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순희 (2008).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82-494.
- 강순희 (2009). 과학 교육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교육학회 2009년도 55차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 교육과학기술부(2009). 과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부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1997-15호).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권성기 (1997). 대학생의 운동학 그래프 작성에 대한 역학 개념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383-393.
-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 권용주, 이준기, 이일선 (2007).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5(3), 21-43.
-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 (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31-439.
-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a).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 권용주, 최상주, 박윤복, 정진수 (2003b).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86-298.
-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 김영채 (2004).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박영사.
- 김유정, 문세정, 강훈식, 노태희 (2009). 중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과정에서의 오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168-178.
-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 김태선, 고수경, 김범기 (2005). 고등학생들의 그래프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624-633.
- 김태선, 김범기 (2002).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68-778.
-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 (2002).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25-739.
- 김희경, 박보화, 이봉우 (2007).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 탐구 과정 분석: 분류, 예상 및 추리 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6(5), 499-508.
- 박은미 (2006). 귀추에 근거한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박은미, 강순희 (2006). 유사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56-366.
- 박은미, 강순희 (2007).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25-234.
- 박인숙, 강순희 (2011).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314-327.
- 박종원 (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 박종원 (2001).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 -대학생의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609-621.
- 박종원, 김미경, 오희균 (1996). 물리 탐구 실험의 평가를 위한 도구의 개발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51-60.
- 박종원, 김익균 (1999).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 행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87-500.
-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39-245.
- 배성열, 박윤배 (2000).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72-581.
- 배진호, 김진수, 윤봉희 (2005). 식물을 활용한 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관찰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30, 37-68.
- 백성혜, 김동욱 (2000). 가설 설정 능력이 추리 능력과 구분되어야 하는 이유. 화학교육, 27(4), 42-48
- 서정아, 정희경, 정용재 (2000).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1.
- 서정아, 조광희, 박승재 (2003). 중학생의 물리량에 대한 차수 어림 능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29-238.
- 서정아, 조광희, 송진웅, 박승재 (2004). 어림 활동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개념 이해, 해답 예측, 계산에 미치는 영향: 속력과 밀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14-824.
- 송경혜, 이항로, 임청환 (2004). 초등학교 고학년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45-1255.
- 송판섭, 한광래 (1995). 촛불 실험을 이용한 국민학교(3-6)학년 아동들의 관찰능력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73-84.
-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 (2006).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5(4), 339-351.
- 안경섭 (2004). 관찰 훈련 및 관찰 관점 제시를 통한 기초적 관찰력 신장. 현장연구, 25, 409-426.
- 양일호 (2006). 초등학교 과학 탐구과정 요소별 지도 자료. 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우종옥, 이항로, 이경훈 (1991). 대학 수학능력 시험의 수리.탐구 영역중 지구과학 교과에 관련된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83-96.
- 우종옥, 이항로, 이경훈 (1992).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자연과학 탐구 능력의 평가를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81-95.
-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 이경호, 이성묵, 강은형, 권경필, 김미희, 남경운, 변태진, 이인호, 이재봉, 조용근 (2005). 성공적인 중학과학 탐구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자료. 서울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 이범흥,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신동희 (2000). 과학과 탐구과정의 하위 요소 추출 및 위계화(연구보고 RR 98-6).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 이봉우 (2005).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 (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 이연우, 우종옥 (1991).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지 개발-중학교 2학년의 자료 분석과 해석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59-72.
- 이윤하, 강순희 (2011).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논리력과 변인 통제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32-47.
- 이은주 (2010). 메타인지를 활용한 직접적 탐구 기능 수업 전략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혜정, 정진수, 박국태, 권용주 (2004).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18-1027.
- 정귀향, 김범기 (1997). 초등학생들의 측정 수행 능력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27-137.
- 정완호, 허명, 차희영 (1991). 한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동물분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2), 95-114.
- 정진수, 원희정, 권용주 (2005).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95-602.
