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자원이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Job Stress, Personal Resources,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 Child Counselors

  • 최진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아동청소년복지전공) ;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발행 : 2012.10.31

초록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자원(강인성, 낙관성)이 아동상담자의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 대상 심리치료를 하는 아동상담자 171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자원은 소진 및 직무열의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특히 직무스트레스는 소진과, 개인적 자원은 직무열의와 더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자원으로서 강인성은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와 관련해서는 강인성과 낙관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비해 상대적인 영향력이 컸다. 따라서 강인성이나 낙관성과 같은 심리적 자원을 가진 아동상담자는 소진을 덜 느끼고 자신의 일에 더 많이 헌신하며, 몰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상담자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hardiness, optimism) of child counselors on their burnout and work engagement. For the study, 171 child counselors were surveyed. The main effects of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on burnout and engagement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both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were related to burnout and work engagement. Specially, job stress was more closely related to burnout, whereas personal resources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work engagement. Second, hardiness as personal resources reduced the level of burnout in child counseling. Third, although job stress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personal resources (hardiness, optimism) were relevant predictors of work engagement. Hardy and optimistic child counselors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burnout,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on their job.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ild counselors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숙, 김민정(2006).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실태 및 이직고려와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2), 43-63.
  2. 강현아, 노충래, 박은미, 신혜령(2008).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0(3), 107-127.
  3. 구효진, 김병용, 고재윤(2010). JD-R model을 이용한 종사원 소진과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학회, 13(5), 47-65.
  4. 권재환, 박희현(2010).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39-53.
  5. 김정민, 강다연(2011).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5), 19-32.
  6. 김정수, 조한익(2010).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와 이점발견의 매개역할: 위험사건의 통제가능성 지각과 관련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797-820.
  7. 김현미, 최인화, 권현용(2010). 청소년 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이 상담자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15(2), 173-194.
  8. 김현정(2010).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경상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희경, 김옥숙, 김청송(2011).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9), 189-209.
  10. 김홍순, 이연수, 김천송(2010). 경험논문 :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낙관성과 강인성의 매 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499-514.
  11. 박명희(1996). 건강관련 강인성 도구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영신(2012). 예비 유아교사의 낙관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1), 63-80.
  13. 박영호, 김정인(2000).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10(1), 453-481.
  14. 박희현, 김광웅(2005).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burnout) 측정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39-56.
  15. 서경현, 최인(2010). 경험논문 :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원, 강인성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309-326.
  16. 신미, 유미숙(2010). 소진위험요인과 낙관성 수준이 놀이치료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4), 29-43.
  17. 유정이, 박성호, 유성경(2003). 상담자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2), 111-120.
  18. 유지훈(2011).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스가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요구-자원모형의 적용.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윤아랑, 정남운(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20. 윤부성(2000). 아내 학대 관련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윤정임(2008).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랑(2006).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영미, 민하영(2011). 영유아보육.교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간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67-185.
  24. 이영이, 노진숙, 윤영숙, 전은희(2011).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1), 51-63.
  25. 이주희, 최미혜(1999). 치과기공사의 업무스트레스 및 강인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3(1), 117-143.
  26. 이준섭, 이철규, 유왕진(2012). 화력발전소 근무자의 직무요구가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9(1). 27-45.
  27. 임덕순(2006).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최승미(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최정실, 박승미(2012). 의료기관 종별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강인성과 소진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3) 251-259.
  30. 허일(2009). 저항상황에서 초심상담자의 낙관성이 내담자특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Bakker, A. B. (2009). Building Engagement in the workplace. In C. L. Cooper & R. J. Burke (Eds.), The peak performing organization (pp. 50-72). Routledge.
  32. Bakker, A. B., & Demerouti, E. (2007).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2(3), 309-328.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33. Bakker, A. B., Demerouti, E., & Euwema, M. C. (2005). Job resources buffer the impact of job demands on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170-180. https://doi.org/10.1037/1076-8998.10.2.170
  34. Bakker, A. B., Gierveld, J. H., & Van Rijswijk, K. (2006). Succesfactoren bij vrouwelijke schoolleiders in het primair onderwijs: Een onderzoek naar burnout, bevlogenheid en prestaties [Success factors among female school principals in primary teaching: A study on burnout, work engagement, and performance]. Diemen, The Netherlands: Right Management Consultants.
  35. Buchanan, G. N., & Seligman, M. E. (1995). Explanatory style. Hillsdale, NJ: Erlbaum.
  36. Carver, C. S., & Scheier, M. F. (1981). Attention and self-regulation: A control-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New York: Springer-Verlag.
