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andscaping design skill for Wiyiam at Ongnyucheon(玉流川)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focusing on constructing technique, space composition and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he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yiam of Ongnyucheon was constructed as garden ornament which was modified the huge bedrock into the shape of the mountain. The waterfall of Wiyiam was originally made of torrent which water flowed into the bottom, but it was reconstructed to take the effect of Inak(離落: the method to drop water from high place) by carving rock into square shape at the era of King Gojong(高宗). Second, main characteristics of Wiyiam appeared in Donggwoldo was the hill built up with a square pond and ground at the back of Wiyiam and the profound scenery of mountains and stream from the view of Wiyiam. Also, pavilions such as Soyojeong(逍遙亭), Cheongujeong and Taegeukjeong(太極亭) built in Ongnyucheon seemed to be constructed as the spots to appreciate the view and waterfall sound of Wiyiam. Also the spots were not bounded by the function of creating special water systems such as Cheongujeong pond and Taegeukjeong pond and showed the outstanding landscape design skill to make people feel unusual interest from each spo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evening scenery of Wiyiam, beautiful sound of falling water, unusual water system with beautiful plant materials were landscaped for the function of the psychological peace and stability to the appreciators. Lastly, the extreme change of space composition in Ongnyucheon was assumed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existing poor drain environment by confirming that the mountain stream and wall of Soyojeong were removed and drainage in both side of Soyojeong was installed in the 21th year of King Gojong's reign(1884).
본 연구는 창덕궁 후정에 위치한 옥류천 영역의 핵심경물인 위이암의 조영특성과 사용된 경관 설계기법을 구명하는 것으로서, 대상지의 조영기법, 공간 구성 및 변천과정과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집약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옥류천 위이암은 큰 암반을 뫼산(山)자의 형상으로 다듬은 경물로 조성되었으며, 유배거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바위 한 틈에 석수로를 파고 어구의 물을 끌어들였다. 위이암의 폭포는 본래 물이 바닥을 타고 흐르는 급류로 조성되었으나, 고종 연간에 암반을 네모지게 깎아서 이낙[현폭]의 효과를 주도록 개축되었다. 둘째, 동궐도에 나타난 위이암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위이암 배후에 방형의 지당과 흙으로 쌓은 언덕이 나타나는 것이며, 위이암 측면에도 계류를 만들어 그윽한 산천(山川)의 풍경을 연출하였다. 또한 옥류천에 건립된 소요정, 청의정, 태극정은 모두 위이암을 감상하기 위한 조망지로 건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조망지에서는 청의정지, 태극정지와 같은 별도의 수계를 조성하여 조망처의 기능에 구속되지 않고, 각 지점에서 색다른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한 경관 설계기법이 돋보였다. 한편, 옥류천에 내재된 공간구성 요소인 위이암의 석경, 입체적 물소리, 독특한 수계와 화사한 식물소재는 감상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고 심신을 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옥류천의 공간구성이 파격적으로 변형된 고종 21년(1884년)의 변화상은 소요정 앞의 배수를 개선하기 위해 계류와 소요정의 담장을 없애고 소요정의 양 측면에 배수시설을 설치한 것이 확인되는바, 기존의 불리한 배수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자구책에 의한 것이었다고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