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hange of Turbidity on Forest Stands by Rainfall Characteristics in Small Watershed

산지소유역에 있어서 강우특성에 따른 임분별 탁도 변화

  • Ma, Ho-Seop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
  • Kang, Won-Seok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
  • Kang, Eun-M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원석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은민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turbidity change on three stands (Castanea crenata, Pinus densiflora and Plantation Land) by rainfall characteristics in small watershed. The change of turbidity showed in order of plantation land, Castanea stand and Pinus stand. The linear equations models between turbidity and rainfall intensity were able to account for 91% in Castanea stand, 80% in Pinus stand and 71% in plantation land. The linear equations models between turbidity and duration of rainfall were able to account for about 0-1% in three stands. The linear equations models between turbidity and preceding dry days were able to account for about 30% in three stands. The linear equations models between turbidity and accumulative rainfall were able to account for about 6-22% in three stands. The results indicates that soil runoff by land use and development of forest area could be applied to the mitigation measures such as afforestation and erosion check dam for erosion control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small watershed.

산지소유역의 밤나무림, 소나무림 및 개벌조림지를 대상으로 강우특성에 따른 임분별 탁도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일한 강우의 발생 시 임분별 탁도 발생은 개벌조림지 >밤나무림 >소나무림순으로 나타나 임분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탁도와 강우강도와의 상관분석에서 밤나무림 91%, 소나무림 80%, 개벌조림지는 71%로서 세 임분 모두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반면 탁도와 강우지속시간과의 상관분석에서 밤나무림, 소나무림 및 개벌조림지 모두 0~1%의 낮은 설명력을 보였다. 탁도와 선행무강우일수와 분석에서 밤나무림, 소나무림 및 개벌조림지 모두 30% 범위의 낮은 설명력을 보였고, 탁도와 누적강우량과의 분석에서도 밤나무림, 소나무림 및 개벌조림지에서 세 임분 모두 6~22%의 낮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산림의 개발과 이용으로 집중호우 시 산사태등 산지재해로 인해 발생된 토사는 산지계류에 유입되어 하류 하천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산림지역의 중 하류에서는 사방댐 등을 설치하여 계류수의 탁수화와 수질오염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아, 조수현, 최병우, 윤영삼, 이재관. 2009. 강우시 비점오염원의 오염부하 특성 -고구마 재배지를 대상으로 -. 대한지질공학회 19(3): 365-371.
  2. 건설교통부. 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보고서 pp. 8-14.
  3. 김정진, 정용식, 김정곤, 이상욱, 김영훈. 2007. 강우강도 에 따른 임하댐 및 안 동댐 유입하천의 탁도유발물질의 광물학적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20(3): 213-222.
  4. 김종욱, 박수진, 최한규. 2007. 자우천 유역의 강우특성에 의한 하천 탁도 발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27(B).
  5. 김수진, 정용호, 김경하, 유재윤, 정창기, 전재홍. 2005. 산림유역내 강우 발생시 계류수질변화와 지중유출수의 기여도. 한국농림기상학회지 7(1): 51-56.
  6. 마호섭, 구소영. 2002. 임지이용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6): 43-48.
  7. 마호섭, 강원석, 강은민. 2011. 임상에 따른 계류수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100(2): 142-148.
  8. 최한규, 김종욱, 오기호, 박수진. 2008. 고랭지유역의 강우특성에 의한 하천탁도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8(3): 123-128.
  9. 半谷高久, 小倉紀雄. 1995. 水質調査法. 丸善株式會社. pp. 106-107.
  10. Binkley, D. and Borwn, T.C. 1993. Forest pratices as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in North America. Water Resourses Bulletin 29(5): 729-740.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3.tb03233.x
  11. Schlesinger, W.H. 1991. Biogeochemistry: an analysis of global change. Academic Press. 443p.
  12. Kenneth, N.B., Peter, F.F., Hans, M.G. and John, K.T. 1993. Hydrology and The Management of Watersheds. 39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