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 Kim, Yoo-Sh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Yo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eo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ak-Bo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e-Cha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i-Hong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Ge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유신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남영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영설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학봉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세창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Floristic composition and phytosociological studies in Mt. Gwaebyung and Galmi-Bong were investigated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We investigated two study sites from April to September, 2011. Total 477 taxa with 93 families, 279 genera, 408 species, 4 subspecies, 56 varieties and 9 forms were distributed in Mt. Gwaebyung and Galmi-Bong. Korean endemic species were composed of 8 families with 11 genera and 11 species. The plant species which is designated as protected speci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 2 families, 2 genera and 2 species. Also plant species which is designated b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as 16 taxa with 13 families, 14 genera, 15 species and 1 variety. A naturalized plants were 17 taxa. The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were 3.6% and 5.3% respectively. Pteridophyta-calculation (Pte-Q) was 1.00. Life form spectra was $H-D_4-R_5-e$ type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useful plant resources were medicinal plant (77.5%). The forest vegetation in Mt. Gwaebyung and Galmi-bong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 and 4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aceae, Lindero-Quercion mongolicae, 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Larix kaempferi Community and Sasa borea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본 연구는 백두대간 괘병산 및 갈미봉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괘병산 및 갈미봉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93과 279속 408종 4아종 56변종 9품종 등 총 47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치식물계수는 1.00이었다. 조사된 477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총 8과 11속 11종으로 총 11분류군이 나타났고, 환경부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2과 2속 2종으로 총 2분류군 및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은 13과 14속 15종 1변종으로 총 16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6과 17속 17종으로 총 17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6%이고, 도시화지수는 약 5.3%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생활형을 종합한 Biological Type은 $H-D_4-R_5-e$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7가지의 용도 중 약용자원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용자원이 50.7%를 나타냈다.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군목 1군단 4군락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철쭉군목(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ace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 군락(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B. 소나무-신갈나무 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일본잎갈나무 군락(Larix kaempferi Community), D. 조릿대-신갈나무 군락(Sasa borea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2008.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 지오북. 서울. 1권 pp. 1344, 2권 pp. 1352, 3권 pp. 1000.
  2.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pp. 205.
  3. 국립수목원.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pp. 534.
  4. 국립수목원. 2008. 희귀식물목록. http://www.nature.go.kr
  5. 국립수목원.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6.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 학. 서울. p.16.
  7. 김용식, 임동옥, 전승훈, 강기호, 신현탁. 1998. 설악산 국립공원 내설악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15-432.
  8. 김용식, 임동옥, 오현경, 신현탁. 2002. 백두대간 태백산, 함백산, 금대봉 및 매봉산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293-318.
  9. 김진석, 이병천, 정재민, 박재홍. 2005. 석회암지대인 덕항산(강원)의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 식물분류학회지 35(4): 337-364.
  10. 김철남. 2001. 함백산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
  11. 박광서, 안치호, 박완근. 2001. 민통선 접경지역(매봉산, 칠절봉, 향로봉) 일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산림바이오에너지 20(2): 81-116.
  12.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13. 송은경. 2000. 백운산(강원도)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2.
  14. 유기억, 장수길, 김미나. 2004. 오대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보고서-식물상, 국립공원관리공단. pp. 151-192.
  15.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16. 정선군. 2009. 백복령 눈꽃마을(가목리) 새농어촌건설운동 장기 발전계획. pp. 135.
  17. 조석필. 1993. 산경표를 위하여. 산악문화. 서울. pp. 109.
  18. 조창구, 백원기, 이우철. 1999. 청옥산-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 240-252.
  19. 환경부. 2005. 멸종위기야생 동.식물; 야생동.식물보호법 제2조.
  20.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식물상, 식생-. pp. 129.
  21. Becking. R.W. 1958.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anical Review 23: 411-488.
  2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Auflage. Springer. Wien. pp. 865.
  23. Dostalek, J., Sen, J., Dostalek, Jr. L. Mucina and Hwang, H.D. 1988. On the taxonomy, phytosociology and ecology of some Korean Rhododendron species. Flora. 181: 29-44.
  24. Kim, J.W. 1990. A syntaxonomic s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of South Korea. Abstracta Botanica 14: 51-81.
  25.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University of Wien. pp. 314.
  26. Melchior, H. and E. Werderman, 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urder Borntraeger. Berlin. I Band. pp. 367.
  2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urder Borntraeger. Berlin. Band. pp. 666.
  28.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in Japanese). Ashakura Book Co. Tokyo, Japan. pp. 33-43
  29. Raunkiaer, C. 1907. Planterigets Livsformer og deres Betydning for Geografien. Munksgaar, Kobenhavn.
  30. Raunkiaer, C. 1937. Plant Life Forms. Clarendon, Oxford. pp. 104.
  31. Ronald Good. 1974.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4th edition Longman. London. pp. 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