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terns of CH4 and N2O fluxes from used Litter Stockpile from Korean Native Cattle (Hanwoo)

사용한 한우 깔짚에서 배출되는 CH4 및 N2O의 배출 특성

  • 박규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최동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유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Received : 2012.10.22
  • Accepted : 2012.11.26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methane ($CH_4$) and nitrous oxide ($N_2O$) emissions from the 6 month old litter stockpile used for korean native cattle (Hanwoo) from August 3, 2007 to October 4, 2007. Daily mean $CH_4$ emissions was peaked to 273.013 ${\mu}g\;m^{-2}\;s^{-1}$ (SE : ${\pm}1.047{\mu}g\;m^{-2}\;s^{-1}$) on first da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2.309 ${\mu}g\;m^{-2}\;s^{-1}$ (SE : ${\pm}0.061{\mu}g\;m^{-2}\;s^{-1}$)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Daily mean $N_2O$ emissions was as little as 0.269 ${\mu}g\;m^{-2}\;s^{-1}$ (SE : ${\pm}0.018{\mu}g\;m^{-2}\;s^{-1}$) on first day, but exponentially increased up to 3.569 ${\mu}g\;m^{-2}\;s^{-1}$ (SE : ${\pm}0.454{\mu}g\;m^{-2}\;s^{-1}$) on 43rd day and then slowly decreased to 1.888 ${\mu}g\;m^{-2}\;s^{-1}$ (SE : ${\pm}0.012{\mu}g\;m^{-2}\;s^{-1}$)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Carbon dioxide equivalent ($CO_2$-eq), calculated by global warming potentials of $CH_4$ or $N_2O$, of $CH_4$ on first day occupied approximately 99% of sum of $CO_2$-eq of $CH_4$ and $N_2O$. Methane emissions decreased and $N_2O$ emissions increased so that $CO_2$-eq ratio of $CH_4$ to $N_2O$ was 50:50 on 34th day. The effect of $N_2O$ on the ratio was increase thereafter. The ratio of daily mean $CH_4$ and $N_2O$ emissions to daily error of the mean was calculated to find daily fluctuation of $CH_4$ and $N_2O$ emissions. The ratio of $CH_4$ was less than 1.0% till 11th day but increased to 10.9% on 57th day. The ratio of $N_2O$ (0.4%~51.0%) was higher than that of $CH_4$, showing high in early stage and then gradually decreas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CH_4$. The ratio of daily mean emissions to daily error of the mean was little in case of active $CH_4$ or $N_2O$ generation period, which would be caused by the temporal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composting process. Hence more air supply on early stage to decrease $CH_4$ generation and proper turning to reduce spatial heterogeneity are needed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한우 깔짚 더미에서 배출되는 $CH_4$의 일별 배출량은 측정 시작일의 273.013 ${\mu}g\;m^{-2}\;s^{-1}$ (SE : ${\pm}1.047{\mu}g\;m^{-2}s^{-1}$)을 최대로 하여 점차 감소하여 측정 마지막 일에는 2.309 ${\mu}g\;m^{-2}\;s^{-1}$ (SE : ${\pm}0.061{\mu}g\;m^{-2}\;s^{-1}$)이었다. $N_2O$의 일별 배출량은 $CH_4$의 배출량과 달리 측정 시작일에는 0.267 ${\mu}g\;m^{-2}\;s^{-1}$ (SE : ${\pm}0.018{\mu}g\;m^{-2}\;s^{-1}$)로 미미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시험 시작 후 43일째에 3.596 ${\mu}g\;m^{-2}\;s^{-1}$ (SE : ${\pm}0.454{\mu}g\;m^{-2}\;s^{-1}$)로 최대를 기록한 후 서서히 감소하여 마지막 일에는 1.888 ${\mu}g\;m^{-2}\;s^{-1}$ (SE : ${\pm}0.012{\mu}g\;m^{-2}\;s^{-1}$) 이었다. 지구온난화지수를 이용한 $CH_4$$N_2O$ 배출량을 $CO_2$-eq로 환산했을 때, 시험첫 날 $CH_4$에 의한 $CO_2$-eq가 전체 환산량의 약 99%였다. 이후 $CH_4$의 배출량이 감소하고 $N_2O$의 배출이 증가하면서 34일 째에 $CH_4$$N_2O$에 의한 CO-eq 비율이 50:50이 되었으며 이후 $N_2O$의 영향이 더 컸다. $CH_4$$N_2O$의 배출량 변동성을 보기 위해 $CH_4$$N_2O$의 일 평균 배출량에 대한 일별 표준오차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CH_4$의 경우 그 비율이 11일째까지는 1.0% 이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여 57일 후에는 10.9%까지 증가하였다. $N_2O$의 경우 $CH_4$에 비해 그 비율이 컸는데 (0.4%~51.0%), $CH_4$의 경우와 달리 초기에 높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줄었다. $CH_4$$N_2O$의 생성이 활발할 경우 일 평균 배출량에 대한 일별 표준오차의 비율이 적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는 배출장소의 비 균질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퇴비화 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CH_4$ 감소를 위해 초기 공기 공급을 늘리며, 교반 등을 통해 비균질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IPCC. 1996.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J. T. Houghton, L. G. Meira Filho, B. Lim, K. Treanton, I. Mamaty, Y. Bonduki, D. J. Griggs and B. A. Callender eds.). UK Meteorological Office. Brackbell, UK.
  2.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S. Eggelston, L. Buendia, K. Miwa, T. Ngara, and K. Tanabe eds). Th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Kanagawa, Japan.
  3. Park, K. -H., Jeon, J. H., Jeon, J. H., Kwag, J. H., Choi, D. Y. 2011. Low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composting of solid swine manure.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66-167:550-556.
  4. 김경훈, 설용주, 이성실, 오영균, 남인식, 김도형, 최창원. 2007.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 복합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9(5):657-666. https://doi.org/10.5187/JAST.2007.49.5.657
  5. 김두리, 하재정, 김종택, 송영한, 2011. 급여수준에 따른 한우 암소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3(5): 475-480. https://doi.org/10.5187/JAST.2011.53.5.475
  6. 김득수. 2007. 온실기체 $(CH_{4},\;CO_{2},\;N2_{O})$ 의 하구언갯벌 배출량과 배출특성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2):225-241. https://doi.org/10.5572/KOSAE.2007.23.2.225
  7. 김형건, 이대성, 장해남, 정태학. 2010.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한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 유기물자원화 18(3): 50-59.
  8. 노기안, 김건엽, 심교문, 정현철, 이길재, 이덕배. 2009. 농경지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 평가. 농촌진흥청.
  9. 설용주, 김경훈, 백열창, 이상철, 옥지운, 이강연, 최창원, 이성실, 오영균. 2012. 한우 거세우의 반추위 메탄가스 생성량에 대한 곡류 사료원의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4(1):15-22.
  10.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1. 2009년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11. 이현정, 이상철. 2003. 가축 장내발효에 의한 국가단위 메탄 배출통계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5(6):997-1006. https://doi.org/10.5187/JAST.2003.45.6.997
  12. 정광화, 류승현, 남궁규철, 김재환, 곽정훈, 안희권, 유용희. 2011. 메탄생성 효율증진을 위한 소화원료 전처리 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17(3):197-204.
  13. 최동윤, 박규현, 조성백, 양승학, 황옥화, 곽정훈, 안희권, 유용희. 2011. 돈분뇨 액비의 폭기 수준에 따른 여름철 온실가스배출량 비교.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17 (3):163-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