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Design Language in the ChwuiseokJeong Wonlim of Gochang - Focusing on the Alegory and Mimesis in 'Chwuiseok' and 'Chilseongam' -

취석정원림에 담긴 조형언어의 의미론적 해석 - '취석'과 '칠성암'에 담긴 알레고리와 미메시스를 중심으로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Woosuk University) ;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Ha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현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이정한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carrying out a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core Design language that seemed to influence deeply in the creation of the ChwuiseokJeong wonlim of Gochang. Especially, this paper aimed at inferring how the spiritual culture of seclusion of the 16th century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wonlim by understanding the metaphor and symbolism by grasping the transmission meaning and reception meaning of the creators and the people concerned with keywords like Eunil(隱逸: seclusion), Chwuiseok(醉石), and Chilseongam(七星巖). 'Building up a wall' was intentionally carried out in order to represent 'Seven Stars(The Big Dipper)' inside of the wonlim. This is a kind of two-dimensional 'enframement', and a result of active creation of a meaningful landscape. From Chilseongam that was created by assembling, we presumed that Kyung-Hee Kim, Nohgye(蘆溪), the creator showed the recognition and thoughts of astronomy as a Confucian scholar that the ChwuiseokJeong Wonlim where he secluded is the center of the universe. The interpretation of words in Nohgyezip, an anthology, showed that the articles and writtings of Nohgye, his decsendants, and the people of ChwuiseokJeong included alcohols, Chwuiseok, Yeon-Myung Do, and Yuli(栗里) where Do secluded; this means that Nohgye ranked himself with Do because Nohgye also lived in peace by drinking alcohols and enjoying nature like Do did. 'Drinking' was what expressed the mind of Nohgye who wanted to be free and have the joy of enjoying mountains, water, and their landscape like Do did. In other words, 'Drinking' is the symbol of freedom that makes him forget himself and equate himself with nature. These are the representation, imitation, and mimesis of respecting Yeon-Myung Do. As the alegory of 'speaking something with other things' suggested, it is possible to read 'Chwuiseok', came from the story of Yeon-Myung Do, in multiple ways; it superficially points out 'a rock on which he laid when he was drinking', but it also can be interpreted as 'an object' that made him forget his personal troubles. In addition, it means freewill protecting unselfish mind with the spiritual aberration of drinking, 'Chwui(醉)', mentally; also, it can be interpreted metaphorically and broadly as a tool that makes Nohgye reach to the state of nature by the satisfied mind of Yeon-Myung Do. 'Chwuiseok' was a design language that showed the situation of Nohgye by comparing his mind with the mind of Yeon-Myung Do from the Confucian point of view, and a kind of behavioral mimesis based on his respect to Do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of objective reality.' It is not coincidental that this mimesis was shown in the engraved words on Chwuiseok and the creation of ChwuiseokJeong that has the same name with Chwuiseok i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고창 취석정원림 조영에 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는 핵심적 조영언어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이다. 은일(隱逸) 취석(醉石) 그리고 칠성암(七星巖)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그 속에 깃는 은유와 상징성 등 조영자 및 관련자들의 송 수신의미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16세기 은일의 정신문화가 원림 조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유추하고자 하였다. 먼저 원림 내부에 의도적으로 '칠성(七星)'을 상징하기 위한 '담두르기'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일종의 평면적 '선두르기'이며 적극적 의미경관 연출의 결과이다. 의도적으로 모여진 칠성암을 통해 조영자 노계 김경희 자신이 둔세한 취석정원림이 바로 우주 운행의 중심이라는 유학자로서의 천문학적 사고와 인식을 새겼을 것으로 추론된다. 노계집에 나타난 어휘소 분석 결과, 노계와 취석정 관련자들의 기문에서는 술 또는 취석, 도연명 그리고 그의 은일처인 율리(栗里)가 주로 언급되고 있음을 볼 때, 은일의 심정으로 자연에 귀의해 술을 마시며 한가로운 생활을 한 노계를 도연명에 비견하고 있다. '술취함'은 도연명과 같은 자유를 갈구하며 산수상영지락(山水觴詠之樂)을 취했던 노계의 심경을 토로한 것으로, 도연명과 마찬가지로 노계 스스로에게 술은 물아일체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자유의 표상으로 해석된다. 이는 도연명에 대한 흠모를 기반으로 한 행동 재현과 의미 모방이기도 하다. '다른 것으로 말하기'라는 알레고리가 함축하듯이, 도연명의 고사에서 유래된 '취석(醉石)'은 여러 겹의 의미읽기가 가능한데, 표면적으로는 원림 내 존재하는 '술 취해 잘만한 바위'와 개인적 근심을 해소시켜주는 '망우물(忘憂物)'이다. 더불어 내면적으로는 '취(醉)'의 정신적 일탈을 통해 욕심 없는 마음을 지키는 자유의지'이자, 은일을 택한 노계가 도연명의 자족의 심정을 빌어 '자연지도(自然之道)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라는 은유적 확대적 해석의 알레고리가 가능하다. '취석'은 유가적(儒家的) 가치관을 투영, 본인의 상황을 고결한 도연명의 심정에 감정이입하여 표현한 원림 조형언어로, 도연명에 대한 흠모를 바탕으로 한 알레고리이자 행동적 미메시스(mimesis)이며, '객관적 현실의 미적 반영'으로 볼 수 있다. '도연명'에 대한 표현적 행태적 미메시스가 중국을 비롯해 국내에서도 취석 각자(刻字)와 동명이정(同名異亭)의 취석정 건립을 통해 반복 재현됨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Keywords

