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at Mt. Gunja

군자산 자생 망개나무 임분의 구조적 특성

  • 이경수 (충청북도 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정태영 (충청북도 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박철하 (충청북도 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한주환 (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 ;
  • 이귀용 (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 ;
  •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Berchemia berchemiaefolia is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nd important as a honey resour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opula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at Mt. Gunja in Sogrisan National Park in Chungcheongbuk-do. The B. berchemiaefolia stands belonged to deciduous forests in mid-temperate zone and were $5{\sim}25^{\circ}$ in slope, 30~90% in rock ratio, and 6.37 in soil pH. They had 656 trees within the area of 36 ha and their average density was 18.2 trees per ha. The trees within the stands were 11.8 m in tree height, 22.6 cm in DBH and 56 years old. The number of branched stems was the maximum 8 and 32.9% of the trees were branched. B. berchemiaefolia trees over 12 cm diameter occupied 89.9%, but young B. berchemiaefolia did only 11%. The structure of B. berchemiaefolia sta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Acer pseudo-sieboldianum & A. mono community group, A. pseudo-sieboldianum & Quercus aliena community group, and B. berchemiaefolia & Quercus serata community group. The mean importance value of B. berchemiaefolia was 10.9%, while species diversity of the community ranged 0.77~1.31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ranged 0.78~0.94. The dominance of the community ranged of 0.07~0.29 and the evenness ranged 0.71~0.93. Although B. berchemiaefolia was dominant in the habitat, but the species was already in natural successional stage to Cornus controversa or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산림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며 밀원식물로도 중요한 망개나무 자생지의 환경적 특성과 개체군 및 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군자산의 망개나무 임분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지는 중부기후구 낙엽활엽수림이고, 경사도는 $5-25^{\circ}$, 암석노출율은 30-90%, 토양 pH는 6.37였다. 본 조사 임분 36 ha에서 망개나무는 ha당 18.2본, 총 656개체가 있었으며, 평균수고 11.8 m, 평균흉고직경 22.6 cm, 임령은 최고 56년, 맹아발생 개체비율은 32.9%, 그루당 맹아발생은 최고 8개였다. 이 망개나무 임분은 당단풍나무군락-고로쇠나무군, 당단풍나무군락-갈참나무군, 그리고 망개나무군락군-졸참나무군락의 3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이들 식생단위에서 망개나무의 평균중요치(MIV)는 10.9%, 종다양도는 0.77-1.31, 종내경쟁은 0.78-0.94, 우점도는 0.07-0.29, 균재도는 0.71-0.93이었다. 현재 군자산의 망개나무 임분에서는 망개나무가 우점이지만, 하층목은 층층나무와 느릅나무 등으로 자연천이가 일어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 김홍은, 이창석. 1991. 망개나무 임분의 분포, 구조 및 유지기작. 한국생태학회지 14: 25-38.
  2. 괴산군 통계연보. 괴산군의 통계연보(2003-2007), http://www.goesan.go.kr
  3. 김영하. 2006. 군산시 월명공원 내 청사조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석사논문. pp. 98.
  4. 김용식, 강기호, 박달곤. 1995. 주왕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응용생태연구 8: 81-92.
  5.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pp. 308.
  6. 김준호, 고성덕, 이희선, 오경환, 문형태, 임병선, 조경제, 조도순, 민병미, 서계홍, 이점숙, 정연숙, 이창석, 조강현, 이은주, 류태철, 이규송, 유영한, 김종욱. 2005. 개정판 현대생태학실험. 여천생태연구회. pp. 370.
  7.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토양미생물 실험. 농촌진흥청. pp. 215.
  8. 배행건, 박문수. 2001. 완도 백운봉 상록활엽수림의 산림군락구조 연구. 한국임학회지 90(6): 756-766.
  9.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 -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도서출판 생명의 나무. pp. 140.
  10. 송정호, 이정주, 강규석. 2008. 희귀수종 망개나무 자생집단의 엽형변이. 한국임학회지 97(4): 431-436.
  11. 이경준, 한상섭, 김은식, 김지홍. 1996. 산림생태학. 향문사. pp. 395.
  12. 이준혁. 윤충원, 홍성천. 2005. 망개나무림의 군집구조와 개체군구조. 한국임학회지 94(4): 269-276.
  13. 이창복. 1979. 망개나무의 분포와 이의 보존을 위한 조사. 식물분류학회지 9: 1-6.
  14. 이천용. 2000.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pp. 350.
  15. 이희천, 황인천, 임동옥, 정철운. 2011. 주왕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보전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98-515.
  16. 임경빈. 1993. 천연기념물 -식물편-. 대원사. pp. 542.
  17. 林塋 等. 1987. 原色樹木大圖鑑. 北隆館. pp. 476.
  18. 장진성, 김휘, 장계선. 2011. 한국동식물도감 제 43권 식물(수목)편. 교육과학기술부. pp. 511.
  19. 정영호, 신현철. 1991. 한국산 고광나무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21:251-266.
  20.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21. 河田弘. 1989. 森林土壤學槪論. 博友社. pp. 399.
  22. 홍성천, 김용원, 박재홍, 오승환, 이중효, 김진석. 2005. 실무용 원색식물도감-목본. 동아문화사. pp. 589.
  23.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제 2조 관련) -멸종위기야생동.식물I, II, 급-. 환경부.
  24. Bazzaz, F.A. 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ual Review of Ecological System 10: 351-371. https://doi.org/10.1146/annurev.es.10.110179.002031
  25.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Grown Co. Publ., Zowa. pp. 184.
  26.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7. Herlbert, S.H. 1971. The non concept of the species diversity : a critique and alternative parameters, Ecology 52: 577-586. https://doi.org/10.2307/1934145
  28. Krebs, C.J. 1985. Ecology :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3rd ed. Harper & Row, New York. pp. 800.
  29. Molles. M.C. Jr. 2008. Ec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김재근, 김흥태 역. 생태학, 개념과 적용, 4판. 라이프사이언스. pp. 574.
  30.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31.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117.
  32. Smith, T.M. and Smith, R.L. 2007. Elements of Ecology. 강혜순, 오인혜, 정근, 이우신 역. 생태학, 6판. 라이프사이언스. pp. 622.
  33.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pp. 287-399. In: R.H. Whittaker. ed.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of Communities. Junk Publisher. Hague.
  34.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https://doi.org/10.1126/science.147.365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