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Meanings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s of Mt. Sangdu

상두선(象頭山) 바위글씨의 특징과 경관의미

  • Rho, Jae-Hyun (Dept.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Jung-Ha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Huh, Joon (Dept.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Jeong-Moon (Dept.of Landscape Architecture &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정한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허준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learning the values and meanings of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ll over Mt. Sangdu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Kimje-si and Jeongeup-si of Jeollabuk-do by grasping the current state of them, investigating the patterns and contents of them, and understanding the spatial and landscape properties of the region where the rocks are scat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ame of Mt. Sangdu came from the mountain with the same name located in India where Buddha were seeking the truth, and means auspicious. With the recognition of ancient maps and books, various propitious spots also made the landscape symbols of Mt. Sangdu solidify. Whoam, Chaangsuk-Kim, Weolgye Young-Cho Song and the members of Cheonggye Society like Dongcho Seok-Gon Kim led the creation of the rocks, and the 41 letter-carved rocks all over four water systems were found out and all of them were carved with Chinese characters. The letters were usually carved on flat and broad rocks, and they mainly had the shape of a small waterfall and a wide waterfall of under 1 meter height. 25(60.9%) of the carved letters were about moral training, and it seemed that they wanted to protect their pride under the shackle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over Korea. The styles of handwriting are Hangseo and Jeonseo except for names, and show various and complex styles. The mix composition of the carved letters of 'Yusubulbu(流水不腐)' of Choseo and the rocks of Takjok(濯足) is extraordinary, and the letters carved as the shape of Nakkwan(落款) have artistic value and degree of finishing. It seemed that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ver Korea in the 1930s considered Mt. Sangduasa highly valuable region because they expressed their hope and wish for the new world on the rocks. The letters on the rocks of Mt. Sangdu are invaluable cultural landscaping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landscaping symbolism of Mt. Sangdu because of colliding values and spirits of the time of 'the anguish and pain of intellectuals' and 'the status of living joyfully outside of the mundane world.'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정읍시와 김제시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상두산 일대 바위글씨의 형식과 내용을 검토하고, 바위글씨가 새겨진 공간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바위글씨의 경관적 의미와 가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상두산(象頭山, 575.3m)은 석가모니가 수행하던 인도의 동명(同名)산에서 유래한 명칭이며, 이때, '상두(象頭)'는 상서로움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의 고지도와 문헌에서는 풍수도참과 관련된 다수의 명당개념이 전해지고 있어 상두산의 상서로운 이미지를 견고히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두산에는 총 4개 수계에 한자로 새겨진 41개의 바위글씨가 존재하는데 바위글씨의 입지는 주로 계곡상 평석 형태의 너럭바위 또는 낙폭이 1m미만인 소폭(小瀑)과 와폭(臥瀑)주변에 새겨져 있는 특징을 보인다. 서체는 전서(篆書)를 비롯한 행서(行書)와 초서(草書)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일부는 각자인(刻字人)의 성명과 집자(集子)한 바위글씨의 서체가 하나의 작품처럼 인식될 정도로 높은 완성도와 예술성을 갖춘 것으로 파악된다. 바위글씨를 새기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동초(東樵) 김석곤(金晳坤)을 비롯한 청계시회(淸溪詩會) 회원과 후암(厚庵) 김창석(金昌碩), 월계(月溪) 송영조(宋榮祚) 등으로 이들이 새긴 바위글씨는 조선시대 선비의 덕목인 수신(修身)과 관련된 내용이 25건으로, 비록 일제강점기이나 선비로서의 자존(自存)을 지키고자 하였음을 보여주며 또 일부는 '물외(物外)에서 노니는 탈속(脫俗)의 경지'를 보여주는 내용으로 일제강점기하 선비와 식민지인으로서의 갈등을 표상(表象)한다. 이처럼 상두산 바위글씨는 단지 물리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민족성을 고취시키는 내용이자 경관상징성을 배가시키는 문화경관 요소로써의 보존적 가치가 크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전주박물관(2011). 石芝蔡龍臣-붓으로 사람을 만나다.p.34.
  2. 김예진(2010). 한동아집첩과 오세창의 시회활동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동양학.48집:105-129.
  3. 김진돈,배선옥(2007). 동초 김석곤의 서예세계, 정읍지역의 금석문연구: 동초 김석곤 선생 금석문을 중심으로. 정읍시․(사)정부정책연구원.pp.26-31.
  4. 김진돈,유종국(2007). 정읍지역의 금석문, 정읍지역의 금석문연구: 동초 김석곤 선생 금석문을 중심으로.정읍시․(사)정부정책연구원.pp.22-25.
  5. 김해경,최기수(2007). 조선시대 인왕산 바위글씨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25(2):167-181.
  6. 서혁기(2007). 동초 김석곤의 생애. 정읍지역의 금석문연구: 동초 김석곤 선생 금석문을 중심으로.정읍시․(사)정부정책연구원.pp.19-21.
  7. 손병욱(2004). 박달내[檀川]刻字바위의 含意와 그 主人公에 관한 연구. 고조선단군학. 11:149-194.
  8. 송월주(2001). 나의 삶 나의 길,송월주 회고록.<40> "남을 욕하지 말라" 동아일보. 2011 11.27일자 사회면. 31면.
  9. 新增東國輿地勝覽. 泰仁縣.
  10. 안동문화연구회편(2002). 안동의 바위글씨. 안동시.
  11. 안성렬(2007). 태산 선비문화를 중심으로 한 정읍의 금석문. 전라금석문연구. 10:10-12.
  12. 輿地圖書. 泰仁縣.
  13. 유종국(2007). 동초 김석곤의 시세계. 정읍지역의 금석문연구: 동초 김석곤 선생 금석문을 중심으로.정읍시․(사)정부정책연구원. pp.32-40.
  14. 이병혁(2003). 한국한문학의 탐구.국학자료원.p.461.
  15. 전북중앙신문(2006). 2006년 3월 22일자.
  16. 정읍시, (사)정부정책연구원(2007). 정읍지역 금석문 연구:동초 김석곤 선생 금석문을 중심으로. 전주: 신아출판사.
  17. 조수현(2003). 동초 김석곤의 서품(書品).전라금석문연구. 창간호:1-2.
  18. 최창조(1993). 한국風水의 재발견(33).경향신문. 1993.3.13자 9면.
  19. 허균(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다른세상.
  20. http://gimje.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2600063
  21. http://krnic.egloos.com/2702073
  22. http://local.daum.net/map/index.jsp
  23.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74_1_0020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