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 Control Difficul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일부 대학생에서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및 관리 난이도

  • 최하나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and control difficulty level through a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in this study, the total of 131 medical records (82.9%)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pon excluding the record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is study among the records of 158 persons for the medical records of clinical hygiene case reports that were submitted from 2006 to 2011 by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regi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visit number when conducting a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showed that the dental biofilm index reduced meaningfully as the visit number in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those that visited for 7 sessions, the level of reduc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dental biofilm index mean per area of teeth during the final session visit of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the area of teeth was classified into labial/buccal surface, lingual/palatal surface and proximal surface, and the dental biofilm index of lingual/palatal surface was the highest with 26.5%.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ntal biofilm of maxilla/mandible reveal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dental biofilm index of maxilla and mandibl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ntal biofilm index of labial/buccal surface, lingual/palatal surface and proximal surface revealed meaingful differences among the dental biofilm index of labial/ buccal surface, lingual/palatal surface and proximal surface.

본 연구는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및 관리 난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지역에 위치한 N대학교 치위생학과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학생들이 제출한 임상치위생 증례보고서의 대상자 158명의 기록 가운데 가운데 본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기록을 제외하고 총 131부(82.9%)의 진료기록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1.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 수행 시 방문 차수에 따른 치면세균막 감소효과를 확인한 결과 2회 방문자(p=0.001), 3회, 4회, 5회, 6회 방문자(p<0.001)는 각각 방문 횟수가 많을수록 치면세균막 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7회 방문한 대상자의 경우에는 감소된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42). 2.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의 최종방문 시 치아 부위별 치면세균막 지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치아 부위를 순/협면, 설/구개면, 인접면으로 분류했을 때에는 설면/구개면의 치면세균막 지수가 26.5%로 가장 높았다. 3. 상/하악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측정한 결과 상악과 하악의 치면세균막 지수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501, p=0.014). 순/협면, 설/구개면, 인접면의 치면세균막 지수에 대한 분석 결과 순/협면, 설/구개면, 인접면의 치면세균막 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Wilks의 람다=0.686, F=26.329, p<0.001). 육분악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확인한 결과 각 부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illai의 트레이스=0.166, F=4.443, p=0.001).

Keywords

References

  1. 이수경, 이강욱, 장기완: 발거치아 관찰에 의한 한국인의 발치원인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5(2): 139-163, 2001.
  2. 최점일: 구강위생교육. 대한치과의사협회지 33(8): 559-569, 1995.
  3. Furuichi Y et al.: Patterns of de novo plaque formation in the human dentition. J Clin Periodontol 19: 423-33, 1992.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2.tb00673.x
  4. Rudney JD, Krig MA, Neuvar EK: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s between human salivary antimicrobial proteins and measures of dental plaque accumulation and composition. Arch Oral Biol 38: 377-386, 1993. https://doi.org/10.1016/0003-9969(93)90208-4
  5. Finkelstein P, Grossman E: The clinic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mechanical cleaning efficiency of toothbrushes. Clinical Pre Dent 6: 7-12, 1984.
  6. 박윤수 등: 유도장치가 부가된 진동회전방식 전동칫솔의 구강건강증진효과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39(4): 407-412, 2009.
  7. Yum HJ et al.: Proper choice of oral hygiene devices for patients. Int J of Clin Prev Dent 2(1): 100-112, 2006.
  8. 하정은 등: 치과병의원 내원환자 대상 구취조절진료에 따른 구취수준 감소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4): 491-497, 2010.
  9. 권진희 등: 구취와 치주질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30(1): 203-212, 2000.
  10. Sato T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oral care by dental hygienists. Int J Dent Hygiene 6: 63-67, 2008. https://doi.org/10.1111/j.1601-5037.2007.00275.x
  11. Westfelt E et al.: Significance of frequency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for healing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J Clin Periodontol 10: 148-156, 1983. https://doi.org/10.1111/j.1600-051X.1983.tb02203.x
  12. Ramfjord SP: Maintenance care for treated periodontitis patients. J Clin Periodontol 14: 433-437, 1987. https://doi.org/10.1111/j.1600-051X.1987.tb02247.x
  13. Wilkins EM: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e. 10th ed. Williams&Wilkins Lippintcott, Philadelphia, pp.325-351, 2009.
  14. 박성숙, 조평규: 치과내원 환자의 올리어리(O'Leary)지수와 개별치아의 치면세균막 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9(3): 426-438, 2009.
  15. 심형순, 김동기: 치간잇솔의 두부형태에 따른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3): 360-367, 2005.
  16. Furuichi Y et al.: Patterns of de novo plaque formation in the human dentition. J Clin Periodontaol 19: 423-33, 1992.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2.tb00673.x
  17. Westfelt E: Rationale of mechanical plaque control. J Clin Periodontol 23: 263-267, 1996.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6.tb0208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