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ebris Barrier on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사방공작물의 시공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섭식기능군에 미치는 영향

  • Seo, Jun-Py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Lee, Heon-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서준표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effects of debris barrier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Gimcheon was selected as the survey site as it has relatively stable ecosystem with constantly running water. The survey was conducted 6 tim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debris barrier from February in 2009 to October in 2010. In the first survey before construction, the identified species were 36 species belonged to 22 families, 9 order, 4 class, and 4 phylum. The figure slightly decreased to 30 species belonged to 18 families, 7 order, 2 class, and 2 phylum in the sixth survey after construction. Before construction, occupation ratio of EPT taxa was showed in the following order: Ephemeroptera (50.0%, 85.0%), Trichoptera (35.3%, 10.0%), and Plecopteran (14.8%, 5.0%). After construction, it was showed in the following order: Trichoptera (50.3%, 68.0%), Ephemeroptera (42.1%, 29.4%), and Plecopteran (7.5%, 2.7%). Ephemeroptera was the highest before construction. Trichoptera increased rapidly after construction. The Diversity,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indices were all turned low in the second survey right after the construction. However, each index tended to increase with the course of time. In Functional Feeding Groups, GC type was the highest of 60.7% before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SC(53.1%) and FC(35.4%) increased rapidly and they became stabilized since the third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debris barrier greatly affects the Aquatic Ecosystem right after its construction, but the system becomes stable and returns to normal with the course of time (about 18 months). Therefore, the study considering various influence factors such as time is required to recover completely through further long-term monitoring.

본 연구는 산지계류에 시공한 사방공작물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상시유수가 흐르는 양호한 수질환경을 가진 김천지역의 산지계류 1개소를 선정하였으며, 현장조사는 2009년 2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사방시설물 시공 전후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은 시공 전 1차 조사에서 총 4문 4강 9목 22과 36종이 나타났으나, 시공 후 6차 조사에서 2문2강 7목 18과 30종으로 다소 감소하였다. E.P.T 분류군(종, 개체수)의 점유비율은 시공 전에는 하루살이목(50.0%, 85.0%), 날도래목(35.3%, 10.0%), 강도래목(14.8%, 5.0%)의 크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공 후에는 날도래목(50.3%, 68.0%), 하루살이목(42.1%, 29.4%), 강도래목(7.5%, 2.7%)의 크기 순으로 변화하였다. 다양도지수, 풍부도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사방시설물 시공 직후 2차 조사에서 모두 나쁘게 나타났으나, 이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각 지수들의 값이 다시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시공 전 GC군이 60.7%로 가장 높았고, 시공 후 SC(53.1%), FC(35.4%)군이 급증하였으며, 3차 조사부터 안정화 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대부분의 사방공작물은 시공직후에 계류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약 18개월이 경과한 후에 점차 원래의 모습으로 안정화 되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한. 2003. 오십천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
  2. 노태호, 전동준. 2004. 한국산 수서곤충류 섭식기능군 유형 및 군집 안정성 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7(2): 137-148.
  3. 민희규. 2002. 수달 서식환경과 식이물분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5.
  4. 박영준. 2004. 대전시 도심 하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08.
  5. 배연재, 박선영, 윤일병, 박재홍, 배경석. 1996. 왕숙천 준설구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동. 한국육수학회지 29(4): 251-261.
  6. 배연재, 원두희, 황득휘, 진영헌, 황정미. 2003. 경기도 가평천의 하순에 따른 수서곤충 군집조성과 섭식기능군. 한국육수학회지 36(1): 21-28.
  7. 손세환. 2008. 하천의 인공구조물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하천 식생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2.
  8. 심광섭, 김명은, 임주훈, 서을원, 이종은. 2011. 산불지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섭식기능군 및 군집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100(1): 112-117.
  9. 심예지. 2007. 이안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
  10.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pp. 262.
  11. 이학영. 2011. 댐건설 후 위천수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25.
  12. 이헌호, 이도형, 이기환, 마호섭, 배관호, 김종현. 2009. 황폐계류의 사방공작물 시공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 동물상의 변화-시공 직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4): 353-364.
  13.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주)생태조사단. 서울. pp. 415.
  14. 정유경. 2011. 사방댐의 시공이 계곡생태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0.
  15. 조운석. 2010. Community patterning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treams in response to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5.
  16. 조현덕. 2004. 산지하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분석 및 유형화.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0.
  17. 최영운. 2003. 낙동강 중상류 유역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0.
  18. Hynes, H.B.N. 1963. Imported organic matter and secondary productivity in streams. Proceeding of 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Zoology 4: 324-329.
  19. Lloyd, M. and Ghelord, R.J. 1964. A table for calculation the "Equitability" component of species diversity. Journal of Animal Ecology 33: 217-225. https://doi.org/10.2307/2628
  20.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2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n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2. Merritt, R.W. and Cummins, K.W.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Third Edition.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Dubuque. Iowa.
  23.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24.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5.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26. Wiggins, G.B. 1977. Larvae of the North American caddisfly gener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27. Wilhm, J.I. 1972. Graphic and mathematical analyses of biotic communities in polluted stream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17: 223-252. https://doi.org/10.1146/annurev.en.17.010172.001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