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Grade Point Average Score in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성적에 따른 비판적 사고 성향

  • 황혜림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김응권 (수원과학대학 치위생과) ;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Critical thinking is a essential competency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GPA score in two dental hygiene educational program. A total 252 dental hygiene students responded. The study extracted six dimensions(intellectual eagerness/curiosity, prudence, healthy skepticism, intellectual integrity, objectivity, self-confidence) derived from 27 items with the exception of systematicity using factor analysis. The mean score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47 on a 5 point scale. The resul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ge.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MANCOVA) was used to compare six subscales between the three groups. MANCOVA results revealed that intellectual eagerness/curiosity for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Wilks's lamda=0.914, F(6, 24)=1.869), p=0.01, partial eta square=0.044). Multiple comparison for intellectual eagerness/curiosity by Scheffe's method showed differences between high score group and mid score group(p=0.027), high score group and low score group(p=0.002). In this study, academic achievement and critical thinking tends to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is known. Critical thinking skills by examining the actual grade compares the difference in propensity scores according to a case study in intellectual curiosity, passion, and could tell the difference to appear.

비판적 사고는 치위생 교육과 실무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 능력 중 비판적 사고 성향이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기 위해 2개교의 치위생(학)과 재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업성적을 조사하여 다변량 공분산분석에 의해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 평균은 3.46이었으며, 학업성적 상위권 집단의 비판적 사고 성향 전체 평균은 3.63로서 중위권(3.46), 하위권(3.41)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9). Scheffe 방법에 의한 사후검정 결과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9). 2.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요인인 지적열정/호기심, 자신감, 객관성, 건전회의성, 지적공정성, 신중성 등 6개 요인을 종속변수로 선택하고, 연령을 공변량으로 입력한 다변량 공분산 분석 결과 다변량 검정 결과 학업성적 집단에 따라 다변량 통계량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지적열정/호기심에서 학업성적 상,중,하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36). 3. 학업성적 집단 사이의 지적 열정/호기심에 대한 차이를 Scheffe의 방법에 의해 사후검정한 결과 상위권집단과 중위권 집단 사이(p=0.027)와 상위권 집단과 하위권 집단 사이(p=0.002)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중위권 집단과 하위권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을 분석한 결과, 성적에 따라 비판적 사고능력에는 지적 열정/ 호기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Wilks의 람다=0.914, F(6, 24)=1.869, p=0.001, 부분 에타제곱=0.044).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은 업무범위 안에서 해결해야 하는 대상자의 '문제'와 '원인'의 관계를 진술하는 '치위생진단문'과 치과위생사가 제공해야할 예방, 치료, 교육에 관한 '중재 계획'으로 비판적 사고 과정의 결과이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력이 증진할 수 있는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인지과학회논문지 13(4): 81-90, 2002.
  2. 김희정: 대학 철학 교육의 현황과 역할: 법학적성시험, 공학인증제와 관련한 중간점검, 법학적성시험과 철학 교과 내의 비판적 사고 교육(철학사상 28집). 서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8.
  3. 김광수: 비판적 사고론(철학연구 58집). 서울, 철학연구회, 2002.
  4. 김명숙, 박정: 사고력 검사 개발 연구: 비판적 사고력 검사 제작편(2002-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5. 조아미 등: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 사고력 영역(09-R19-4).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6. 윤진: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개발[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7. 배영숙 등: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84-190, 2005.
  8. ADHA: Standard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Retieved March 10, 2008, from http://www.adha.org
  9. Wilkins EM: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e. 10th ed. Williams&Wilkins Lippintcott, pp.2-17, 2009.
  10. 김응권 등: 치위생학의 교육 표준화 및 발전 방향. 서울,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위생과 교수협의회 공동연구 보고서, 2005.
  11. 권인수 등: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6(6): 950-958, 2006.
  12. American Dental Avenue: Accreditation standard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Retrived January 1, 2011, from http://www.ada.org
  13. ADEA(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Competencies for entry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e. J Dent Edu 65(7): 662-666, 2001.
  14. Insight Assessment: Measure what matters: critical thinking. 2011, from http://www.insightassessment.com/9test-cctdi.html
  15. 허경철 등: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I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89.
  16. 박선환: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1998.
  17. 황지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수행능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98.
  18. 김윤민: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문제해결력이 미치는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6(2): 190-197, 2010.
  19. 양선희 등: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3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49-158, 2009.
  20. 윤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4(2): 159-166, 2008.
  21. 박승미, 권인각: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7(6): 863-871, 2007.
  22. 조학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2(2): 57-72, 2007.
  23. 조학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222-23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