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Plan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Qualification System of Theatrical Art Technicians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의 개선 및 활성화 방안

  • 안경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 구승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 류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Received : 2012.03.05
  • Accepted : 2012.04.25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improvements by correcting problem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of theatrical art technicians, which has a relatively weak foundation, compared to other national industrial qualification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main issues and development plans in the field of theatrical art technology, while carrying out in-depth interviews for theatrical art technician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Firstly, the existing system is mostly focused on performance places, especially large-sized public performance halls. Secondly, as a problem in terms of management, the existing system has non-professional management subjects and non-convenience regarding the number of qualification tests and places only in Seoul and once a year. This study grasped problems based on practical demands of the related indust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us seeking proper solutions. What matters most is that the present system should be converted from performance place-centered management to performance-centered management. In other words, by expanding qualification-acquired experts into all the performances, the system should practical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s and expanding the treatment of experts,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ystem. Moreover, it is needed to seek a plan to expand the convenience of applicants for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acquiring qualifications.

본 연구에서는 타 산업의 국가자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한 무대예술분야 국가자격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해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무대예술기술 분야의 주요 쟁점 및 발전 방안에 대한 모색을 시도였으며, 무대예술전문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제도의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본 제도가 공연장, 그중에서도 대형 공공 공연장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운영상의 문제로 비전문적 운영 주체의 문제와 연 1회, 서울 만이라는 검정 횟수, 장소 등의 비편의성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업계의 실질적 요구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그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을 모색해보았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제도가 공연장 중심 운영에서 공연 중심의 제도 운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모든 공연에 자격 취득 전문가들의 참여를 확대시켜 제도의 근본적 목적인 공연의 질적 향상과 전문가들의 처우확대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자격 취득 절차와 방법에 있어 응시자들의 편의성을 확대하는 방법 또한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률 제10723호
  2. 이영두, "문화예술 전문직(예술경영인)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8집, pp.1-20, 2005.
  3. 장미진, 박동우, 장혜숙,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인증제도 운영 내실화 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
  4. 허은영,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 규제순응도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5. 박영정, "무대예술 전문인 자격인증제도 개선 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22집, pp.33-57, 2009.
  6. 이장원,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의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258-274, 2010.
  7. 이주영, "무대예술전문인 자격검정제도 도입이 고용환경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문음사, 2006.
  9. 박혜준, 이승연,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3판, 학지사, 2009.
  10. 예술경영지원센터, 2009공연예술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