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Zoning Method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by Visual Quality Assessment

시각적 질 평가에 의한 산림경관 관리구역 구획방법

  • Lee, Gwan-Gyu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an-Woo (Division of Forest Well-beinge,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관규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조경학과) ;
  • 박찬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복지연구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Korea, with 63.7% of the land being forests, has unique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s coming into view for most residential areas and roads.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a purpose of support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by partitioning the areas that landscape management is needed. Through analysing the degree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and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for landscape changes, the zoning process and method for landscape management were conducted. In order to select the areas that are managed by priority for landscape, the degree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the main scenic sites, travel frequencies, major forest landscape resources, and areas with demand for walking and automobile travel as the basis.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that means the visual acceptance capability against physical landscape changes of the designated areas was analyzed in order to select the areas that are suitable for artificial landscape management.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to express the degrees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in high, middle, and low sub-areas, and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in high, middle, and low sub-areas, for each of the three zones in terms of spaces in the forest landscape management areas. For example, among the forest landscape transition zones, if the degree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is high and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is high, then aggressive landscape management would be possible; this would also mean that this area could accept certain levels of physical landscape changes. By applying zoning methods like these, it was possible to attain a conclusive result that proper means of landscape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forest landscape resources and the surrounding areas could be provided.

우리나라는 국토의 63.7%가 산림으로 국민의 생활지역과 이동 경로 상에서 산림경관으로의 조망기회를 늘 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경관관리가 필요한 구역을 세부적으로 구획함으로써 구역별 경관관리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산림경관 관리를 필요로 하는 정도를 관리요구도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인위적 경관관리로 생성되는 경관변화의 시각적 영향을 흡수하는 능력을 분석하여 경관관리를 위한 관리구역 구획 과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산림경관을 우선 관리할 지역을 선별하기 위해 주요 조망점, 통행빈도, 주요 산림경관자원, 도보 및 차량 이동수요가 있는 지역들을 기준으로 하여 산림경관관리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인위적 경관관리가 가능한 지역을 구획하기 위해 대상지의 물리적 경관변화에 대한 수용력인 시각적 흡수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경관관리 요구도 상, 중, 하, 그리고 시각적 흡수능 상, 중, 하 구역을 산림경관 관리지역의 공간상에 표현하였다. 경관관리요구도가 상이고 시각적 흡수능이 상이라면 적극적이고 인위적 경관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물리적 경관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구역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획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산림경관자원과 그 주변의 경관디자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훈. 2001. 도시조망권과 경관관리: 외국 도시의 조망권 확보 사례. 도시문제 36(10): 34-48.
  2. 김기원. 2007. 산림미학시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3. 박민우. 2002. 안면도 자연휴양림 경관관리를 위한 시각선호도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용하, 이현우, 김기경, 이관규, 최재용, 허수진, 서경원. 2008. 생태계 보호지역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방안. 환경영향평가 17(3): 177-188.
  5.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 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 70-79.
  6. 산림청. 2007a. 산지경관 심의제도 등에 관한 법제화 방안 연구.
  7. 산림청. 2007b. 산지경관 유지를 위한 산지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
  8. 산림청. 2009. 산림경관관리기본계획.
  9. 산림청. 2011a. 산림기본통계.
  10. 산림청. 2011b. 산림경관 계획관리 업무편람.
  11. 산림청. 2011c. 산림과 임업 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12. 성현찬, 황소영, 채미옥, 박은석. 2010. 자연환경 보전지역 설정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6): 62-72.
  13. 양병이. 2002.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 서울시 우면산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를 중심으로. 환경논총 40: 149-169.
  14. 이관규 등. 2008. 산림경관벨트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청 보고서.
