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Result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of Engineering Department according to the Basic Academic Skills: Based on the Case Study of I Junior College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결과 사례연구: I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Han, Sung-Il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k College) ;
  • Kang, Moon-Sang (Department of Mechatronics, Induk College)
  • 한성일 (인덕대학교 정보통신과) ;
  • 강문상 (인덕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과)
  • Received : 2012.01.25
  • Accepted : 2012.06.1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influences of the basic academic skills to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has been researched and we made a test of the basic academic skills(Korean language, mathematic, foreign language) to the students of engineering department in I college in Seoul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sic academic skills and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Results show that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has a correlation(r=.456, p<0.01) to the average grade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High level students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have a correlation(r=.292, p<0.01) to the mathematical department and the others have a correlation(r=.232, p<0.05 and r=.279, p<0.01) to the Korean linguistic depar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scholastic achievement has a relation on Korean language skill. As a result, It is recommendable that the mathematical basic academic skill programs are suggested to the high-level students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and the linguistic basic academic skill programs to the others. Also, the required basic linguistic subject is needed to the low-level students of the basic academic skills an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est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basic campus-life skills including the basic academic skills and the basic major skills.

Keywords

References

  1. 공학기술교육인증기준2009 설명서(KTC2009), http://www.abeek.or.kr/htmls_kr/contents.jsp?menu_l=2&menu_m=16.
  2. 김은경 ․ 이우영(2010). 공학인재 양성을 위한 공학교육 현황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논문지, 13(3): 61-67.
  3. 김주성(2010), 교수 . 학습법 개발 및 적용, 한국전문대학교육 협의회 교수학습과 실제과정.
  4. 김재문(2007). 전문대학의 기초학습능력 실태와 개선방안. 세무 회계연구, 20(1): 51-78.
  5. 나승일 ․ 정철영 ․ 박동열 ․ 이해선 ․ 한홍진 ․ 김강호(2002).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직업교육연구, 21(2).
  6. 나승일 ․ 정철영 ․ 깁주섭 ․ 구자길 ․ 김강호 ․ 장현진(2008). 기초직업 능력 표준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2): 161-188
  7. 서울특별시 교육청, http://www.sen.go.kr
  8. 윤찬근(2010). 전문대학교육의 경쟁력 향상방안.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자료집(전문대학교육의 경쟁력제고 및 국제화 방안): 17-51.
  9. 이광용 ․ 정명화 ․ 신경숙(2008). 전문대학생 기초학습능력 진단 도구 적용 및 목표기준 개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보고서, 2008. 3호.
  10. 이군희(2007), 사회과학 연구 방법론, 범문사.
  11. 이용균(2010). 전문대학의 미래예측 및 구조조정 방향에 관한 델파이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이종성 ․ 정향진(2003).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116-117.
  13. 인덕대학 입시홈페이지, http://ipsi.induk.ac.kr/
  14. 장종관 외(2003). 전문대학 공업계열 기피현상 방지 및 공업 계열학과 육성방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보고서, 2003. 6호.
  15. 정태화 외(2009). 직업교육 혁신 2020. 학국직업능력개발원 보고서.
  16. 조은상 ․ 강종훈(2000). 전문대학 학생의 기초학습 능력 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33-36.
  17. 최길성(2010). 역량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0): 464-478.
  18. 최길성 ․ 이승희(2011). 전문대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방안 : D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68-476.
  19. 한국공학교육인증원, http://www.abeek.or.kr/htmls_kr
  20.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cce.or.kr:8080/inform/ inform_notice.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