References

  1. 高峯集 제2권. 勉仰亭記.
  2. 고창문화원(2010). 고창 정자문화(고창읍.고수면편). 제1집: pp. 149-160.
  3. 金景熹(1995). 蘆溪集 全. 光山金氏永慕齋.
  4. 김동욱(2001). 조선 중기 은거선비의 집터와 별자리의 관계: 張顯光(1554-1637)의 立巖記에 대해서. 한국건축역사학회지. 10(2): 7-20.
  5. 김두규(2005). 풍수학 사전. 서울: 비봉출판사.
  6. 김수년(2007). 東洋天文學上 北斗七星의 意義와 易理學的 영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성, 박종철(1995). 全南 和順 雲住寺의 七星石에 關한 天文學的 調査. 천문학논총. 11: 109-125.
  8. 김일권(1999). 고대 중국과 한국의 천문사상 연구: 한당대 제천의례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문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일권(2004). 동양 천문의 범주와 그 세계관적 역할: 고려와 조선조의 하늘 이해를 덧붙여. 정신문화연구. 27(1): 27-60.
  10. 김진수(2011). 정자건축에 적용된 자연 완상 수법의 해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태수(2009). 조선시대 은거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이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연호(2008). 광주 풍영정 원림의 공간특성과 그 의미.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 36집: 31-51.
  13. 선승혜(2009). 고려와 조선시대 예술에 나타난 도연명도의 유학적 가치관. 미학. 59: 1-50.
  14. 안재순(1995). 陶淵明의 詩: 飮酒(其五)에 대한 儒家美學的 解明. 충남대학교 유학연구 3집 上: 547-574.
  15. 유옥경(2011).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음주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윤석우(2005). 음주시에 나타난 중국시인의 정신세계: 도연명, 이백, 백거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윤영수(2004). 도연명의 飮酒시에 나타난 인생과 자연관. 중국학논총. 17: 27-52.
  18. 이승훈(1988). 詩作法. 서울: 탑출판사. pp. 201-206.
  19.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서울: 휴머니스트. p198.
  20. 李澤厚. 權瑚 옮김(1990). 華夏美學. 서울: 東文選. pp. 83-93.
  21. 이현우(2010). 陶淵明의 詩文에 나타난 隱士의 수용 양상. 중국어문학지. 32집: 35-66.
  22. 이현우(2011).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현우, 김재식, 신상섭, 노재현(2011). 梅川別業 退修亭園林의 의미경관론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 22-32.
  24. 전봉희, 이강민(2006). $3칸{\times}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74-80.
  25. 정순모(2002). 唐代 士人의 隱居 觀念과 그 變遷. 국제중국학연구. 45집: 229-251.
  26. 정윤영, 성종상, 배정한(2011). 독락당 원림 경관조영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1): 96-105.
  27. 최무혁, 박두용(1984). 기호론을 바탕으로 한 건축의미의 전달방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논문집. 38: 313-323.
  28. 최승범(1996). 전북의 누정 취석정. 전북일보. 11월 29일자.
  29. 한국고전번역원(2006). 李穀. 稼亭先生文集. 한국문집총간.
  30. http://100.naver.com/100.nhn?docid=744254
  31. http://blog.naver.com/bhjang3?Redirect=Log&logNo=140020196750
  32. http://blog.naver.com/redrum52/20017145292
  33. http://cafe.naver.com/thetruelove.cafe
  34. http://hanja.naver.com/word?query=%3Cstrong%3E%E4%BA%94%E6%96%97%E7%B1%B3%3C%2Fstrong%3E
  35.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6028900
  36. http://kyujanggak.snu.ac.kr/
  37. http://local.daum.net/map/index.jsp?q=%EC%B7%A8%EC%84%9D%EC%A0%95&wx=432770&wy=532648&map_type=TYPE_MAP&map_hybrid=false&srcid=8551951&itemId=8551951
  38. http://obang.culturecontent.com/obBroker/obViewGod.asp?pDet=OK&pGCode=GOD0031&pSrc=3&pStyle=1
  39. http://rubygarden.tistory.com/entry/%EC%B6%94%EB%85%B8-%EC%B4%AC%EC%98%81%EC%A7%80-%EC%9A%B4%EC%A3%BC%EC%82%AC-%EC%B9%A0%EC%84%B1%EB% B0%94%EC%9C%84%EC%9D%98-%EB%AF%B8%EC%8A%A4%ED%85%8C%EB%A6%AC
  40. http://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ac_num=58&id=14437&off_id=57&page=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