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04.30
  • Accepted : 2012.05.25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ased on the 2008 national survey data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We found that the questions about the quality of life is categorized by three groups such as self consolidation, harmony between generations and hope for later activity, which is the order of the power of the affection to life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could be used as a basic document for taking efficient actions for the welfare services to the elderly.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의 '2008년 노인실태조사'에서 얻어진 노인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질문을 이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질문은 자아개발, 새로운 경험추구, 유행과 소비추구, 미래계획으로 이루어진 노후활동희망 요인과 동년배 비교행복감, 생활전반 만족도, 미래희망, 현재의 행복감으로 이루어진 자아통합감 요인, 가족의 노인의견존중, 연장자의 지혜, 가족관계 추구의 세대간조화의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노후활동희망이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을수록, 세대간조화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있는데 자아통합감, 세대간조화, 노후활동희망의 순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복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 61-76.
  2. 권철, 남철현, 황해석, 정한태, 하순회, 민경진, 김순 (2006).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32, 66-74.
  3. 김경호, 김지훈 (2009).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 29, 71-87.
  4. 남기만, 박현주 (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9, 405-429.
  5. 배나래, 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29, 761-779.
  6.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보건복지가족부, 서울.
  7. 신창환 (2010).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 453-469.
  8. 신현구 (2007).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만족도 및 삶의만족도. <노동리뷰>, 3월호, 81-93.
  9. 유정이 (2006).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 건강, 배우자 요인을 중심으로-. <복지행정연구>, 22, 241-254.
  10. 이은희 (2009). <최신노인 복지론>, 서울, 학지사.
  11. 이정의 (2010). 한국노인의 교육수준별 생활만족 결정요인: 사회적 관계 및 참여, 건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 709-726.
  12. 이주영, 문재우 (2011).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37, 45-57
  13. 최현석, 하정철 (2012). 노인의 생활전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 131-142. https://doi.org/10.7465/jkdi.2012.23.1.131
  14. 홍종선, 정충현, 조민호, 김혜정 (2012). 2008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의 통계분석. <한국데이 터정보과학회지>, 23, 13-24. https://doi.org/10.7465/jkdi.2012.23.1.013
  15. Fornell, C. and La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 39-50.

Cited by

  1.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ctivities on the Feeling of Happiness for the Elderly in Korea vol.25, pp.2,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2.025
  2. Statistical analysis of life pattern and functional cosmetics awareness vol.25, pp.6,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6.1273
  3. An Exploratory Study on Appearance Related Quality-of-Life of Obese Korean Men vol.39, pp.6,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6.812
  4.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Urban-Dwelling Older Koreans vol.22, pp.1,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72
  5. The influence of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vol.25, pp.1,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1.77
  6. Effect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School Program Participants vol.15, pp.8,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078
  7. The Relationship Between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in the Elderly vol.24, pp.3, 2012, https://doi.org/10.24985/kjss.2013.24.3.520
  8. A Study on Influences of the Satisfaction in Economic Life of Elderly Women vol.14, pp.1, 2014, https://doi.org/10.35224/kapd.2014.14.1.002
  9. A Study about Change of Elderly Lifelong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Old People’s Life Satisfaction vol.22, pp.2, 2012, https://doi.org/10.24159/joec.2016.22.2.77
  10.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 vol.27, pp.3, 2012,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3.254
  11. Psychosocial aging and age integration awareness :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vol.54, pp.None, 2012, https://doi.org/10.16975/kjfsw.2016..54.006
  12. 노인들의 배우자 유무에 따른 삶의 특성 차이에 관한 연구 vol.18, pp.1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623
  13.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15, pp.1, 2020, https://doi.org/10.16972/apjbve.15.1.202002.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