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rban Ecosystem Assessment for 31 Cities & Counties around the Capital

수도권 31개 시·군의 도시생태계 현황 평가에 관한 연구

  • Sung, Hyun-Chan (Dept. of Green &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
  • Hwang, So-Young (Dept. of Green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 성현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황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 Received : 2012.10.05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t urban ecosystem assessment indicators, assess the status of the urban ecosystems in 31 cities & counties in the capital region and based on which, to examine an improvement plan to resolve problems and raise quality and quantity of urban ecosystems. The study showed that the ecological base of 31 cities & counties was 48% on average, which indicates that their ecological property is the middle class. Their natural-ecological function was 63% and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was 25%, showing that environment-control function was poor. Therefore, going forward, urban ecological base should be further improved. When securing an ecological base, creation techniques should be able to further enhance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along with natural-ecological function. Also, additional effort should be made to conserve areas with high ecological value as much as possible and increase vegetation vitality by replacing tree spec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학. 2007. 도시하천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생태계 평가 : 청계천을 사례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국립환경과학원. 2006, 200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3. 국토해양부. 2005. 영산강 유역종합치수계획 자문보고서.
  4. 김상욱․정종철. 2002. 식생지수를 이용한 DMZ의 생태적 영향권 조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 : 24-34.
  5. 김선화․홍윤순. 2008. 도시가로녹지 관련 평가지표 모색방안.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자료.
  6. 김엘라. 2005. 도시근린공원의 생태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송파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정도외 2인. 2006.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도시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논문.
  8. 김정호․한봉호․이경재. 2006.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도시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1) : 167-184.
  9. 산림청. 2000. 산지전용 타당성 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10. 신문주. 2006. SWAT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유량확보 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14.
  11. 이경재외 3인. 2007. 시가화지역 토지이용유형별 피복현황 분석을 통한 생태면적률 적용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4), pp. 40-47.
  12. 이동우. 2009. 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우성. 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이재준외 1인. 2001. 환경친화적인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성 평가 및 평가지표 적합성 판단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논문.
  15. 임승남․이주형. 2006.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학술논문.
  16. 장용훈․황현진․황희연. 2009. 도시 생태적 평가모형 개발을 통한 청주시 생태성 평가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4(6) : 183-195.
  17. 정강호․정석재․손연규․홍석영. 2007. 유출곡선지수법의 활용을 위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농업과학기술원 연구보고서.
  18. 조용현․조현길. 2002.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4) : 51-60.
  19. 조현길․안태원. 2001a. 도시 침엽수에 의한 연간 $CO_2$ 흡수 및 대기정화 :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 118-124.
  20. 조현길․안태원. 2001b. 도시생태계 수목의 대기정화 역할 : 용인시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9(3) : 38-45.
  21. 조현길․조용현․안태원. 2003. 도시녹지의 대기환경개선 효과 : 서울시 중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3) : 83-90.
  22. 최병선외 15인. 2003. 지속가능한 도시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향자료.
  23. 환경부. 2012. 도시생태계 적응․관리 기법 및 지원시스템 개발 1차년도 연구보고서.

Cited by

  1. A Preliminary Study on Assessment of Urban Parks and Green Zones of Ecological Attributes and Responsiveness to Climate Change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