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수(2001). 부모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고영숙(2003). 또래환경 및 또래관계의 질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 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실태 조사.
- 권해수(2011). 농촌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청소년기 경험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8(1), 35-72.
- 김경숙(2003).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미호(1989). 부모, 학동기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사회적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승권(2010). 한국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65.
-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이혜경, 설동훈, 정기선, 심인선(2009).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0-06.
- 김선희(2011). 다문화 사칙연산 프로그램개발.적용을 통한 다문화사회 적응능력 신장방안. 충청남도교육청.
- 김정옥(2005).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 수준과 자녀의 정서지능관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정이(2008). 모(母) 및 교사의 정서표현과 유아 정서지능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태경(2006).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 및 친구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혜미, 원서진, 최선화(2011).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차별경험과 심리적 적응: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1), 117-149.
- 문용린(1996). IQ와 EQ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중요한가. 서울 :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
- 문용린(1997).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 문은식(2005). 부모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교육학연구, 43(3), 87-112.
- 박윤경, 이소연(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시민교육연구, 41(1), 41-71.
- 서현, 이승은(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 송성자, 정문자(1994) 경험적 가족치료 : Satir 이론과 기법.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 양순미(2007). 농촌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양육태도 및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행복감.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59.
- 양영미(2003).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지원(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형숙(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8.
- 이순형(2007). 농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적응 문제. 한국지역생활과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27.
- 이지영(2010). 부모-자녀 의사소통양식, 가족응집력,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외톨이성향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혜경(2005).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5, 147-166.
- 임연기(2006).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4(4), 27-49.
- 정명희(1988).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상관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미애(2005). 유치원 교사의 정서표현지각과 유아의 정서지능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현(2009).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터더이 아리온사나, 유서구(2011). 몽골이주가정 자녀 학교적응의 영향요인: 다문화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2, 17-203.
- 한만길(2008). 학교 특색 살리기 추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황기아, 방문희(1992).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263-289.
- Diamond, M., & Jones, S. L.(1983). Social support: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In P. L. Chinn (Ed.), Advances in nursing theory development (pp. 235-249). Rockville, MD: Aspen.
- Ginott, H(1959). & Lebo, D(1961). Play therapy limits and theoretical orientations. Journal of Counsulting Psychology, 25(4), 337-340. https://doi.org/10.1037/h0045565
-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Bantam Books.
- Maguire, L.(1996). 사회지지체계론: 기초이론과 실천사례(장인협, 오세란 역). 서울: 사회복지실천연구소.
- Mayer, Salovey & Caruso(2000).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4), 267-298.
- Nolten, P. W.(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45-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