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lex number on textbooks and Analysis on understanding state of students

교과서에 표현된 복소수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분석

  • Received : 2011.07.04
  • Accepted : 2012.02.20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In this study, content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andbook' and 16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state of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s by making questionnaires to survey the understanding state on contents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in textbook was not logically organized. In the introduction of imaginary number unit, two kinds of marks were presented without any reason and it has led to two kinds of notation of negative square root. There was no explanation of difference between delimiter symbol and operator symbol at all. The concepts were presented as definition without logical explanations. Second, students who learned with textbook in which problems were pointed out above did not have concept of complex number for granted, and recognized it as expansion of operation of set of real numbers. It meant that they were confused of operation of complex numbers and did not form the image about number system itself of complex number.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we came over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were too abbreviated to have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chapter in order to remove the burden for learning. Therefore,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logical configuration fit to the level for high school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formal operating stage are required for correct configuration of contents of chapter. Second,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chapter to let students think conceptually and logically.

Keywords

References

  1. 계승혁․김홍종․박복현․남진영 (2008). 고등학교 수학.서울: (주)성지출판.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5.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3. 김서령․이정례․선우하식․이진호․조동석․김민정․박효정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천재교육.
  4. 김성대 (2003). 증명지도에서 정당화의 의미와 사례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한․최영기․이중권․김진호․윤오영․김경현․최현근․이향수․김용준․안미숙(2008). 고등학교 수학.서울: (주)교학사.
  6. 김해경․서동엽․최은자․김상철․김성남․윤성식(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더텍스트.
  7. 김혜경 (2006).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대수적 구조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미 (2007). 도형개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측면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수학교육> 46(3), 245-261.
  9. 박자윤 (2008). 시각화를 통한 수학적 개념이해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재근 (2007). 복소수 개념의 역사 발생적 접근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제남 (2003). 교육과정을 통한 복소수의 이해. 인하교육연구 논문집, 9, 221-229.
  12. 신항균․이광연․신범영․김홍섭․김정화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지학사.
  13. 양승갑․신준국․윤갑진․성덕현․양경식․김창규․이승우․조성철․박상우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주)금성출판사.
  14. 양은영․이영하 (2008). 고등학교 10-가 교과서 복소수단원에 관한 논리성 분석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0(3), 357-374.
  15. 우정호․최병철 (2007). 음수 개념의 이해에 관한 교수학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17(1), 1-31.
  16. 유윤재 (출간중). 수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17. 류희찬․조완영․조정묵․임미선․유익승․한명주․박원균․남선주․정성윤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대한교과서.
  18. 윤재한․박진석․조도상․김영제․권백일․신재봉․정지현․장인선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더텍스트.
  19. 이강섭․황규채․송교식․양인웅 (2008). 고등학교 수학.서울: 도서출판지학사.
  20. 이동환 (2010). 복소수 지도를 위한 수학지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21. 이만근․이재실․오은영․조성오 (2008). 고등학교 수학.서울: (주)고려출판.
  22. 이재학․정상권․박혜숙․홍진곤․박부성․김정배․김상훈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금성출판사.
  23. 이종철 (2003). 고등학교에서 순서쌍을 이용한 복소수 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준열․최부림․김동재․서정인․전용주․장희숙․조석연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천재교육.
  25. 이진영 (2008). 복소수 집합의 구성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태규 (1985). 복소수 확장에 관한 연구. 부천대학 논문집, 163-176.
  27. 임희선 (2006). 복소수를 이용한 평면기하 지도 방안.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전수진 (2005). 중․고등학생에게 나타나는 정당화 유형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은주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복소수 단원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영미 (2001). 학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 논문.
  31. 채수영 (1995). 수의 구성과정을 통해 본 수체계에 대한이해.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우회 논문집, 87-103.
  32. 최봉대․강옥기․권언근․정용욱․양성덕․조현공(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33. 최용준․김덕환․이한주․위경아․김윤경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주)천재문화.
  34. 최효정 (2008). 기하적 특성을 강조하는 복소수 지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한길준․우호식(2001). 고등 수학 개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유의미한 교수법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241-252.
  36. 황선욱․강병개․김수영(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 좋은책신사고.
  37. 황우형․권혁진․김인수․김동화․조남일․박승렬․이채형․차순규․이병하․김혜란․김원중 (2008). 고등학교 수학. 서울과서(주).

Cited by

  1. 특정 정보의 정신적 표상에 대한 연구 vol.29, pp.4, 2012, https://doi.org/10.7858/eamj.2013.030
  2. The Teacher's Knowledge Needed to Analyze Student's Errors in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vol.28, pp.4, 2018, https://doi.org/10.29275/jerm.2018.11.28.4.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