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pare the basic data of the teeth color by measuring analyze mode using the color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maxillary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canine) of the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s the dental colorimeter.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of the subjects of study as 467 students (male 89, female 378) were measured from 14 November to 2 December, 2011, so the color of total 1,401 teeth was examined, and oral health and eating habit attributes were researched.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lor of maxillary anterior teeth was changed from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maxillary canine, brightness ($L^*$) was decreased $76.79{\pm}4.86$ to $69.72{\pm}4.62$, red chroma ($a^*$) was increased $2.02{\pm}2.00$ to $4.10{\pm}2.60$, yellow chroma ($b^*$) was increased $15.51{\pm}3.42$ to $20.10{\pm}3.46$. 2. Brightness ($L^*$)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x (p< 0.001), major (p<0.001), grade (p<0.001), smoking (p<0.001), oral health education (p<0.01), daily brushing frequency (p<0.001), brushing method (p<0.05), oral hygiene devices (p<0.001), and red chroma ($a^*$) to major (p<0.001), daily brushing frequency (p<0.05), brushing time after meals (p<0.01), oral hygiene devices (p<0.01), and yellow chroma ($b^*$) to brushing time after meals (p<0.01), subjective tooth color (p<0.001). 3. Brightness ($L^*$) of eating habit attribut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coke, candy ($R^2=0.053$,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lor of maxillary anterior teeth has differences in brightness ($L^*$), red chroma ($a^*$), yellow chroma ($b^*$) from each tooth, also these showed various tendency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and eating habit attributes.
본 연구에서는 외모에 가장 관심이 많은 20대 대학생들의 안면부 심미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상악전치부 치아의 색조를 치과용 측색기(Dental Colorimeter)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치아색조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20대 대학생들의 상악전치부색조와 구강보건 및 식습관관련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1년 11월 14부터 12월 2일 동안 연구취지에 동의한 연구대상자 497명 중 부적절한 치아를 가진 자를 제외한 467명(남자 89, 여자 378) 대상자의 개개인마다 3개 치아즉 상악중절치, 상악측절치, 상악견치를 측정하여 총 1,401개의 치아를 측색하였고 구강보건 및 식습관관련 특성은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의 상악전치부의 명도($L^*$)는 상악중절치($76.79{\pm}4.86$), 상악측절치($72.87{\pm}6.04$), 상악견치($69.72{\pm}4.62$)로 갈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채도($a^*$)는 상악중절치($2.02{\pm}2.00$), 상악측절치($3.27{\pm}2.38$), 상악견치($4.10{\pm}2.60$)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채도($b^*$)도 상악중절치($15.51{\pm}3.42$), 상악측절치($17.35{\pm}3.55$), 상악견치($20.10{\pm}3.46$)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명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p<0.001), 전공별(p<0.001), 학년(p<0.001), 흡연 유무(p<0.001)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적색채도($a^*$)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공별(p<0.001)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황색채도($b^*$)를 비교한 결과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구강보건 특성에 따른 명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구강보건교육 경험유무(p<0.01), 일일 칫솔질 횟수(p< 0.001), 칫솔질 방법(p<0.05), 구강위생관리용품 사용유무(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구강보건 특성에 따른 적색채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일일 칫솔질 횟수(p<0.05), 식후 칫솔질 시기(p<0.01), 구강위생관리용품 사용유무(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구강보건 특성에 따른 황색채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식후 칫솔질 시기(p<0.01), 주관적 치아색상(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식습관 관련 특성중 콜라와 사탕이 상악전치부 명도와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다($R^2=0.053$,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악중절치 색조는 구강보건 및 식습관 관련 특성 중 성별, 학년, 흡연유무, 콜라, 사탕등에 따라 명도와 관련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정기적 스케일링은 적색채도와 관련성이 있었고 주관적 치아색상은 황색채도와 관련성이 있음을 알았다. 앞으로는 상악전치부 치아의 색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부학적 요인을 고려한 좀 더 심도 깊은 연구로 조사하여 분석을 시행한다면 치아색조와 관련되는 더 많은 요인을 규명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