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 of economic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D college in Daegu city-

대학생의 경제이해력 측정 -대구 D대학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0.10
  • Accepted : 2012.12.12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out how the economic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ould affect their economic literacy via a survey with 494 D college students in Daegu city. First, economic literacy based on the general societal characteristics indicates 48.33 with females and 46.76 with males on average respectively, which shows a low score by and large. In the program divisions of college, nursing students showed the highest economic literacy, 58.67, followed by students in humanity and society, 53.56 students in engineering, 49.00 students in public health, 45.78 and students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39.64. Levels of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father also affected economic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whose father has a middle school diploma or lower revealed the highest economic literacy, 50.11. A second place is those whose father has a high school diploma, 49.57. The lowest score was recorded by those whose father has a graduate school degree. Even among the college students, those who just graduated from high school exhibited the highest economic literacy, 49.35, whereas those with a graduate school degree showed the lowest, 40.00 on average. In the economic literacy by financial empirical characteristics,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of opening a bankbook came up with 48.47, and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opened a bankbook demonstrated a very low score of 30.20 on average. In the economic literacy by economic life variable, college students who never receive pocket money showed the highest score of 50.88, and those who get some pocket money whenever they need exhibited the lowest score of 44.23 on average. In the economic literacy by economic education variable,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taken an economic education showed a score of 50.09. On the other hand,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taken an economic education exhibited a score of 45.23 on average. College students who said that economic education is necessary showed a score of 50.24 in the economic literacy, whereas those who said that economic education is not necessary exhibited a score of 45.23 on average.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D대학 대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경제이해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통해서, 일반 사회적 특성, 금융경험, 경제생활 경험, 경제교육 경험 등이 경제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일반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경제이해력을 먼저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학생이 평균 48.33, 남학생의 평균이 46.76으로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전공계열별로는 간호계열 대학생의 경제이해력 평균이 58.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 사회계열평균 53.56, 다음으로 공학계열 49.00, 보건계열 45.78, 예 체능계열 평균 39.64로 경제이해력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의 학력에 따른 대학생의 경제이해력 평균에 차이가 나타났다. 부의 학력이 중학교졸업 이하인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이 50.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고등학교 졸업 학력을 둔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은 49.57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졸업 학력을 둔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이 35.1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의 학력에 있어서도 고등학교 졸업 학력을 둔 대학생의 이해력이 49.3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 졸업 학력을 가진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이 40.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융 경험적 특성에 따른 이해력에서는 통장을 개설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평균이해력은 48.47로 나타났으며, 개설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은 30.20으로 낮게 나타났다. 경제생활 변수에 따른 이해력을 살펴보면 용돈의 수령형태에 있어서 용돈을 거의 받지 않는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이 50.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할 때 마다 수령하는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은 44.2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경제 교육적 변수에 따른 이해력을 살펴보면 경제 교육을 받았는가의 질문에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라고 답한 대학생의 평균이 50.09로 나타났고, 경제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라고 답한 대학생의 평균은 45.23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필요하다라고 답한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은 50.24로 나타났고, 경제교육이 필요치 않다라고 답한 대학생의 이해력 평균은 44.29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