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aching part and the muscle activity that happens during scaling practice subject to 20 dental hygienic students and therefore propose a basic data according to the working attitude of the Dental Hygienist. During the scaling we used the free EMG (BTS Inc., Milan, Italy)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and in order to check the musculoskeletal pain area we used the Nordic-style questionnaire, and the measur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At the moment of scaling according to posture the occurrence of the pai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elbow, back, leg, knee, ankle/foot but in the neck, shoulder, wrist/hand, waist showed a high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in according to posture. Results from measuring the muscular activity according to posture, in the group that had a good posture, the trapezius and brachial muscles showed a change according to time, and in the group that had a bad posture a high muscle activity was shown in larynx, trapezius and brachial muscles. In the muscle activity, the changing aspect between the two parts, the group that fulfilled a scaling in a good posture showed a low muscle activity, but in the group that fulfilled the scaling in a bad posture the muscle activity increased excessively. Therefore we examined that when fulfilling a scaling maintaining a bad posture can help in using more effectively the activity of the muscle, in the future I think there is a need to raise the office efficiency by subjecting to dental hyginiest that are in the clinics and performing experiments.
이 연구는 20명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켈링 실습 시 발현되는 근육들의 활성도와 통증부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작업자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켈링 시 근활성도의 측정은 free EMG를 이용하였고, 근골격계 통증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Nordicsty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에 따른 스켈링 시 통증의 발현은 팔꿈치, 등, 다리, 무릎, 발목/발은 그룹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 어깨, 손목/손, 허리에서는 자세에 따라 통증의 정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2. 자세에 따른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올바른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승모근과 상완요골근에서 변화를 보였고, 나쁜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후두부근, 상승모근, 상완요골근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근활성도에서 두 군간의 변화양상은 좋은 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나, 나쁜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근활성도가 과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켈링을 실시하는 것이 근육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수 있었고, 앞으로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직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