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ve-ground Biomass and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강원도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yo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ang, Mina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eo, Yeono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oo, Kyosang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ung, Sungcheol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ungha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성용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영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장미나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서연옥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구교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정성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ove-ground biomass and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A total of thirteen representativ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Yangyang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em density ($g{\cdot}cm^{-3}$) was 0.347~0.409, whereas the above-ground biomass expansion factors ranged from 1.251~1.419. In terms of crown fuel biomass, the above-ground biomass was $161.6Mg{\cdot}ha^{-1}$ while the stem biomass, branch biomass and needle biomass were $126.4Mg{\cdot}ha^{-1}$, $29.3Mg{\cdot}ha^{-1}$ and $5.9Mg{\cdot}ha^{-1}$, respectively. Needles and twigs with less than 1 cm diameter accounted 45.2% of the total crown fuel load. The available crown bulk density, which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rown fuel load to the crown volume, was $0.178kg{\cdot}m^{-3}$.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biomass and carbon stocks estimation of the Pinus densiflora together with the crown fire hazard assessment based on crown fuel loads are very significant information for the forest managers.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양양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하월천리 일대 소나무림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3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줄기밀도($g{\cdot}cm^{-3}$)는 0.347~0.409,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251~1.419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상부 연료량은 총 $161.6Mg{\cdot}ha^{-1}$로 나타났으며, 줄기 $126.4Mg{\cdot}ha^{-1}$, 가지 $29.3Mg{\cdot}ha^{-1}$, 잎 $5.9Mg{\cdot}ha^{-1}$로 나타났다. 수관층 연료특성 인자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관화 확산 시 연소될 수 있는 연소가능 연료(잎~1 cm이하 가지)의 비율은 45.2%로 나타났고,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연소가능 연료밀도($kg{\cdot}m^{-3}$)는 평균 0.17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및 탄소 흡수량 추정과 수관화 위험성을 연료적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교상, 이병두, 원명수, 이명보. 2010. 대구 팔공산 지역 소나무 수관층 연료 특성. 한국임학회지 99(1): 52-56.
  2. 국립산림과학원. 2006. 기후변화 협약과 산림. 국제적 논의 동향 및 대응방향. pp. 216.
  3. 국립산림과학원. 2007. 산림 바이오매스 및 토양탄소 조사분석 표준. pp. 74.
  4. 김성용, 이병두, 서연옥, 이영진. 2011. 영주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 및 수관연료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100(2): 266-272.
  5. 박인협, 김준선. 1989. 한국산 4개 지역별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323-330.
  6. 박인협, 이석면. 1990. 한국산 4개 지역별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2): 196-204.
  7. 박인협, 문광선. 1999. 전남 모후산지역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의 종간 경쟁 및 물질생산. 한국임학회지 88(4): 462-468.
  8. 박인협, 박민수, 이경학, 손영모, 서정호, 손요한, 이영진. 2005. 소나무의 생태형과 임령에 따른 물질 현존량 확장계수. 한국임학회지 94(6): 441-445.
  9. 산림청. 2011. 임업통계연보. 제41권 pp. 86-87.
  10. 서연옥, 이영진, 표정기, 김래현, 손영모, 이경학. 2010. 충남 청양, 보령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와 지하부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9(6): 914-921.
  11. 서연옥, 이영진. 2011. 고창지역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4(5): 45-53.
  12. 손영모, 이경학, 김래현. 2007.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임학회지 96(4): 477-482.
  13. 이명종. 1998. 강원 지방 잣나무 인공림의 임령 변화에 따른 지상부 현존량과 양분면적. 한국임학회지 87(2): 276-285.
  14. 이병두, 원명수, 김선영, 윤석희, 이명보. 2010.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 391-396.
  15. 이중효, 홍성천. 2004. 불영사계곡 일대 소나무림의 군집유형과 개체군 동태. 한국임학회지 93(1): 59-66.
  16. 이영진, 이미향, 이경학, 손영모, 서정호, 박인협, 손요환. 2006. 편백 조림지에서 영급이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줄기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5(1): 50-54.
  17. 이영진, 서연옥, 박상문, 표정기, 김래현, 손영모, 이경학, 김형호. 2009. 강릉지방 27년생 잣나무조림지의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4(1): 1-8.
  18. 이필우, 한관석. 1968. 리기다소나무 입목의 수분분포에 관하여. 한국임학회지 pp. 45-49.
  19. 정재엽, 조현종, 서정현, 김래현, 손영모, 이경학, 김춘식. 2010. 경남 서부지역 소나무임분의 지상부 Biomass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9(1): 62-67.
  20. 조현제. 2009.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생활형 조성. 한국임학회지 98(4): 472-478.
  21. Cruz, M.G., Alexander, M.E. and Wakimoto, R.H. 2003. Assessing canopy fuel stratum characteristic in crown fire prone fuel types of western North Ame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2: 39-50. https://doi.org/10.1071/WF02024
  22. Forestry experiment station 1982. Handbook of the Wood Industry. Maruzen, Tokyo. pp. 1099.
  23. Frederic, A., Huge, D.E., Philippe, M., Hans, S.J. and Alan, B. 2004. Improved estimates of net carbon emissions from land cover change in the tropics for the 1990s.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8: 1-11.
  24.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Kanagawa, Japan. pp. 576.
  25. Kucuk, O., Bilgili, E. and Saglam, B. 2008. Estimating crown fuel loading for Calabrian pine and Anatolian black pine.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7(1): 1-8. https://doi.org/10.1071/WF08016
  26. Reinhardt, E.D., Keane, R.E., Scott, J.H. and Brown, J.K. 2000. Quantification of canopy fuels in conifer forests: Assessing crown fuel characteristics using destructive and non-destructive method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Fire Sciences Lab, Missoula, MT.
  27. Sando, R.W. and Wick, C.H. 1972. A method of evaluating crown fuels in forest stands. Research paper NC-84.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