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iality of Korean traditional waterscape and unique landscape formed with reflection of the phases of the time sat the area of Juhabru(宙合樓) in Changdeok Palace as a basic research to find the prototype of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and restoration of the palace. Originally,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was constructed in KingInjo(仁祖) period as a name of Yongji(龍池), later it called Taeaek pond after King Sukjong(肅宗). There is an island as a symbol of the immortal isle, and Chungseojeong(淸署亭), Taiksujae(澤水齋) and Buyongjeong(芙蓉亭) which were built to view the waterscape in Taeaek pond. Buildings were built asymmetrical balance around Taeaek pond because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 of tetragonal pond. Arrangement of this area has a definite form of axial structure. Yeolgokwan(閱古觀) Gaeyuwa(皆有窩), pavilions, bridges, islands, Osumoon(魚水門) and Juhabru are located on the north and south axis, and island and Osumoon play a role as a intersection and form an east of west axis. In this study, manual of construction for an island and pavilions is provided by analyzing transformational process of island and pavilions at Taeaek pond. Furthermore, kings and officials used to statically enjoy the view around Taeaek pond area, but dynamic fishing and boating activity happened in King Jungjo(正祖) period. These historical backgrounds have an influence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aeaek pond. For instance, bridge between Taeaek pond and island was destroyed with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boating. Symbolic structure around Taeaek pond means 'fish changes to dragon' and 'both of king and officials become one'. Taiksujai, carving fish, Osumoon and Juhabru are provided as a related spatial factors.

본 연구는 궁원의 복원 및 창덕궁 태액지의 원형경관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로 창덕궁 주합루 일대에서 시대상이 투영되어 형성된 독특한 경관과 한국 전통수경관의 특수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덕궁 태액지는 인조 연간에 용지(龍池)라는 명칭으로 축조되었으며, 숙종 이후 태액지로 개칭되어 불려졌다. 태액지에는 신선도를 의미하는 섬과 청서정, 택수재, 부용정의 수경을 감상하기 위한 정자가 조영되었으며, 방지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방에는 건물군락이 비대칭적 균형구조로 배치되었다. 이 일대의 배치에는 정형적 축선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열고관 개유와, 정자, 다리, 섬, 어수문, 주합루가 남북 중축선상에 위치하고, 섬과 어수문은 동서축을 이루는 분기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액지 섬과 정자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섬과 정자를 조영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규칙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태액지 일대의 이용분석에서는 조망에 의한 정적인 감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정조 시대에는 직접 지당에서 다양한 뱃놀이와 낚시하는 동적인 유희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태액지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 당시 배를 타는 행위가 비중 있게 행하여지자 배의 운행을 위해 태액지와 섬을 잇는 다리가 철거되었고, 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태액지 일대에 표현된 상징체계는 어변성룡과 군신주합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공간구성요소로 택수재, 물고기 조각, 어수문, 주합루 등이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계승범(2010). 조선후기 대보단 친행 현황과 그 정치.문화적 함의. 역사와 현실. 75(0): 165-200.
  2. 국립중앙박물관(200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1, 궁궐.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3. 궁궐지(K2-4359).
  4. 다산시문집.
  5. 문화재청(2007). 궁궐의 현판과 주련 제2권 창덕궁.창경궁. 서울: 수류산방.
  6.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2006).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7. 백지성(1994). 창덕궁 후원 어수당구역의 공간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 15-29.
  8. 부산박물관(2009). 사진엽서로 보는 근대풍경4관광. 서울: 민속원.
  9. 사기.
  10. 승정원일기.
  11. 신증동국여지승람.
  12. 심우경(2004). 한국전통조경의 특성. 건축역사연구. 38(1): 146-151.
  13. 심우경(2005). 우리 전통조경의 특징과 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17-121.
  14. 안두순(1994). 궁궐지 1. 서울: 서울학연구소.
  15. 유본예 저, 원태익 역(1974). 한경지략. 서울: 탐구당.
  16. 윤도경(2003). 창덕궁 부용지 일원의 위치와 공간구성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도경, 심우경, 정종수, 최종희(2006). 창덕궁 주합루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95-103.
  18. 이보경(2001)창덕궁 규장각의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찬, 양보경(1995). 서울의 옛 지도. 서울: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20. 이철원(1954). 왕궁사. 서울: 동국문화사.
  21. 일성록.
  22. 정우진(2011). 동궐후원의 변천과정과 원형경관 해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정우진, 심우경(2011). 창경궁 후원이용의 역사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71-89.
  24. 조선왕조실록.
  25. 조영민(2010). 창덕궁 부용지 일대 조성과 그 의미.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pp. 109-120.
  26. 청장관전서.
  27. 최태익 역, 유본예 저(1974). 한경지략. 서울: 탐구당.
  28. 한국학중앙연구원(2009).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서울: 장서각.
  29. 허태용(2007). 17세기 말-18세기 초 중화계승의식의 형성과 정통론의 강화. 진단학보. 103: 59-85.
  30. 홍재전서.
  31. Sim, Woo-kyung(2010).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Royal Garden. Proceedings of 2010 International Symposium on Identity of Traditional Asian Landscapes. Seoul: IFLA APR Cultural Landscape Committee. pp. 151-160.
  32. 汪菊淵(2006). 中國古代園林史上.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33. 周維權(2008). 中國古典園林史. 北京: 淸華大學出版社.
  34. http://www.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