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의 임플란트 주위염 감소 효과

The Effects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Plaque Control Instruction on Reduction of Peri-implantitis

  • 박경화 (가천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구강보건학전공) ;
  • 한경순 (가천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구강보건학전공)
  • Park, Kyung-Hwa (Dept. of Or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Gachon University) ;
  • Han, Gyeong-Soon (Dept. of Or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Gachon University)
  • 발행 : 2012.04.30

초록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이 임플란트 주위염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12월 9일부터 2011년 1월 31일까지 상 하악 대구치부위에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치료까지 완료한 80명의 부분 무치악 환자와 이들에게 식립된 193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추출하였다. 실험군은 Watanabe method로 전문가치면세정술을 실시한 후 같은 방법으로 잇솔질교육을 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엔진을 이용한 치면연마와 회전법으로 잇솔질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시작일 이후 3, 6, 9개월 재내원하여 반복시행하였고, 치면세균막 검사, 치은염 검사, 임플란트 변연골소실량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6개월 후와 9개월 후에서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염지수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변연골소실량에서는 실험군(0.15 mm)이 대조군(0.24 mm)보다 낮아(p=0.155) 차이가 있을 수 있었으며,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은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염지수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 임플란트 특성에서 치면세균막지수는 상악이 하악보다 3, 6, 9개월 후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고(p<0.05), 기능부하 12개월 이하 군이 13개월 이상 군보다 6개월 후에서 낮았으며(p<0.05), 변연골소실량은 시작일과 9개월 후에서 이회법 시술방식이 일회법 시술방식보다 낮았고, 기능부하 12개월 이하 군이 13개월 이상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Watanabe method를 이용한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은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고 발생된 임플란트 주위염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한 실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전문가치면세정술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환자 개인별 적합한 잇솔질 방법을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임플란트 계속관리제도 도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ter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plaque control instruction(PT & PCI) on reduction of peri-implantitis. A total 80 implant patients were investigated using O'Leary plague index(PI), L${\ddot{o}}$e & Silness gingival index(GI), implant bone loss(BL). While the PT & PCI was conducted by using 'Watanabe method' after scal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engine polishing and a plaque control instruction was operated by rolling method after scaling for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paired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I and GI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p<0.05). BL, also tended to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p=0.15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was highly correlated with PT & PCI on the PI and GI. According to the implant characteristics, implant location and dur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PI(p<0.05). Therefore, the PT & PCI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reduce the failure caused by the peri-implantitis. Based on this conclusion, that it would be meaningful if the proposed PT & PCI is applied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s of the implant pati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Rosenberg ES et al.: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implant failure and survival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and periodontally healthy patients: a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6): 873-879, 2004.
  2. Nevins M, Langer B: The successful use of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the treatment of the recalcitrant periodontal patient. J Periodontol 66(2): 150-157, 1995. https://doi.org/10.1902/jop.1995.66.2.150
  3. Buser D et al.: Long-term evaluation of non-submerged ITI implants. part 1: 8-year life table analysi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2359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8(3): 161-172, 1997. https://doi.org/10.1034/j.1600-0501.1997.080302.x
  4. Bahat O: Branemark system implants in the posterior maxilla: clinical study of 660 implants followed for 5 to 12 year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5(5): 646-653, 2000.
  5. 오지수 등: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에 대한 문헌 고찰.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지 11(3): 30-37, 2007.
  6. Karoussis IK et al.: Long-term implant prognosi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chronic periodontitis: a 10-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of the ITI dental implant system. Clin Oral Implants Res 14(3): 329-339, 2003. https://doi.org/10.1034/j.1600-0501.000.00934.x
