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에서 좌전사위상 각도의 변화에 따른 정량적 지표 비교

The Comparison of Quantitative Indices by Changing an Angle of LAO View in Multi-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 윤순상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남기표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류재광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김성환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Yoon, Soon-Sa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Nam, Ki-Py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Ryu, Jae-Kwa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Seong-Hw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투고 : 2012.03.08
  • 심사 : 2012.04.06
  • 발행 : 2012.04.28

초록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MUGA)은 좌심실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심근독성 항암제를 투여 받는 환자에서 심박출 계수(Ejection Fraction, EF)를 추적, 감시하는데 이용되어 많은 검사가 시행되고 있다. EF를 산출하기 위해 좌전사위상(Left Anterior Oblique, LAO)에서 좌우 심실이 분리되도록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때 LAO 각도의 설정은 정량분석 값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본 연구는 LAO 각도의 변화가 정량분석 값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06월부터 09월까지 본원에서 MUGA 검사를 시행한 환자 49명(남 8명, 여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최적 중격상(Best septal view)으로 촬영 후, 전면과 측면 측으로 LAO 각도를 가감하여 총 3회 촬영하였다. ${\pm}5^{\circ}$로 환자 20명, ${\pm}10^{\circ}$로 29명을 촬영하였고, 관심영역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각각 설정하여 좌심실의 EF와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를 비교하였다. 먼저 관심영역을 자동으로 분석하였을 때, ${\pm}5^{\circ}$의 경우, LAO, LAO $-5^{\circ}$, LAO $+5^{\circ}$에서의 EF의 평균값은 각각 $61.0{\pm}7.5%$, $62.1{\pm}7.1%$, $60.9{\pm}6.7%$ ($p$=0.841)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m}10^{\circ}$의 경우, EF의 평균값은 각각 $62.4{\pm}9.54%$, $62.3{\pm}10.8%$, $61.6{\pm}9.3%$ ($p$=0.938)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관심영역을 수동으로 분석하였을 때, ${\pm}5^{\circ}$의 경우, EF의 평균값은 각각 $62.8{\pm}7.1%$, $63.6{\pm}7.5%$, $62.7{\pm}7.3%$ ($p$=0.903)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m}10^{\circ}$의 경우, EF의 평균값은 각각 $65.5{\pm}9.0%$, $66.3{\pm}8.7%$, $63.5{\pm}9.3%$ ($p$=0.473)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최적 중격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pm}5{\sim}10^{\circ}$의 영상의 차이는 EF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최적 중격상에서 벗어난 영상은 좌심실의 벽 운동 등과 같은 심장의 운동상태를 정성적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판독자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multi-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is to evaluate the function of left ventricle (LV) and usefully observe a value of ejection fraction (EF) for a patient who is receiving chemotherapy. To calculate LVEF, we should adjust an angle of left anterior oblique (LAO) view to separate both ventricles. And by overlapped ventricles, it is possible to affect LVE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quantitative indices by changing an angle of LAO view.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49 patients who were examined by multi-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t Asan Medical Center from June to September 2011. Firstly, we acquired "Best septal" view. And then, we got images by addition and subtraction of angle for LAO view to anterior and lateral. We compared three LAO views for 20 people by 5 degrees and 39 people by 10 degrees. And we analyzed quantitative indices, EF, end diastole and end systole counts, by automated and manual region of interest (ROI) modes. Results: Firstly, we analyzed quantitative indices by automated ROI mode. In case of 5 degrees, the averages of EF are $61.0{\pm}7.5$, $62.1{\pm}7.1$, $60.9{\pm}6.7%$ ($p$=0.841) in LAO, LAO $-5^{\circ}$ and LAO $+5^{\circ}$ respectively.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end diastole and end systole counts ($p$<0.05). In case of 10 degrees, the averages of EF are $62.4{\pm}9.5$, $62.3{\pm}10.8$, $61.6{\pm}.9.3%$ ($p$=0.938) in LAO, LAO $-10^{\circ}$ and LAO $+10^{\circ}$ respectively.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end diastole and end systole counts ($p$<0.05). Secondly, we analyzed quantitative indices by manual ROI mode. In case of 5 degrees, the averages of EF are $62.8{\pm}7.1$, $63.6{\pm}7.5$, $62.7{\pm}7.3%$ ($p$=0.903) in LAO, LAO $-5^{\circ}$ and LAO $+5^{\circ}$ respectively.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end diastole and end systole counts ($p$<0.05). In case of 10 degrees, the averages of EF are $65.5{\pm}9.0$, $66.3{\pm}8.7$, $63.5{\pm}.9.3%$ (p=0.473) in LAO, LAO $-10^{\circ}$ and LAO $+10^{\circ}$ respectively.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end diastole and end systole counts ($p$<0.05). Conclusion: When an image is nearly "Best septal" view, the difference of LAO angle would not affect to change LVEF.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quantitative analysis, deviations could happen when to interpret wall motion qualitatively by reading physicia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