- 조은미, 김수일, 정진수, 권용주 (2005). 생물 계통수 생성의 사고 과정 모형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3-22.
- 조정일 (1990). 탐구로서의 과학학습의 본질과 탐구과학교육을 위한 제 조건들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1), 65-75.
- 최병순, 김동찬, 남정희 (1993). 지필평가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탐구능력과 실험과정에서 보여주는 탐구 능력과의 관계 연구. 과학교육논문집, 3(1), 218-227.
- 최현동, 양일호, 권치순 (2006). 초등학교 6학년의 인공자극과 자연자극에 대한 분류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40-48.
-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 (2002).'생각하는 과학'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 황현미,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9(1), 45-64.
- Brasell, H. M. (1990). Graphs, Graphing, and Graphers. In M. B. Rowe (Ed.), The Process of Knowing.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ume Six. Washington, DC: NSTA, 69-85.
- Chin, C., & Kayalvizhi, G. (2002). Posing Problems for Open Investigation: What Questions Do Pupils Ask?.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0(2), 269-287. https://doi.org/10.1080/0263514022000030499
- Chinn, C. A., & Brewer, W. F. (1993).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Knowledge Acquis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1), 1-4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1001
-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 Fisher, H. R. (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Foundations of Science, 6(4), 361-383. https://doi.org/10.1023/A:1011671106610
- Fortgang, A. (1995). The Triangle of Science. The Science Teacher, 62(1), 32-36.
- Friel, S. N., Curcio, F. R., & Bright, G. W. (2001). Making Sense of Graph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mprehensio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2), 124-158. https://doi.org/10.2307/749671
- Gabel, D. L. (1993). Introductory Science Skills. Waveland Press.
- Germann, P. J., Aram, R., & Burke, G. (1996a).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b).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 Germann, P. J., Odom, A. L., Aram, R., & Burke, G. (1996c). Student Perform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s, and Form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6(4), 192-20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6.tb10224.x
- Hanson, N. R. (1995). 과학적 발견의 패턴: 과학의 개념적 기초에 관한 탐구(송진웅∙조숙경 역). 서울: 민음사(원저 1958 출판), 13-53.
- Klahr, D., & Dunbar, K. (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201_1
-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Martin, D. J. (2006).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Fourth Edition).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Inc.
- Martin, M. (1972). Concepts of Science Education: a Philosophical Analysis. London: Scott, Foresman and Company, 103-131.
- McKenzie, D. L., & Padilla, M. J. (1986).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TO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7), 571-579. https://doi.org/10.1002/tea.3660230702
- Millar, R. (1991). A Means to an End: The Role of Processes in Science Education. In B. E. Woolnough (Ed.), Practical Science: The Role and Reality of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47-48.
- Peter, S. (1992). Children's Language and Assessing Their Skill in Formulating Testable Hypotheses.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8(1), 73-85. https://doi.org/10.1080/0141192920180107
- Quinn, M. E., & George, K. D. (1975). Teaching Hypothesis Formation. Science Education, 59(3), 289-296. https://doi.org/10.1002/sce.3730590303
- Shayer, M., Adey, P., & Wylam, H. (1981). Group Tests of Cognitive Development Ideals and a Realiz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8(2), 157-168. https://doi.org/10.1002/tea.3660180208
- Wenham, M. (1993). The Nature and Role of Hypotheses in School Investig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3), 231-240.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301
- White, B. (2004). Reasoning maps: A Generally Applicable Method for Characterizing Hypothesis-Testing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4), 1715-1731. https://doi.org/10.1080/0950069042000243718
Cited by
- 예비교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반성적 논의의 특징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911
-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Process SkillsThrough an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vol.53, pp.1, 2012,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94
-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 개발 및 적용 vol.39, pp.4,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545
- 초등 생물분류 학습에서 인공지능 융합교육의 적용 사례 연구 vol.39, pp.2, 2012,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2.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