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충청남도 5개 군의 GRDP 변화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Factor Based on the Industrial GRDP of 5 Gun in Chungcheongnam-do

  • 투고 : 2012.11.15
  • 심사 : 2012.12.10
  • 발행 : 2012.12.30

초록

농촌정책의 중요한 과제는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인데, 대다수 연구와 정책은 농업인과 농업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경제 활성화는 지역 내의 다양한 산업이 얽혀 내외부의 변화에 반응하는 것으로 어느 한 부분의 성장만으로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는 달성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충청남도 5개 군을 대상으로 농촌지역에서 농업부문의 위치를 살펴보고, 농촌에 위치한 산업별 변화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5개 군에서 농림어업은 수위산업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역 내부요인인 지역산업효과, 지역경쟁효과가 매우 취약함을 보여 5개 군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위와 관련한 요인들의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농림어업부분은 지역 외부효과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으며,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농촌 지역에 기초수요를 제공하는 산업부문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농촌지역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농림어업 내 생산물의 지역내 소비와 연결시키는 노력을 통해 지역산업과 연결시키는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농촌지역 주민의 기초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의 보호를 위한 정책적 수단마련을 위해 읍면소재지 개발 등의 사업내용에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사업내용의 고려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nge factor of the industry in rural area. As the regional economy is consist of variety industry in local Revitalization of Rural Economy should consider the growth factor of industry. Analytical method is Shift-Share analysis, analysis data is used GRDP of the 5 target area. Analysis is showed th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leading position. but Farm population decreased rapidly underway. Side work farmer and industr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hibitory of 5 Gun is the weakness of the internal factor. especially Competition component is than industry-Mixed componen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external factor.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5 Gun must improve the faul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hould promote the consumption of local products to as the local food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수. (2003). 소도읍의 개발모형 설정과 발전전략. 공공문제와 정책, 15, 7-32.
  2. 김태이, 임정빈, & 안동환. (2012). 공적보조금이 지역내 지역간 농가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분석. 농업경제연구, 53(1), 41-61.
  3. 김형만. (1974). 대도시주변의 소도읍 개발방향. 도시문제, 9(4), 16-22.
  4. 류시영, & 김혜영. (2008). 농촌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적용하여. 관광연구저널, 22(3), 23-36.
  5. 변필성, 김광익, & 김태환. (2005). 지역 경쟁력과 경제발전 간의 관계 : 변이할당분석기법의 고용성장에의 적용을 토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2), 267-284.
  6. 이동소, 김관수, & 안동환. (2012). 체제전환국 농업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4(2), 169-177.
  7. 이재화. (1979). 소도읍 가꾸기 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향. 지방행정, 28(307), 94-103.
  8. 정환용. (1980). 지방도시개발과 정주권 계획 : 소도읍 기능화와 정주권 개발 : 전남 소도읍을 중심으로. 도시문제, 15(2), 53-64.
  9. 차동욱. (2003). 농촌을 넘어, 패러다임의 전환을 향해 : 관광농원 방문자의 재방문 결정요인 분석. 농촌사회, 13(2), 75-94.
  10. 최경희, & 조덕호. (2010). 농지연금제도 도입을 통한 삶의 질 및 삶의 만족도 개선에 관한 연구.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행정학회 2010 추계학술대회, 한국행정학회, 서울.
  11. 최경희, & 조덕호. (2010). 농지연금제도 정립을 위한 주관적 최저생계비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4), 193-214.
  12. 통계청 보도자료. (2011. 12. 7일자). 장래인구 추계 : 2010년-2060년.
  13. 통계청. (2012). 통계청 가계 동향조사에서 발췌(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14. 통계청 나라지표. (2012). 농축산물 생산 및 소비추이에서 발췌(http://www.index.go.kr).
  15. 통계청 나라지표. (2012). 남녀별 연령별 인구구조에서 발췌((http://www.index.go.kr).
  16. 황영모. (2011). 농업.농촌 유지의 기초단위, 농업생산자 조직에 주목한다. 농촌사회, 21(1), 205-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