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심박출계수의 변화 연구

The Study on Ejection Fraction Change According to Patient Position Difference in Gated Blood Pool Scan

  • Choi, Ho-Y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 Kim, Da-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 Jeong, Jae-H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 Yun, Sang-Hy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 Kim, Yeong-S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 Won, Woo-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투고 : 2012.02.28
  • 심사 : 2012.04.06
  • 발행 : 2012.04.28

초록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GBP)은 심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EF)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어 항암 화학요법 시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심장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심장을 촬영하는 검사의 특성상 환자가 왼쪽 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바로 누운 자세로 검사가 진행된다. 하지만 부종, 관절염, 골절 등의 이유로 팔을 들지 못하는 환자는 검사를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고 검사 자체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팔을 올리지 않고 촬영하였을 때의 EF가 기존 자세와 비교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3월에서 9월까지 유방암 항암 화학요법 치료 중인 환자 80명(평균연령 $51.2{\pm}17.4$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40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좌전사위상을 기존 자세와 팔을 바로 내린 자세, 기존 자세와 팔을 뒤로 돌린 자세로 각각 촬영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EF를 비교하였다. 촬영장비는 INFINIA 감마카메라(General Electric Healthcare, Israel)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Xeleris (General Electric Healthcare, USA) 자동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동분석 오차인 3%를 기준으로 하여 EF 변동을 판단하였다. 첫 번째 그룹인 기존 자세와 팔을 바로 내린 자세와의 비교에서는 40명 중 29명(72%)이 자동분석 오차인 3% 이하의 변동 값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그룹인 기존 자세와 팔을 뒤로 돌린 자세와의 비교에서는 40명 중 32명(79%)이 3%이하의 오차 값을 보였다. 환자의 비만도가 결과에 영향을 주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환자의 체질량지수를 측정하고 EF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자세 변경 시 기존 자세 대비 심박출 계수의 오차 7%였던 환자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확장기말 영상에서의 계수변화가 16.6%였던 반면, 수축기말에서는 32.3%의 계수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계수 변화 차는 왼쪽 팔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비교적 용적이 작은 수축기말의 영상이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늑골의 음영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GBP 촬영 이력이 있는 환자는 과거 검사와 동일 자세로 촬영함으로써 이전 검사조건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환자가 부득이하게 팔을 못 올리는 경우 팔을 뒤로 내린 자세로 촬영함으로써 이전 촬영과의 EF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jection fraction (EF)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atient position in Gated Blood Pool (GBP) scan. Material and Methods: The analysis was performed to 80 patients ($51.2{\pm}17.4$ years old) who examined GBP scan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from March 2011 to August 2011.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osition (raise left arm up supine) and supine position (group 1) and the other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osition and left arm back down supine position (group 2). To observe the change EF according to patient position difference, the image was reconstructed and analyzed by Xeleris (GE, USA). We measured body mass index (BMI) of patients. Result: In group 1, EF error less than 3% occurred at a rate of 72.5% (29 of the 40 patients). In group 2, EF error less than 3% occurred at a rate of 79% (32 of the 40 patients). The patient's BMI did not affect ejection fraction. Conclusion: The EF error of left arm back down supine position closer to conventional position than in supine position shows the resul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