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Education Objectives of Oral Health Education Based on Revision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신교육목표분류학의 틀에서 본 구강보건교육학 목표 분석

  • 최규일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최병옥 (경남대학교 교육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in what category th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are described based on 'A revision o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Oral health education and practice from Educational Objective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Korea dental hygienist Prof Council, 2009) were selected to analyze a textbook, the body contents was analyzed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activity was analyzed in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Three experts were selected as a corder for reliabl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nowledge dimension i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 was focused on the categories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in textbook analysis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ategory dimension of 'understand' showed to be the most for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Moreover, there was no 'meta cognitive knowledge' that conforms to a higher-order thinking and the category dimensions of 'analyze', 'evaluate', and 'create' took very low proportion or did not exist. Conclusio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to fragmentary and Memorizing the level knowledge. Thus we have to develop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reflected a variety of cognitive and knowledge dimension.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교과목에서 제시된 학습목표는 '교육일반', '구강보건교육의 실제', '대상 및 장소별 구강보건교육'으로 분류하였고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일반' 영역에서는 19개의 학습목표 중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이 대부분 이었고, 절차적 지식은 10.6%였으며, 메타인지적 지식에 해당하는 수업목표는 없었다. 둘째, '구강보건교육의 실제'에서는 34개의 학습목표 중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이 약 76%였고, 나머지는 절차적 지식이었으며, 메타인지 지식범주에 해당하는 수업목표는 없었다. 셋째, '대상 및 장소별 구강보건교육'에서는 18개의 학습목표 중 다른 영역들과는 달리 절차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사실적 지식의 학습목표였다. 지식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관한 지식과 교과의 특수한 기법과 방법에 대한 지식범주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원리와 일반화에 대한 지식과 교과의 특수한 기능과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 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obbitt F: The curriculum. 1st ed. Houghton Mifflin, Boston, pp.75-80, 1918.
  2. Tyler 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st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pp.46-87, 1949.
  3. Krathwohl DR: A revis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IP 41(4): 212-218, 2002.
  4. 박경숙: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 연구.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991.
  5. 강현석, 정재임, 최윤경: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3(1): 51-84, 2005.
  6. Furst EJ: Bloom's taxonomy: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issues. 1st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pp.64-96, 1994.
  7. 김보경: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충북, 2010.
  8. Hauenstein AD: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objectives: holistic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1st e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Chicago, pp.158-254, 1998.
  9. Marzano RJ: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1st ed. Corwin Press, Thousand Oaks, pp.68-71, 2001.
  10. 신진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지리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 문항 작성[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2008.
  11. 김소연: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지구과학과 수업목표 분석[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2009.
  12. 박철규, 황진석, 곽대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의 실험 수업 목표를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5(1): 27-43, 2011.
  13.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치위생(학)과 학습목표. 3판. 고문사, 서울, pp.143-158, 2009.
  14. Bloom B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1st ed. David Mckay, New York, pp.98- 187, 1956.
  15. Anderson LW et al.: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1st ed. Longman, New York, pp.67-6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