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 발행 : 2012.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아동발달에 관한 지식과 자녀발달을 위해 행하는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지식과 행동의 수준의 차이에 따라 지각되는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영남, 호남 지역에 거주하는 18~3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적률상관계수,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발달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영역별 양육행동 중 인지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집단별 비교에서도 영역별 적합한 양육행동을 많이 행하지 못하는 하위집단이 중상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knowledge and behaviors that mothers have on infant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45 mothers whose infants range in age from 18 to 36 months. The instruments used are: 1)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KCDI) (Larsen & Juhasz, 1986), 2) Q-sort modified by Ahn (2001), 3) Parenting Stress Scale (PSS) (Kim & Kang, 1997),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es used SPSS 12.0 which employs basic statistics, a reliability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 correlation (r= -.20*) between behaviors of child-rearing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pecifically, mothers behaviors of child-rearing related to cognition development could predict parenting st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율희(2001). 자녀의 성,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사회, 경제적 수준에 따른 양육신념과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혜진(2005).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및 매개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4. 김양은, 조복희, 정민자(200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3(2), 68-85.
  5. 김영주, 송연숙(2007). 1세-3세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475-493.
  6. 김은영(2005).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훈육방식과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경자(2001). 1세 영아 어머니의 양육 행동에 대한 Q-sort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9(1), 137-149.
  8. 박성연, 전춘애, 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9. 박응임. (1995). 영아-어머니 간 애착 유형과 그 관련 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박해미. (1994). 자녀양육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3. 신영아. (2007). 걸음마기 아동의 순응행동에 관련된 변인들 : 아동의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요구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양미선, 조복희.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발달지식과 발달에 대한 기대. 영유아보육학회지, 58, 149-166.
  16. 엄성애, 박성연. (2006). 보육시설 영유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보육경험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6), 59-69.
  17. 윤형주, 조복희. (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련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18. 이근영, 장유경, 임현정. (2004). 영아모의 자녀양육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1), 45-63.
  19. 이영환, 오미연. (2006).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9(3), 47-62.
  20. 이정화. (2006). 걸음마기 아동의 발달선별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1), 105-125.
  21. 이주연.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5), 35-48.
  22. 이주연, 이석호. (2010). 영아기 및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정보 습득과 양육지식. 아동학회지, 31(4), 179-197.
  23. 장은경, 박은혜, 김희진. (1998). 만 3세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기대. 대한가정학회지, 36(4), 13-146.
  24. 장정미. (2006). 임신기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조결자, 이군자, 이옥자. (1999). 신생아 돌보기 교육이 어머니의 자신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5(1), 84-96.
  26. 최유리. (2005). 어머니의 육아방식 및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12개월 이하의 첫아이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최형성. (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백서. 서울: 한국아동학회.
  29. Abidin, R. P.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1-412.
  30. Bond, L., & Burns, C. L. (2006). Mothers' Beliefs about Knowledge,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ategies: Expanding the Goals of Parenting Programs,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27(6), 555-571. https://doi.org/10.1007/s10935-006-0061-9
  31. Bughental, D. B. Johoson, C., New, M., & Silvester, J. (1998). Measuring parental attribution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2, 459-480. https://doi.org/10.1037/0893-3200.12.4.459
  32. Crinic, K. A.,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1042-1050. https://doi.org/10.2307/353007
  33.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t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https://doi.org/10.2307/1130428
  34. Goodnow, J.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 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39(2), 286-320.
  35. Gross, D.,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207-215. https://doi.org/10.1002/nur.4770170308
  36. Gross, D., & Tucker, S. (1994). Parenting confidence during toddlerhood: A comparison of mothers and fathers. American Journal of Primary Healthy Care, 19(10), 179-201.
  37. Huang, K. Y., Caughy, M. O., Genevro, J. L., & Miller, T. L. (2005). Maternal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quality parenting among White, African-American and Hispanic mothers,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26, 149-170. https://doi.org/10.1016/j.appdev.2004.12.001
  38. Laible, D. J. (2000). Parent-child conflict in the toddler years: lessons in emotion, morality, and relationships.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39. Larsen, J., & Jahasz, A., M. (1985).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Adolescence, 21(81), 39-54.
  40. Macphee, D. (1984). The pediatrician as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9(1), 87-100. https://doi.org/10.1093/jpepsy/9.1.87
  41. Miller, S.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https://doi.org/10.2307/1130311
  42. Ninio, A. (1979). The naive theory of the infant and other maternal attitudes in two subgroups in Israel, Child Development, 50, 976-980. https://doi.org/10.2307/1129322
  43. Tamis-LeMonda, C. S., Shannon, J., & Spellman. M. 2002. "Low-income adolescent mothers' knowledge about domains of child development."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3(1-2), 88-103. https://doi.org/10.1002/imhj.1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