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Pattern of Urban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서울시 도시형 생활주택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06.29
  • Published : 2012.11.25

Abstract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wo different scales in order to analyze the development pattern of new architectural type under existing conditions. The first is in metropolitan scale, looking into the distributions of development sites all over the city of Seoul since the new concept was announced. And the second is in individual site scale, which is about how the new concept of housing development has been adapting to the existing urban tissue around. For the study, the sample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n more detailed study about that characteristics has been conducted. 5 aspects has been founded from this study. For the first, it is founded that the most of this new development type, urban multi-family housing, has been constructed on General Residential Zone 2, and in this case, the housing type is almost all of the Studio Plan Type which is one of 3 different plan types of this new housing types. Secondly, Urban Multi-family Housing has been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tro Line 2 and Line 7. In other words, a number of these developments are located within station areas of Line 2 and 7. For the third, the site areas for Urban Multi-family Housing developments are smaller than those for the similar exiting development type of multi-family housing, although the development densities for both cases are quite similar with each other. The forth, the value of OSR(Outdoor Space Ratio) is relatively low when the development site has road frontage to the North. For the last but not the least, the most building cases with low OSR have fully or partially been elevated on pilotis. Through this pilotis space, the entrance process is homogeneous and monotonous,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Studio type housing on General Residential Zone 2. All these findings could be basic material for any advanced study about the detailed development patterns of new housing type. Moreover, these could provide helpful data for future studying on "desirable" urban housing.

Keywords

References

  1. 서울특별시 한국토지정보시스템(http://klis.seoul.go.kr/)-2012. 05
  2. 대법원 인터넷등기소(http://www.iros.go.kr/)-2012.05
  3. 법제처(http://moleg.go.kr/)-2012.05
  4. 뉴욕시 도시계획국 (http://nyc.gov/planning/)-2012.05
  5. 통계청 (www.kostat.go.kr)-2012.05
  6. 국토해양부, 도시형 생활주택 업무매뉴얼, 2011
  7.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및 준공현황 2011년 2월 기준자료
  8. 김진욱외2인,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방향 및 설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
  9. 고준호, 서울시 지하철역 접근체계분석을 통한 지역별 최적 접근수단 모색,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10. 국토연구원,2005년 주거실태조사 및 주택수요 조사, 국토연구원, 2005
  11. 서용식, 수익형 부동산의 해답, 도시형 생활주택, 매일경제신문사, 2010
  12. 서용식, 설계에서 시공.임대관리까지 도시형 생활주택.준주택, 매일경제신문사, 2010
  13. 손세관. 강남의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의 환경과 그 개선방안, 월간 건축문화사, 2002
  14. 신상영, 서울의 준주택 실태와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15. 변미리외2인, 서울의 1인 가구 증가와 도시 정책수요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16. 강정욱, 도시형생활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0
  17. 김홍배, 도시 단독주택지 및 건축형식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0), 2007
  18. 류훈외1인, 소형주택의 유형별 공급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과제 도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6), 2011
  19. 박기범외1인, 건축제도 변화에 따른 일반주거지 도시조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0), 2007
  20. 박인석, 주거지 환경 평가.규제수단으로서의 옥외공간율 실용화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8), 1996
  21. 박인석, 주거단지 거주성 지표로서의 옥외공간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6), 1990
  22. 배웅규외2인, 주차장완화구역의 실태분석을 통한 지정기준 개선 및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7(1), 2011
  23. 손병남외2, 서울 강남의 다세대.다가구주택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7), 2005
  24. 양승우,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조직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4
  25. 유해연외1인, 도시형 생활주택의 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26(5), 2010.
  26. 임창복외1, 도시주거지내 주거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1), 2000
  27. 정성훈외2인, 도시형 생활주택 경제성효과에 따른 문제점 분석, 한국부동산학회, 2010
  28. 최현일외1인, 도시형 생활주택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2011
  29. 홍성표, 지하철 접근도를 고려한 서울 역세권의 토지이용 특성과 지하철이용자의 관계성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0
  30. Meta Berghauser Pont and Per Haupt, SPACEMATRIX, NAi Publishers, 2010
  31. M.R.G. Conzen, Alnwick, Nothumberland A Study in Town-Plan Analysis, 27,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