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제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Fish Assemblages in Sandy Shore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이대희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박준수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한동훈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곽우석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Kim, Jun-Sop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Dae-Hee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Su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an, Dong-Hun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Gwak, Woo-Seok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1.19
  • 심사 : 2012.03.26
  • 발행 : 2012.03.31

초록

이번 연구는 잘피밭과 인접한 사질연안의 어류상을 관찰하고, 서식지로서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총 38종, 1,232개체 5,277.7 g이 채집되었으며, 주요 어종은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이며 전체 개체수의 73.2%를, 생체량에서는 53.9%를 차지하였다. 월별 수온은 $11{\sim}25^{\circ}C$ 범위였으며, 염분은 29~35 psu 범위였다. 월별 종 다양성 지수는 0.89~2.35로 2010년 3월이 0.89로 가장 낮았으며, 6월이 2.35로 가장 높았다.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 종조성과 풍도는 거제 구조라 사질연안보다 높았으며, 잘피밭에도 서식하는 어종이 다수 채집되었다. 다른 사질연안의 어류군집구조와 비교하여 명사 사질연안 어류 서식지의 특성을 서술하였다.

Seasonal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sandy shore adjacent to eelgrass bed was determined. Monthly samples were collected by a beam trawl from August 2009 to July 2010. A total of 38 species, 1,232 individuals and 5,277.7g of fish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Favonigobius$ $gymnauchen$, $Takifugu$ $niphobles$, $Hypodytes$ $rubripinnis$, and $Rudarius$ $ercodes$. These four dominant fish accounted for 73.2%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53.9% of the biomass of collected fish. During the survey,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1 to $25^{\circ}C$, and the salinity ranged from 29 to 35 psu. The monthly species diversity index showed the lowest value of 0.89 in March and highest value of 2.35 in June 2010.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Myeongsa sandy shore, were similar to that the adjacent eelgrass bed, bu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Gujora sandy shore open the sea.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유봉.조성환.고경민.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연구 II.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Brevoort)의 성장, 산란 및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61-70.
  2. 김병기.곽우석.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과 구조라 사질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논문집, 19: 79-91.
  3. 김영호. 2006. 거제 연안에 분포하는 어류상.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pp.
  4. 김익수.최 윤.이충열.이용주. 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5.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2011. 경남 거제 명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3: 119-127.
  6. 신민철.이태원. 1990. 대천 해빈 쇄파대 어류군집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5: 135-144.
  7. 오성현.한경호.김용민.정현호.신상수.김용억. 2000. 복섬, Takifugu niphobles (Jordan et Snyder)의 산란습성 및 초기 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2: 236-243.
  8. 윤창호.심재환. 2001. 저인망에 채집된 거제도 남동지역 해안의 어류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167-174.
  9. 이대희.김병기.김태진.이소정.곽우석. 2011. 거제도 구조라와 거제만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로 채집된 치어와 미성어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3: 135-144.
  10. 이대희.김준섭.박준수.한동훈.곽우석. 2011. 거제도 저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3: 225-233.
  11. 이대희.김태진.최병언.이소정.곽우석. 2010.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2: 179-185.
  12. 이정식.김재원.강주찬.신윤경.진 평. 2000.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의 생식주기 및 생식소 발달. 한국수산학회지, 33: 219-224.
  13. 이태원.문형태.최신석. 1997. 천수만 어종의 종조성 변화(2) 쇄파대 어류. 한국어류학회지, 9: 79-90.
  14. 이태원.황선완.박승윤.조영록.정희정. 1995. 천수만 천해어 류 군집구조의 변화. 국립수산과학원연구보고, 49: 219-231.
  15. 이택열.羽生功. 1984.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의 생식주기. 한국어류학회지, 17: 423-435.
  16. 임양재.이태원. 1990. 천수만 망둑어과 어류의 계절에 따른 종 조성 변화와 우점종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 182-202.
  17.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119: 184-190.
  18. 최 윤.김지현.박종영. 2002. 한국의 바닷물고기. 교학사, 646pp.
  19. 허상우.김성준.송영보.이치훈.임봉수.노 섬.백혜자.김형배.이영돈. 2006. 바닥문절(Sagamia geneionema) 암컷의 생식주기. 한국수산학회지, 39: 404-409.
  20. 허성범.유재명. 1984. 한국 서해안의 어류 난치어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17: 536-542.
  21. Akagawa, I., T. Iwamoto, S. Watanabe and M. Okiyama. 2004. Reproductive behaviour of Japanese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Gasterosteiformes), in the natural habitat compared with relatives. Environ. Biol. Fishes, 70: 353-361. https://doi.org/10.1023/B:EBFI.0000035431.49195.13
  22. Brown, A.C. and A. McLachlan. 1990. The Ecology of Sandy Shores. Elsevier Sci., Amsterdam, 328 pp.
  23. Horinouchi, M. 2005. Effects of changes in seagrass shoot density and height on abundance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juvenile fishes. Aquabiology, 27: 350-355.
  24. Kikuchi, T. 1966. An ecological study on animal communities of the Zostera marina belt in Tomioka Bay, Amakusa, Kyushu. Publ. Amakusa Mar. Biol. Lab., 1: 1-106.
  25. Lie, H.J. and C.H. Cho. 2002.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East China Sea. Fish. Oceanogr., 11: 318-328. https://doi.org/10.1046/j.1365-2419.2002.00215.x
  26. McLachlan, A. 1983. Sandy beaches ecology-a review. In: McLachlan, A. and T. Erasmus (eds.), Sandy beaches as ecosystems. W. Junk, Hague, pp. 321-380.
  27. Modde, T. and S.T. Ross. 1981. Seasonality of fish occupying a surf zone habitats in the Gulf of Mexico. Fish. Bull., 78: 911-922.
  28.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Kanagawa, 1749pp.
  29. Okamura, O. and K. Amaoka. 1997. Sea fishes of japan. Yama-kei, 783pp.
  30.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117pp.
  31. Uchida, K. 1964. Search for juvenile fishes. Iwanamishinsho, 20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