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work-concerned characteristic, health behavior, life stress, psychosocial stress, job stress and self-esteem of dental hygienists and to find their effects on cortisol level in saliva. The target of this study is 219 dental hygienists registered in Daegu and Gyeongbuk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s of February 2010. For life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years of current job(p<0.05), self health status and regular meal(p<0.01). For psychosocial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p<0.05), daily working hours(p<0.01), self health status, sleeping hours, regular meal and hobby and leisure activity(p<0.01). For job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p<0.05), job experience, position, man power appropriateness in department and working years of current job(p<0.05). For cortisol level in saliva, extra working days(p<0.05) and self health status(p<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job stress and cortisol level in saliva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p<0.01). Health behavior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life stress by path coefficient -36.807(p<0.05) and that to psychosocial stress by path coefficient -5.209(p<0.001). And health behavior also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self-esteem by path coefficient 0.561(p<0.05). Life stress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psychosocial stress by 0.012(p<0.05) with self-esteem to psychosocial stress by -2.437(p<0.001) and psychosocial stress to job stress by 0.523(p<0.001). Job stress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cortisol level in saliva by -0.060 (p<0.05). It was foun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cortisol level in saliva was job stress, b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t can be assumed that chromic job stress cause shortage in cortisol excretion, and caused lower cortisol level in saliva.
연구는 설문지를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관련 특성, 건강행태와 생활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을 조사하고 이들이 타액 내 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2월 현재 대구 경북 치과 위생사 협회에 등록된 219명의 치과위생사로 하였으며, 타액 채취는 오후 5시를 기준으로 전후 30분까지 하였으며, 타액채취와 설문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날짜를 선정, 2010년 3월 12일부터 3월 26일까지 실시하였다. 생활스트레스에서는 현재직장 근속년수(p<0.05), 자가 건강상태, 규칙적인 식사(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연령(p<0.05), 일일 근무시간(p<0.01), 자가건강상태, 수면시간, 규칙적인 식사, 취미여가활동(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학력(p<0.05), 직무경력, 직급, 같은부서의 인력 적절성, 현재직장 근속년수(p<0.05)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자가건강상태(p<0.01), 수면시간(p<0.05), 취미여가활동(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타액 코티졸 농도에서는 정규시간 외 근무일(p<0.05), 자가건강상태(p<0.05)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와 타액 코티졸 농도에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건강행태가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경로계수는 -36.807(p<0.05)로, 건강행태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5.209(p<0.001)로, 건강행태가 자아존중감 0.561(p<0.05)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생활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0.012(p<0.05)로, 자아존중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2.437(p<0.001)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직무스트레스 0.523(p<0.001)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티졸농도 -0.060(p<0.05)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티졸 농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음의 상관성을 보여 만성적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코티졸 농도의 고갈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