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수한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과학실험 유형과 학습양식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of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 투고 : 2012.01.05
  • 심사 : 2012.02.29
  • 발행 : 2012.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유형별 실험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과학성적 우수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을 검사한 후 확인실험, 발견실험, 탐색실험, 연구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이 끝난 후 각 실험수업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별로 그룹화 하였으며 그룹 별 학습양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개인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이 있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동기화(자기-동기화, 부모-동기화, 교사-동기화)와 구조화 선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우수 학생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을 선호하였다. 또한 이런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은 학습양식 중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은 서로 관계가 있었다.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구조화되고 폐쇄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신체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Dunn과 Dunn(1993)의 학습양식 측정 결과가 일반 수업뿐 아니라 실험수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 perception of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Incheon in Korea, who showed outstanding science grades. Dunn et al's revised Learning Styles Inventory (1997) was used for testing students' learning style. The students were asked to choose preferred and not preferred types of experiments and describe the reason of the choices after implementation of 4 types of experiments: verification, discovery, explorator, and investigation laboratory instru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had a certain common learning style irrelevant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 e; they showed high (self, teacher, parents) motivation and structure stimuli that was common in Korean students. Second, outstanding students prefer unstructured and open laboratory instructions. And those students were highly influenced by sociological and emotional stimuli. Third, students' learning style was related to their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Students preferring unstructured and open laboratory were influenced by sociological and emotional stimuli, while those preferring structured and closed laboratory were influenced by physiological stimuli.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 과학.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3), 260-268.
  3. 김경희 (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용권, 한태수 (2003). 흥미 유발 실험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8, 117-137.
  6. 김은정 (1999). 학습양식 유형의 분류 동향. 연세교육연구, 12(1), 107-130.
  7. 김조연,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강원과학교육연구회지, 7(1), 1-10.
  8. 김지영, 강순희 (2007). 가설 연역적 탐구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69-179.
  9. 노국향, 신동희 (2001). PISA 2000 과학평가 결과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마상진, 이용환 (1997). 고등학교 학생의 학습양식에 관한 군집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논집, 29(3), 91-108.
  11. 박완희 (1984).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와 몇 가지 관련변인들에 대한 연구. 교육학연구, 22(2), 99-120.
  12. 신종호, 서정희, 최재혁, 김용남, 김윤근, 이현주 (2007). 사고유형에 따른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95-506.
  13. 양일호, 정진우, 허명, 김석민 (2006).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42-355.
  14. 양일호, 김석민, 조현준 (2007).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35-241.
  15. 이달석 (2004).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학습양식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49-70.
  16.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미숙, 나귀수, 최성연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최규리, 백희수 (2010). 학습양식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 Chiappetta, E. L., Koballa, Jr., T., & Collette, A. T. (1998).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4nd ed. Columbus, OH: Merill Publishing Company.
  20. De Bello, T. C. (1990). Comparison of eleven major learning style models, variables, appropriate populations, validity of instrumentation, and the research behind them. Journal of Reading, Writing, and Learning Disabilities, 6, 203-222. https://doi.org/10.1080/0748763900060302
  21. Dunn, R. & Dunn, K. (1975). Learning styles, teaching styles. NASSP Bulletin, 59(393), 37-49.
  22. Dunn, R. & Dunn, K. (1993). Teaching secondary students through their individual learning styles: Practical approaches for grades 7-12. Boston: Allyn & Bacon.
  23. Dunn. R., Dunn. K., & Price. G. E. (1997). Learning style inventory(LSI). Lawrence. ks: Price system.
  24. Entwistle, N. J. (1981). Styles of learning and teaching. New York: John Willey & Sons.
  25. Felder, R. M., & Spurlin, J. (2005). Application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dex of learning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1(1), 103-112.
  26. Grasha, A. F., & Reichmann, R. E.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strument. Jounal of Psychology, 87, 213-223. https://doi.org/10.1080/00223980.1974.9915693
  27. Gregorc, A. F. (1979). Learning/teaching style : Potent forces behide them. Educational Leadership, 36(4), 234-236.
  28.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70, 171-212.
  29. Hofstein, A., &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2), 201-217.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2201
  30. Keefe, J. W. (1987). Learning style theory and practice. Virginia :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83 828).
  31. Kolb, D. A. (1976). Management and learning proces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15(3), 20-31.
  32. Kolb, D. A. (1993). Learning style inventory, LSI-IIa. Boston: McBer & Company.
  33. Lazarowitz, R., & Tamir, R.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94-128). New York: Macmillan.
  34. Pask, G., & Scott, B. C. E. (1972). Learning strategies and individu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4(1), 217-253. https://doi.org/10.1016/S0020-7373(72)80004-X
  35. Pella, M. O. (1961). The laboratory and science teaching. The Science Teaching, 28(5), 29-31.
  36. Schmeck, R. R., & Lockhart, D. (1983). Introverts and extraverts require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Leadership, 40(5), 54-55.
  37. Schwab, J. J. (1966).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In J. J. Schwab, & P. F. Brandwein. The teaching of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38. Simpson, R. D., & Anderson, N. D. (1981).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피인용 문헌

  1. An Analysis on the Relation of Elementary Students' VARK Styles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