  7. Baelum V, Ellegaard B: Implant survival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patients. J Periodontol 75(10): 1404-1412, 2004. https://doi.org/10.1902/jop.2004.75.10.1404
  8. Albrektsson T et al.: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1): 11-25, 1986.
  9. Albrektsson T, Isidor F: Concensus report of session . Proceedings of the 1st Eur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Quintessence Publishing, London, British, pp. 365-369, 1994.
  10. Listgarten MA, Lai CH: Comparativ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iling implants and periodontally diseased teeth. J Periodontol 70(4): 431-437, 1999. https://doi.org/10.1902/jop.1999.70.4.431
  11. 장기완: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술: Watanabe method를 중심으로. 대한치과의사협회지 45(1): 21-24, 2007.
  12. 이항빈 등: 하악 제1, 2 대구치를 대체하는 단일 임플란트 간의 성공률 비교. 대한치주과학회지 34(1): 101-112, 2004.
  13. 신철호: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치아 상실부위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2005.
  14. 장진화, 류경호, 정현주: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37(2): 165-180, 2007.
  15. 김성회 등: 임플란트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국소적 인자에 대한 19년간의 후향적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48(1): 28-40, 2010.
  16. Thomason JM et al.: Patient satisfaction with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and conventional dentures 6 months after delivery. Int J Prosthodont 16(5): 467-473, 2003.
  17. Pjetursson BE et al.: Patients' satisfaction following implant therapy: a 10-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16(2): 185-193, 2005. https://doi.org/10.1111/j.1600-0501.2004.01094.x
  18. 이명주, 한경순, 최준선: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기능별 만족도. 치위생과학회지 8(2): 97-101, 2008.
  19. 김영선, 오미정: 임플란트 환자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효과. 치위생과학회지 9(5): 491-496, 2009.
  20. 정성화 등: 임플란트 치료 전후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4): 585-596, 2009.
  21. 김은정, 김지영: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3): 430-436. 2010.
  22. O'Leary TJ, Drake RB, Naylor JE: The plaque control record. J Periodontol 43(1): 38, 1972. https://doi.org/10.1902/jop.1972.43.1.38
  23. Misch CE: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1st ed. Mosby, St.Louis, pp. 29-42, 1982.
  24. Le H, Silness J: Periodontal diease in pregnancy. Acta Odontol Scand 21: 533-551, 1963. https://doi.org/10.3109/00016356309011240
  25. 한수부: 비외과적 치주치료. 초판. 군자출판사, 서울, pp. 3-4, 2005.
  26. Weinstein P, Getz T, Milgrom P: Oral self-care: a promising alternative behavior model. J Am Dent Assoc 107(1): 67-70, 1983.
  27. Adell R et al.: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0(6): 387-416, 1981. https://doi.org/10.1016/S0300-9785(81)80077-4
  28. 예방치학연구회: 현대예방치학. 개정3판. 군자출판사, 서울, pp.125-129, 2007.
  29. 김창희, 김진, 김창욱: 전문가 잇솔질에 의한 치주상태 변화와 환자 만족도. 치위생과학회지 8(4): 261-266, 2008.
  30. 한경순 등: 대상자 특성에 따른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4): 453-463, 2008.
  31. Corbella S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an implant maintenance protocol for the prevention of peri-implant diseases in patients treated with immediately loaded full-arch rehabilitations. Int J Dent Hyg 9(3): 216-222, 2011. https://doi.org/10.1111/j.1601-5037.2010.00489.x
  32. 강은혜 등: Toothpick method를 이용한 구취감소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1): 127-138, 2004.
  33. Greenstein G, Caton J, Polson AM: Histolog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bleeding after probing and visual signs of inflammation. J Periodontol 52(8): 420-425. 1981. https://doi.org/10.1902/jop.1981.52.8.420
  34. Abbas F et al.: Bleeding/plaque ratio and the development of gingival inflammation. J Clin Periodontol 13(8): 774-782, 1986. https://doi.org/10.1111/j.1600-051X.1986.tb00881.x
  35. Etter TH et al.: Healing after standardized clinical probing of the perlimplant soft tissue seal: a histomorphometric study in dogs. Clin Oral Implants Res 13(6): 571-580, 2002. https://doi.org/10.1034/j.1600-0501.2002.130601.x
  36. 박기현, 한동후: 보철물 장착후 골 유착성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36(6): 806-815, 1998.
  37. Wyatt CC, Zarb GA: Bone level changes proximal to oral implants supporting fixed partial prostheses. Clin Oral Implants Res 13(2): 162-168, 2002. https://doi.org/10.1034/j.1600-0501.2002.130206.x
  38. 최현숙: 임플란트 주위 골변화와 생존율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2004.
  39. Ericsson I et al.: Radiograph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and nonsubmerged titanium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labrador dog. Clin Oral Implants Res 7(1): 20-26, 1996. https://doi.org/10.1034/j.1600-0501.1996.070103.x
  40. 안희석: SLA 표면 처리 및 외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41. Smith DE, Zarb GA: Criteria for success of osseointegrated endosseous implants. J Prosthet Dent 62(5): 567-572, 1989. https://doi.org/10.1016/0022-3913(89)90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