  15. 이관규, 이정환. 2008. 산림경관관리 우선지역 선정기법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4-105.
  16. 이관규, 김종미, 장효진. 2009. 고속도로변 산림경관의 시각적흡수능 평가. 2009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 67-68.
  17. 이관규. 2011.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 자연경관관리를 위한 층고규제 합리화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9(5): 48-56.
  18. 이연희. 2008. 산림경관 선호 특성에 따른 경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채성, 김기호, 고일두, 최왕돈, 박상필, 백홍렬, 노현진. 2003. 주요 산주변 조망경관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보고서.
  20.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사.
  21. 임승빈. 2010. 경관분석론.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2. 임승빈. 1998. 국립공원 및 인접지역의 경관관리에 관한 연구-신축건물경관영향평가를 중심으로-. 농업생명과학연구 2: 266-270.
  23. 장래익, 이명우. 2009.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지 37(4):22-31.
  24. 장철규, 정성관, 김경태. 2011. 도시개발사업의 경관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체계 구축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9(3): 39-50.
  25. 전재경. 2007. 보호구역 관리모델의 응용을 위한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6. 조용준, 이정형, 남승진, 정영덕, 홍안희, 장상근, 손승광, 김영석, 김현숙, 강권, 박현홍, 유창균, 이봉수, 이정림 역. 2006. 일본의 경관계획. 서울: 태림문화사.
  27. 주신하. 2011. 자연경관 경관도의 국외사례 및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거시적 경관관리도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7(3): 103-111.
  28. 최윤, 조동범. 1994.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 시각적 영향 -물리적 경관변수 및 주시점 분석에 의한 다각적 접근-. 한국조경학회지 22(2): 81-103.
  29. 최재영. 2002. 경주남산의 자연경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논문집 15: 285-304.
  30. 환경부, 산림청. 2011.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31. 환경부. 2010. 환경백서.
  32. 환경부. 2011. 환경백서.
  33. 환경부. 2011a. 습지보전법.
  34. 환경부. 2011b. 야생동.식물보호법.
  35. 환경부. 2011c. 자연환경보전법.
  36. Amir, S. and Gidalizon, E. 1990. Expert-base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Visual Absorption Capacity of the landscape. Journal Environment Management 30: 251-263. https://doi.org/10.1016/0301-4797(90)90005-H
  37. British Columbia Canada. 1981. Forest Landscape Handbook.
  38. British Columbia Canada. 1996. Clearcutting and Visual Quality: A Public Perception Study.
  39. British Columbia Canada. 1997. Visual Impact of Partial Cutting.
  40. British Columbia Canada. 2008. Recreation Manu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41. Claire, E., Wooton and Brian, K. 2011. A Landscapelevel Analysis of Yellow Cedar Decline in Costal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41(8): 1638-1648. https://doi.org/10.1139/x11-061
  42. Daniel, T.C. 2001. Whither Scenic beauty? Visual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4(1-4): 267-281.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141-4
  43. Dannis, N. and Stuart, W. 1979. Visual Resource Management of Victoria; s Forest: A New Concept for Australia. Landscape Planning 6: 313-341. https://doi.org/10.1016/0304-3924(79)90036-4
  44. Jung, H.Y., Park, C.W. and Lee, G.G. 2010. Landscape- Grade Assessment Methodology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in South Korea. XXIII IUFRO WORLD CONGRESS. pp. 348.
  45. Lukas, M., Christian, G., Niklaus, E.Z., Peter, B. and Otto, W. 2006. Sensitivity Assessment on Continuous Landscape Variables to Classify a Discrete Forest A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9(1-3): 111-119. https://doi.org/10.1016/j.foreco.2006.03.012
  46. Sheppard, S.R.J. 2004. Visual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Encyclopedia of Forest Sciences: 440-450.
  47. Simon, B. 2001. Landscape Pattern, Perception and Visualisation in the Visual Management of Fores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4(1-4): 201-211.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136-0
  48. Stephen, S. and Paul, P. 2006. Visual-quality impacts of forest pest activity at the landscape level: A synthesis of published knowledge and research need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4): 321-34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2.007
  49. Tasmania. 2006. A Manual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50. UNESCO. 2002. Biosphere Reserves Special places for people and nature.
  51. USDA Forest Service. 1968. Forest Landscape Description and Inventories - a basis for landplanning and design
  52. USDA Forest Service. 1973. Nation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Volume1.
  53. USDA Forest Service. 1974. Nation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Volume2.
  54. USDA Forest Service. 1993. Forest Landscape Analysis and Design.
  55. USDA Forest Service. 1995. Landscape Aesthetics : A Handbook for Scen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