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odular Coordination About The New Korea Traditional Housing - According to the Analysis Intercolumniation -

현대한옥의 단위공간 모듈 설정에 관한 연구 - 주칸거리 분석을 중심으로 -

  • 조영민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대학원) ;
  • 김왕직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 Received : 2012.02.29
  • Published : 2012.10.25

Abstract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Hanok) unit space and structure are formed from distance of intercolumniation. An average of the distance of intercolumniation is 2,400mm, and it is not enough space to put modern lifestyl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calculating the size of modern Hanok by analyzing traditional Hanok. The traditional Hanok's intercolumniation is 2,400~3,000mm, but it shows a tendency that is becoming bigger with times gradually. The reason of this change can be found in social chang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lifestyl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entire building but calculating unit space size because intercolumniation of modern Hanok has to consist module with industrializa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토해양부

References

  1. 대한건축사협회편, 民家建築I, 보성각, 2005
  2. 김왕직, 조선후기 건축경제사, 한국학술정보(주), 2005
  3. 김홍식, 民族建築論, 한길사, 1987
  4.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5. 손승광, 윤장섭, 朝鮮朝韓屋에 나타난 人間的尺度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5권 제1호, 1985
  6. 서정애, 韓國人體位(成長.發育)에 관한 時代的인 文獻的 考察, 家庭學硏究 Vol.3, 1977
  7. 김홍식, 韓國의 民家, 한길사, 1992
  8.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5
  9. 조영민, 신한옥의 단위공간 모듈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2008
  10. 박지선, 천득염, 전통주거건축 평면구성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전남지방의 전통주거건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학회발표논문집 제23권 제2호, 2003
  11. 이정미, 이재훈, 조선시대 경기지역 상류주택의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7호, 2002
  12. 강영환, 한국전통민가의 '間'특성에 관한 연구 -울산/울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권2호, 1986
  13. 김홍식, 이해성, 19세기 陽宅論에 나타난 살림집의 간잡이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권 6호,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