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Characteristic the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of Head Neck and Around of Shoulder Muscles Express Scaling Working of the Dental Hygienist

치과위생사의 스켈링 작업 시 발현되는 두경부 및 견부 주위 근육들의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특성 분석

  • Jeon, Eun-Su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
  • Nam, Kun-W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
  • Ha, Mi-Soo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 전은숙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남건우 (춘해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하미숙 (춘해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aching part and the muscle activity that happens during scaling practice subject to 20 dental hygienic students and therefore propose a basic data according to the working attitude of the Dental Hygienist. During the scaling we used the free EMG (BTS Inc., Milan, Italy)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and in order to check the musculoskeletal pain area we used the Nordic-style questionnaire, and the measur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At the moment of scaling according to posture the occurrence of the pai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elbow, back, leg, knee, ankle/foot but in the neck, shoulder, wrist/hand, waist showed a high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in according to posture. Results from measuring the muscular activity according to posture, in the group that had a good posture, the trapezius and brachial muscles showed a change according to time, and in the group that had a bad posture a high muscle activity was shown in larynx, trapezius and brachial muscles. In the muscle activity, the changing aspect between the two parts, the group that fulfilled a scaling in a good posture showed a low muscle activity, but in the group that fulfilled the scaling in a bad posture the muscle activity increased excessively. Therefore we examined that when fulfilling a scaling maintaining a bad posture can help in using more effectively the activity of the muscle, in the future I think there is a need to raise the office efficiency by subjecting to dental hyginiest that are in the clinics and performing experiments.

이 연구는 20명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켈링 실습 시 발현되는 근육들의 활성도와 통증부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작업자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켈링 시 근활성도의 측정은 free EMG를 이용하였고, 근골격계 통증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Nordicsty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에 따른 스켈링 시 통증의 발현은 팔꿈치, 등, 다리, 무릎, 발목/발은 그룹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 어깨, 손목/손, 허리에서는 자세에 따라 통증의 정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2. 자세에 따른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올바른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승모근과 상완요골근에서 변화를 보였고, 나쁜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후두부근, 상승모근, 상완요골근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근활성도에서 두 군간의 변화양상은 좋은 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나, 나쁜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근활성도가 과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켈링을 실시하는 것이 근육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수 있었고, 앞으로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직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술, 윤성욱: 의료관계법규. 2판. 메디컬코리아, 서울, p.184, 2012.
  2. 이소영, 고효진: 치과위생사의 목.어깨 근골격계 증상 관련요인. 대한치과위생학회지 13(4): 385-394, 2011.
  3. 산업안전보건법: 노동부고시 제98-15호(제정 1998. 2. 28). 단순반복작업근로자 작업 관리 지침. 고용노동부, 논문사, 서울, 1998.
  4. Leggat PA, Kedjarune U, Smith DR: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in modern dentistry. Ind Health 45: 611-621, 2007. https://doi.org/10.2486/indhealth.45.611
  5. Crawford L, Gutierrez G, Harber P: Workenvironment and occupational health of dental hygienists. J Occup Environ Med 47: 623-632, 2005. https://doi.org/10.1097/01.jom.0000165744.47044.2b
  6. Lindfors P, von Thiele U, Lundberg U: Work characyeristics and upper extremity disorders in female dental health workers. J occp Health 48: 192-197, 2006. https://doi.org/10.1539/joh.48.192
  7. Ylipaa V et al.: Health, mental well-being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comparison between Swedish and Australian dental hygienist. J Dent hyg 76: 47-58, 2002.
  8. Puriene A et al.: General health of dentists: literature review. Stomatologija Balt Dent Maxillofac J 9: 10-20, 2007.
  9. Puriene A et al.: Self-reported occupational health issues among Lithuanian dentists. Ind Health 46: 369-374, 2008. https://doi.org/10.2486/indhealth.46.369
  10. Milerad E et al.: An electromyographic study dental work. Ergonomics 34(7): 953-962, 1991. https://doi.org/10.1080/00140139108964837
  11. Macdonald G: Hazards in dental workplace. Dent Hyg 61(5): 212-218, 1987.
  12. Lalumandier JA et al.: Musculoskeletal pain: prevalence, prevention and differences among dental office perosonel. Gen Dent 49(2): 160-166, 2001.
  13. Alwazzan KA et al.: Back and neck problems among dentists and dental auxiliaries. J Contemp Dent pract 2: 1-10, 2001.
  14. 박정란, 박재용: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3): 416-431, 2007.
  15. 김지희, 김혜진: 치과위생사의 진료자세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 경험에 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4): 413-418, 2009.
  16. 이소영 등: 치과위생사의 작업특성과 근골격계 증상의 상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5(4): 486-496, 2011.
  17. Hayes MJ, Smith DR, Cockrell D: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Australian dental hygiene students. Int J Dent Hygiene 7: 176-181, 2009. https://doi.org/10.1111/j.1601-5037.2009.00370.x
  18. 최원준 등: 작업관련 상지의 근골격계 질환 선별 및 감시를 위한 미국 NIOSH-style 설문지와 Nordic-style 설문지의 타당도 비교. 대한산업의학회지 20(3): 205-214, 2008.
  19. 강경희 등: 치면세마론. 5th. 청구문화사, 서울, p. 115, 2010.
  20. 성미경 등: 치과위생사들의 실내환경과 진료자세에 의한 건강자각증상 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12(2): 151-165, 2010.
  21. E. Grandjean: Fitting the task to the man. 3th. Taylor & Francis Ltd., New York, p. 50, 1980.
  22. 안재용 등: 근전도를 이용한 근피로도의 측정.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3(4): 1184-1192, 1998.
  23. 원종임: 등속성 운동시 근전도 주파수 분석에서 얻은 피로지수의 특성[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1.
  24. Hagberg M: Electromyographic signs of shoulder muscular fatigue in two elevated arm position. Am J Phy Med 60(3): 111-121, 1981.
  25. Harvey R, Peper E: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mouse use position. Ergonomics 40(8): 781-789, 1997. https://doi.org/10.1080/001401397187775
  26. 한정수, 이남식, 안재용: VDT 관련 근로자의 상지에 대한 직업성 누적적 질환의 예방 및 작업환경 개선: 직업병 예방을 위한 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1996.
  27. 신홍중, 최승훈: VDT업무로 발생된 경견완장해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논문집 13: 295-302, 2004.
  28. Hagberg M: Electromyographic signs of shoulder muscular fatigue in two elevated arm position. Am J Phy Med 60(3): 111-121, 1981.
  29. 박수찬 등: VDT 작업을 위한 최적치수 및 작업자세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0(2): 3-13, 1991.
  30. Harvey R, Peper E: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mouse use position. Ergonomics 40(8): 781-789, 1997. https://doi.org/10.1080/001401397187775
  31. 이중호 등: VDT 모니터링 작업에서 근골격계 부담도 및 선호도에 근거한 모니터 높이 결정. 대한산업공학회지 32(3): 236-241, 2006.
  32. 송동빈 등: 누적외상성질환의 발생실태와 발생특성 파악 및 의학적 평가방법 개발: 직업 병 예방을 위한 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1997.
  33. Swanson NG et al.: The impact of keyboard design on comport and productivity in a text-entry task. Applied Ergonomics 28(1): 9-16, 1997. https://doi.org/10.1016/S0003-6870(96)0005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