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Protection Behavior to Establish Protected Area Management - Focused on Hebei Spirit Oil Spill -

보호지역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국민 환경의식 및 실천 행동수준 분석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를 중심으로 -

  • Sim, Kyu-Wo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심규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basic information to establish protected area policy by analyz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behavior of citizen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During May-June of 2011, a total of 987 respondents completed at 5 major cities (Seoul, Busan, Daegu, Daejeon, Gwangju) in Korea. The result showed that more previous experience of environment as recognition of oil spill damaged area,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 participation in the organizati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 led to more positive attitude to environmen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nage protected area in balancing ecological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본 연구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이후 일반 국민의 환경의식과 환경보호를 위한 실천행동수준 분석을 통해 보호지역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5대 광역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서 일반 국민 987명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유류유출사고로 인한 피해복구지역으로 인지하거나, 자원봉사활동, 환경보호 및 보존 단체 및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 등과 같은 환경적 관심이 있을수록 환경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생물학적 보전과 이용의 균형을 고려한 보호지역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IUCN 카테고리 채택방안: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2. 김명수, 최영국, 전대윤, 박정은, 서연미. 2007. 국토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보호지역의 위계정립 및 관리방안. 국토연구원. pp. 235.
  3. 문숙재. 1983a. 가정생활의 질 측정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창간호 43-53.
  4. 문숙재. 1983b. 사회보장적 견지에서 본 가정의 안전기능. 대한가정학회지, 21(4): 107-116.
  5. 송영우. 1994. 환경보호캠페인이 사회책임적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용필, 박지운, 변종헌, 이범웅. 2002. 지구촌 생태계 위기와 환경윤리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7. 조용현, 이용광. 2010.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8(1): 64-73.
  8. 최남숙. 1994. 환경교육과 환경의식이 환경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5): 29-43.
  9. 현금희. 1991. 환경문제에 대자치시대의 지역환경에 대한 소비자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Bolscho, D. and Hauenschild, K. 2006.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Germany.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1): 7-18. https://doi.org/10.1080/13504620500526297
  11. Dudley, N. 2008.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pp. 86.
  12. Kallgren, C.A. and Wood, W. 1986. Access to attitude relevant information in memory as a determinant of attitude behavior consistency. Journal of Experimental and Social Psychology 22: 328-338. https://doi.org/10.1016/0022-1031(86)90018-1
  13. Kinner, T.C. and Taylor, J.R. 1983. The effect of ecological concern on brand percep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 191-197.
  14. Regan, D.R. and Fazio, R. 1977. On the consistency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 Look to the method of attitude form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ocial Psycology 13: 28-45.
  15. Tognacci, L.M., Weigel, R.H., Widden, M.F. and Vernon, D.T. 1972. Environmental and Quality: How universal is public concern? Environmental and Behavior 4: 73-86. https://doi.org/10.1177/001391657200400103
  16. Weigel, R. and Weigel, J. 1978. Environmental concern: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Environment and Behavior 10(1): 3-15. https://doi.org/10.1177/0013916578101001
  17.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sid=E&tid=2&nnum=580460.
  18.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005725994&code=1113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