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40기의 조선왕릉 중 우리 민족이 가장 존경하는 세종대왕의 영릉에 대하여 고문헌을 통하여 원형공간과 복원, 시공방법 등을 고찰해 본 문헌적 연구이다. 영릉(英陵)은 세종대왕과 그의 비 소헌왕후 심 씨의 능으로 조선의 42기 왕릉 중 그 조영 방법이 독특하며, 천장의 역사를 갖고 있어 인물사 못지않게 중요한 공간이다. 영릉의 고문헌은 정조(1786)때 작성된 (영릉보토소등록(英陵補土所謄錄))과 (춘관통고(春官通考)) 그리고 고종때 작성된 (영릉영릉보토소등록(英陵寧陵補土所謄錄), 1900년)과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능역조영의 용어정의, 2) 능원의 공간구성, 3) 능역시설물의 특성, 4) 공사규모 및 내역, 5) 능원의 식생 등의 내용을 검토할 수 있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된 문화시설은 그 원형을 잘 보존해야 하며 보존관리도 원래의 공법을 활용하는 등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형 고증적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상기의 내용에서 세종과 소헌왕후의 영릉에 대하여 조영적 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릉의 원형공간 이해와 향후 복원 등의 제안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original space, the restora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Sejong who is one of the most respected kings by our people through old document. Yeongneung(英陵) where King Sejong and Queen Soheon is buried has a unique construction method and history of move which is as equally important as human history.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documents which contains important materials of construction method in the time when the tomb is moved in 1468. Destroyed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ost of the records of Yeongneung's construction can be found almost no. Fortunately existing literature "朝鮮王朝實錄", "英陵補土所謄錄" written in 1786, "春官通考" written in 1788 and "英陵寧陵補土所謄錄" written in 1900 are us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se old documents, 1) Definition of tomb construction, 2) Space and layout of tomb, 3) Characteristics of tomb facilities, 4) Scale and contents of tomb construction, 5) Plants of tombs are included in this paper. World Heritage listed cultural facilities should be well preserved and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to use original construction methods during resto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by examining old literature. Through this study including Yeongneung's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of Yeongneung construction and restoration in the future is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