  37. Carver, C. S., & Scheier, M. F. (1990). Origins and func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control-process view. Psychological Review, 97(1), 19-35. https://doi.org/10.1037/0033-295X.97.1.19
  38. Carver, C. S., Scheier, M. F., & Segerstrom, S. C. (2010). Optimism.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7), 879-889. https://doi.org/10.1016/j.cpr.2010.01.006
  39. Chang, E. C., Rand, K. L., & Strunk, D. R. (2000). Optimism and risk for job burnout among working college students: stress as a media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9(2), 255-263. https://doi.org/10.1016/S0191-8869(99)00191-9
  40.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nd -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https://doi.org/10.1037/0021-9010.86.3.499
  41.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42. Garrosa, E., Moreno-Jimenez, B., Rodriguez-Munoz, A., & Rodriguez-Carvajal, R. (2011). Role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nursing: A cross-sectional study of burnout and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8(4), 479-489.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0.08.004
  43. Gonzalez-Roma, V., Schaufeli, W. B., Bakker, A., & Lloret, S. (2006). Burnout and engagement: Independent factors or opposite pol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1), 165-174. https://doi.org/10.1016/j.jvb.2005.01.003
  44. Gonzalez-Roma, V., Schaufeli, W. B., Bakker, A., & Lloret, S. (2006). Burnout and engagement: Independent factors or opposite pol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1), 165-174. https://doi.org/10.1016/j.jvb.2005.01.003
  45. Hayes, C. T., & Weathington, B. L. (2007). Optimism,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job burnout in restaurant managers. The Journal of Psychology, 141(6), 565-579. https://doi.org/10.3200/JRLP.141.6.565-580
  46. Jayaratne, S., & Chess, W. A. (1983).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social work. In B. A. Farber (Eds.), Stress and burnout in the human service professions. NY: Pergamon Press.
  47. Kobasa, S. C. (1979). Stressful life events, personality, and health: An inquiry into hard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1), 1-11. https://doi.org/10.1037/0022-3514.37.1.1
  48. Kobasa, S. C. (1982). The Hardy personality: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stress and health. In: G. S. Sanders & J. Suls (Eds.), Social Psychology of Health and Illness (pp. 3-32). Hillsdale, NJ: Erlbaum.
  49. Kobasa, S. C., Maddi, S. R., & Kahn, S. (1982). Hardiness and health: A per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42(1), 168-177. https://doi.org/10.1037/0022-3514.42.1.168
  50. Luthans, F., Norman, S. M., Avolio, B. J., & Avey, J. B. (2008).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employee 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2), 219-238. https://doi.org/10.1002/job.507
  51.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2. Maslach, C., & Jackson, S. E. (1981, 198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3. Maslach, C., &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4. Maslach, C., & Leiter, M. P. (2008). Early predictors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3), 498-512. https://doi.org/10.1037/0021-9010.93.3.498
  55.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56. Mauno, S., Kinnunen, U., & Ruokolainen, M. (2007). Job demands and resources as antecedents of work engagemen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1), 149-171. https://doi.org/10.1016/j.jvb.2006.09.002
  57. Moreno-Jimenez, B., Morett, N. I., Natera, Rodriguez-Munoz, A., & Morante, M. E. (2006). Hardy personality as moderator variable of burnout syndrome in fire fighters. Psicothema, 18(3), 413-418.
  58. Peterson, C., Maier, S. F., & Seligman, M. E. P. (1993). Learned helplessness: A theory for the age of personal control. NY: Oxford University Press.
  59.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0.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9). 긍정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성격강점과 덕목의 분류 (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백수현, 안선영 역) 서울 : 한국심리상담연구소. (원전은 2004 에 출판).
  61. Pollock, S. E. (1986). Human responses to chronic illnes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Nursing Research, 35(2), 90-95.
  62. Schaufeli, W. B., & Bakker, A. B. (2003). UWES -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Test Manual. Unpublished Manuscript: Department of Psychology, Utrecht University. (http://www.schaufeli.com)
  63. Schaufeli, W. B., & Bakker, A. B.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https://doi.org/10.1002/job.248
  64. Schaufeli, W. B., & Buunk, B. P. (2003). Burnout: An overview of 25 years of research and theorizing. In M. J. Schabracq, J. A. M. Winnubst, & C. L. Cooper (Eds.),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pp. 383-425). Chichester: Wiley.
  65. Scheier, M. F., & Carver, C.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2), 201-228. https://doi.org/10.1007/BF01173489
  66.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63
  67. Seligman, M. E. P., & Csikszem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68. Xanthopoulou, D., Bakker, A. B., Demerouti, E., & Schaufeli, W. B. (2007). The role of personal resources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4(2), 121-141. https://doi.org/10.1037/1072-5245.14.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