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지역사회 육아 지원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

The Cognition on Community Childcare Support and Social Support between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 김혜금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 발행 : 2012.02.29

초록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2008년 한국아동패널 대표집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의 육아 지원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취업모 654명, 비취업모 1,416명으로 총 2,07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50% 이상은 보육시설이, 45% 이상은 유치원과 사설교육기관이 충분하다고 보았다. 또한 취업모(52%)가 비취업모(45%)보다 공공 여가 공간/시설 이용이 더 편리하다고 보았고 비취업모(80%)가 취업모(73%)보다 문화시설 이용이 더 불편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절반 정도가 지역사회의 치안과 안전사고 측면이 비교적 안전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지역사회의 전반적 양육 적절성은 집단간 차이없이 80% 이상이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취업모가 비취업모 보다 전반적으로 사회적 지원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주변에서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걱정을 해 주거나, 물품이 필요할 때 빌려주거나, 일손이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거나, 집안 길흉사에 서로 방문하거나, 여가나 휴가 때 같이 놀러가는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n community childcare policy and childcare service needs between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using the 2008 Child Panel by Korea Childcare Policy Institute. The participants were 654 working mothers and 1,416 non-working m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50% of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thought that the number of childcare centers was enough. Forty-five percent of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recognized that the number of kinder gartens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was enough. Fifty-two percent of working mothers and 4 5% of non-working mothers thought that use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were convenient. Twenty-seven percent of working mothers and 20% of non-working mothers thought that use of culture institutes were easily accessible. About 50% of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felt safe about public security and community safety. 2) Second, working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higher than non-working mothers in several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경(1998). 3세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역할관과 지원제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구명숙, 홍상욱(2005).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대에 따른 육아지원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31-546.
  3.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영향 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4. 김효민, 박정윤, 김양희(2008). 취업모의 보육서비스 이용만족도 및 개선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6), 79-86.
  5. 김희정(2008). 일본 자녀양육지원정책의 현황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2(6), 377-399.
  6. 류연규(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사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사회보장연구, 21 (3), 233-261.
  7. 박선영(2005). 0-3세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배지희, 황인애, 탁옥경(2007). 영유아기 자녀양육 및 교육 지원에 대한 전업주부의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25-254.
  9. 서문희, 조애저, 김유경, 최은영, 박지혜, 최진원(2005). 2004년도 전국 보육.교육 실태조사1-보육.교육 이용 및 욕구 실태조사 보고. 서울: 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양연숙(2003). 소자화 현상에 따른 일본의 자녀양육지원정책 및 보육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 34, 23-41.
  11. 양하영(2010).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원숙연(2005).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둘러싼 수사와 현실-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4(2), 157-275.
  13. 이재림, 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 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3.
  14. 이정신, 최영희(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1), 19-32.
  15. 이하정(2010). 일본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체계의 특성-지역양육지원거점사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1), 371-393.
  16. 조복회, 이옥, 이진숙, 한유미(2003). 지역사회 공공보육시설 설치를 위한 학부모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5, 259-281.
  17. 조성연, 김혜금, 신헤원(2009). 학령전 아동의 고액학원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와 이를 통한 보육정책제언. 대한가정학회지, 47(9), 1-14.
  18. 최영신(2005). 한.일 자녀양육지원 및 보육서비스의 니즈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 161-182.
  19. 최영신, 김만호(2006). 일본 자녀양육지원센터의 복지.보건 연계에 대한 일고찰. 사회복지정책, 27, 27-53.
  20. 통계청(2011). 2011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대전: 통계청.
  21. 현온강, 조은경(1995). 국공립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의 요구 분석-인천직할시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2, 219-244.
  22. 홍금자(2006). 일본의 보육 및 아동양육지원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6, 117-145.
  23. 황혜정, 정미미(2008). 강원도 보육시설에 대한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이용실태, 만족도,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 차이. 한국영유아보육학, 53, 199-218.
  24. Berger, E. H. (2004). Parents as partners in education: Families and schools working together(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rson Prentice Hall.
  25. Bogenschneider, K., Small, S. A., & Tsay, J. C. (1997). Child, parent,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among par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345-362. https://doi.org/10.2307/353475
  26.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7. Coleman, P., & Karraker, K.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 47-85.
  28. Gestwicki, C. (2000). Home, school, and community relations: A guide to working with families(4th ed.). Albany, NY: Delmar.
  29.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9). Child car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e first 3 years of life. Developmental Psychology, 35, 1399-1413. https://doi.org/10.1037/0012-1649.35.6.1399
  3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Child care and family predictors of preschool attach ment and stability from infancy. Developmental Psychology, 37, 847-86. https://doi.org/10.1037/0012-1649.37.6.847
  31. Schilling, R. F., Gilchrist, L. D., & Schinke, S. P. (1984). Coping and social support in families of develop mentally disabled children. Family Relations, 33, 47-54. https://doi.org/10.2307/584589
  32. Thoits, P. A. (1986). A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4), 416-423. https://doi.org/10.1037/0022-006X.54.4.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