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rrangement and Design of Cultural Property Signs - Focused on the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Jongno-gu Area -

문화재 안내판의 배치와 디자인에 대한 고찰 -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 소현수 (우리경관연구실 이락재) ;
  • 김해경 (우리경관연구실 이락재)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lected the sign designs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a public prize contest from a public design perspective and applied the selected design format to the signs of the cultural assets that were designated by the central and Seoul governments and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8.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the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igns of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Jongno-gu. The scope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expanded to cover the surrounding areas of cultural heritages in order to review the arrangement and design of such sig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not only the flow of travelers' movement but also the direction of sight, their locations in relation to the surrounding facilities or other installations and the integration with similar signs or notices were necessary to be considered in the arrangement of the signs; secondly, the current sings had low quality in terms of durability and readability and seemed utterly distance from the cultural assets indicated by the signs because they were finished with tempered glass; thirdly, the size, shape and materials of the signs were not harmonized with their surrounding areas as only one design was used in the entire cultural property sites without considering such natural or artificial backgrounds of individual signs as rocks, plants, walls or buildings. When selecting the design format of the signs of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located dispersively as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is recommended to determine a group of most representative designs based on natural, man-made and cultural landscape rather than one unified design format and to use a unique well-matched sign for each cultural proper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alternative exemplary design models and proposed the type of signs appropriate for each cultural site.

서울시는 2008년 현상공모를 거쳐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문화재 안내판 디자인을 선정하고, 서울시 소재 국가 시지정 및 등록문화재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모니터링 성격으로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 26개소의 설치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재 주변 경관까지 고려하여 설치 위치와 디자인을 선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첫 번째, 안내판 배치에 있어서 관람자 동선뿐만 아니라 관람자 시선의 방향 고려, 타 시설물과 가설물 등으로 방해받지 않는 위치, 유사한 문화재 안내판의 통합이 요구되었다. 두 번째, 강화유리 마감의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은 내구성과 가독성이 떨어지고, 해당 문화재보다 안내판이 눈에 띄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한 가지 디자인의 안내판을 일괄 설치함으로써 안내판의 배경이 되는 녹지 바위와 같은 자연물 또는 인공적 담장 건물 벽체 등 다양한 양상이 고려되지 못한 결과, 안내판의 규모 형태 재질이 주변과 조화롭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와 같이 도심에 산발적으로 분포된 '나홀로문화재' 유형은 안내판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것보다 배경이 되는 자연경관 또는 인공경관, 그리고 문화재의 형상을 고려한 복수의 안내판 유형이 디자인된 후, 그 중에서 개별 문화재에 어울리는 안내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범적 사례를 토대로 하여 안내판의 대안 모델을 선정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된 대상지별로 적절한 안내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선, 여환주, 최종희, 이재근(2004). 서울시 종로구 소멸문화유적의 인식제고 방안: 문화유적지도 작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61-69.
  2. 김양식(2000). 충북지역 문화재 안내체계 개선방향. 충북개발연구원.
  3. 김영주, 허준, 김신원(2011). 고궁 공공시설물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을 대상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93-107.
  4. 김현선디자인연구소(2009). 문화재안내판 디자인 개선 제작/설치-안내판 디자인 매뉴얼. 서울시.
  5. 문화재청(2009). 문화재안내판 가이드라인 및 개선 사례집. 문화재청.
  6. 문화재청(2010). 문화유산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문화재청.
  7. 이영경(1997). 전통사찰지역내 간판과 시설물의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2): 1-9.
  8. 이정환, 강호철(2006). 천연기념물 해설판 내용(학명, 향명)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33-42.
  9. 장은석(2010). 길찾기 행태를 고려한 장소사인디자인 연구: 표지석 디자인 개선안을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15: 179-191.
  10. 허진하, 남현우, 임인동, 이재익, 임영순(2009). 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지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고창, 강화, 화순 고인돌 유적지 안내판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3): 493-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