOKS. 서울. pp. 159.
  12. 산림청. 2009.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산림청. pp. 272.
  13. 이연희. 2008. 산림경관 선호 특성에 따른 경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연희. 2011. 치유의 숲 산림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降矢英成. 2005. 森林療法ハンドブック. 東京堂出版. 東京. pp. 193.
  16. 谷田貝光克. 1995. 森林の不思議. 現代書林. 東京. pp. 214.
  17. 森本兼, 平野秀樹, 宮崎良文. 2006. 森林醫學. 朝倉書店. 東京. pp. 370.
  18. 上原巖. 2003. 森林療法序說. 全國林業改良普及協會. 東京. pp. 192.
  19. 神山惠三. 1983. 森の不思議. 東京: 岩波新書. pp. 212.
  20. 新貝憲利. 2006. 森林療法と精神療法. 內: 森本兼曩, 平野秀樹, 宮崎良文. 森林醫學. 朝倉書店. 東京. pp. 370.
  21. ト-キン, B.P., 神山惠三. 1980. 植物の不思議な力-フィトンチッド. 講談社. 東京. pp. 205.
  22. 香川隆英. 2006. 森林環境の設計. 內: 森本兼曩, 平野秀樹, 宮崎良文. 森林醫學. 朝倉書店. 東京. pp. 370.
  23. 林文鎭. 1989. 森林浴的世界. 中國造林事業協會. 臺北. pp. 125.
  24. 林文鎭. 1991. 森林美學. 淑馨出版社. 臺北. pp. 281.
  25. Arthur, L.M. 1977. Predicting scenic beauty of forest environment: some empirical tests. Forest Science 23(2): 151-160.
  26. Brown, T.C. and Daniel, T.C. 1984. Modeling forest scenic beauty-concepts and application to Ponderosa pine.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RM-256. pp. 1-35.
  27. Brown, T.C. and Daniel, T.C. 1986. Predicting scenic beauty of timber stands. Forest Science 32(2): 471-487.
  28. Brush, R.O., Williamson, D.N. and Julius Fabos, G.Y. 1979. Visual screening potential of forest vegetation. Journal of Urban Ecology 4(3): 207-216. https://doi.org/10.1016/0304-4009(79)90002-0
  29. Hull IV, R.B. and Buhyoff, G.J. 1986. The scenic beauty temporal distribution method and attempt to make beauty assessments compatible with forest planning efforts. Forest Science 32(2): 271-286.
  30. Tadaki, Y. 1982. Human and Forest. Tokyo: Public Publishing.
  31. Ulrich, R.S.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Apr 27; 224(4647): 420-421. https://doi.org/10.1126/science.6143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