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for Landslide-triggering in 2011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 Kim, Suk-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un, Kun-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in-Ha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Sik (Korean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
  • Kim, Min-Seok (Geum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 김석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전근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진학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민식 (특수법인 사방협회) ;
  • 김민석 (금강물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Rainfall is widely recognized as a major landslide-triggering factor. Most of the latest landslides that occurred in South Korea were caused by short-duration heavy rainfall.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 occurrence is poorly understood. To examine the effect of rainfall on landslide occurrence, cumulative rainfall(mm) and rainfall intensity(mm/hr) of serial rain and antecedent rainfall(mm) were analyzed for 18 landslide events that occurred in the southern and central regions of South Korea in June and July 2011. It was found that all of these landslides occurred by heavy rainfall for one or three days, with the rainfall intensity exceeding 30 mm/hr or with a cumulative rainfall of 200 mm. These plotted data are beyond the landslide warning criteria of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critical line of landslide occurrence for Gyeongnam Provi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time to landslide occurrence after rainfall start(T) was shortened with the increasing average rainfall intensity(ARI), showing an exponential-decay curve, and this relation can be expressed as "T = $94.569{\cdot}exp$($-0.068{\cdot}ARI$)($R^2$=0.64, p<0.001)". The findings in this study may provide important evidences for the landslide forecasting guidance service of Korea Forest Service as well as essenti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non-structural measures such as a warning and evacuation system in the face of sediment disasters.

강우는 산사태를 야기하는 주된 요인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산사태는 단기간의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나, 강우특성과 산사태 발생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2011년 6월 7월에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에서 집중호우로 야기된 18개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연속강우 개시 이후의 누적강우량(mm)과 강우강도(mm/hr) 및 선행강우량(mm)을 해석하여 산사태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는 모두 연속강우 개시 이후 1~3일간의 집중호우에 의해 강우강도가 30 mm/hr이상, 혹은 누적강우량이 200 mm이상인 경우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림청의 산사태 경보발령 기준을 상회하는 범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남도에서 보고된 산사태 발생영역과도 일치하였다. 또한, 강우개시 이후 산사태 발생까지의 소요시간(T)은 평균 강우강도(ARI)가 증가할수록 점차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사이의 관계는 지수함수식 "T = $94.569{\cdot}exp$($-0.068{\cdot}ARI$)($R^2$=0.64, p<0.001)"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청의 산사태 주의보 경보발령 기준에 있어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토사재해에 대한 경계피난체계 등의 비구조물 대책의 수립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2005.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 연구(II): 강우량 자료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pp. 234.
  2. 국립방재연구소. 2006.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 연구(III): 국내 표준강우량 산정방안을 중심으로. pp. 124.
  3.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조용찬. 2000.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특성: 충청북도 보은지역. 지질공학회지 10(2): 163-174.
  4.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송영석, 조용찬. 2005.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분석: 용인. 안성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공학회지 15(2): 105-121.
  5. 김경수, 송영석, 조용찬, 김원영, 정교철. 2006.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 분석. 지질공학회지 16(2): 201-214.
  6. 김기흥, 정혜련, 박재현, 마호섭. 2011. 경남지역 산사태 발생지의 강우 및 지형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2): 33-45.
  7. 김영묵, 정석완. 2000. 대전-충남지역의 강우특성에 의한 산사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4-C): 341-355.
  8. 김원영, 이사로, 김경수, 채병곤. 1998. 지형특성에 따른 산사태의 유형 및 취약성: 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공학회지 8(2): 115-130.
  9. 김원영, 채병곤. 2009. 우리나라 자연사면 산사태지역의 강우, 지질 및 산사태 기하형상 고찰. 지질공학회지 19(3): 331-344.
  10. 김원영, 채병곤, 김경수, 기원서, 조용찬, 최영섭, 이사로, 이봉주, 김정환, 윤운상. 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보고서. pp. 645.
  11. 윤찬영, 전경재, 김경석, 김기홍, 이승우. 2010. DB구축 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6(10): 27-38.
  12. 이영남. 1991. 지반공학과 자연재해(II): 산사태. 대한토질공학회지 7(1): 105-113.
  13. 최 경. 1982. 산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고찰. 산림 200: 65-73.
  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산불피해복구기술개발사업 '2차 산림피해 방지기술 개발'. 과학기술부 연구용역 보고서. pp. 501.
  15. 한중근. 2001. 부산지역에서의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 24-31.
  16. 홍성완, 이명환, 조천환. 1990. 사면안정(VII). 대한토질공학회지 6(1): 65-80.
  17. 홍원표, 김상규, 김마리아, 김윤원, 한중근. 1990. 강우로 기인되는 우리나라 사면활동의 예측. 대한토질공학회지 6(2): 55-63.
  18. 國土技術政策總合硏究所. 2010. 國土技術政策總合硏究所資料 No. 570 '台風委員會 土砂災害警戒情報策定プロ ジェクト成果報告書'. pp. 42.
  19. 川村國夫, 佐野博昭. 1988. 降雨によるのり面崩壞: 石川縣下における崩壞例. 土と基礎 36(5): 61-66.
  20. Anderson, S.A. and Sitar, N. 1995. Analysis of rainfallinduced debris flow.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21: 544-55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5)121:7(544)
  21. Brand, E.W. 1981. Some thoughts on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pp. 373-376. In: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 3. Stockholm, Sweden.
  22. Brand, E.W., Premchitt, J. and Phillipson, H.B. 1984.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landslides in Hong Kong. pp. 377-384. In: Proceedings of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Vol. 1. Toronto, Canada.
  23. Caine, N. 1980.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Geografiska Annaler 62A: 23-27.
  24. Dai, F.C. and Lee, C.F. 2001. Frequency-volume relation and prediction of rainfall-induced landslides. Engineering Geology 59: 253-266. https://doi.org/10.1016/S0013-7952(00)00077-6
  25. Ikeya, H. 1989. Debris flow and its countermeasures in Japan.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40: 15-33. https://doi.org/10.1007/BF02590339
  26. Lumb, P. 1975. Slope failures in Hong Kong.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Hydrogeology 8: 31-65 https://doi.org/10.1144/GSL.QJEG.1975.008.01.02
  27. Yagi, N. and Yatabe, R. 1987. Prediction method of slope failure in sandy soil due to rainfall. pp. 217-220. In: Proceedings of 8th Asian Reg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Kyoto,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