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ix & Match Space Expression for Finishing Materials and Lighting

마감재와 조명에 의한 Mix & Match 공간 표현연구 - 가상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이곡숙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Received : 2012.08.02
  • Published : 2012.10.25

Abstrac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pace plan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of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First, among various elements used to perceive space image,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take up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rming image, so studies on space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se relationship are judged required. Second, space type, art wall type and ceiling type that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were deduced with focus on 'modern natural' and 'classic natural' imag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pace image, and on this basis,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scenario were planned out. Third, since art wall plays critical role in perceiving space image, change was given in the expression of space image art wall finishing material. Modern natural image was expressed by placing light brown color wood pattern wallpaper and grey color stone pattern wall material in parallel, and in classical natural image, virtual simulation space was established by applying violet color wallpaper across art wall. Fourth, that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affects visual perception of space by generating interactions and serve as critical element in forming the overall image of space.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재)한국연구재단(KRF)

References

  1. 김정근, 홍규리, 감성적 실내디자인을 위한 여성전문병원 로비공간 계획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6호, 2008
  2. 박영순 외 3명, 국내 공동주거 공간 이미지 요소로서의 아트월 패턴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3호, 2010
  3. 서지은, 이정호, 거실공간에서 공간지각을 유도하기 위한 조명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10호, 2006
  4. 서지은, 이곡숙, 공간이미지와 감성어휘에 따른 마감재 표현 방법 비교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2012
  5. 서지은, 주거공간에서 조명에 의한 영역성 표현 및 감성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4호, 2008
  6. 서지은, 주거공간에서의 행태지원을 위한 조명계획에 관한 연구, 경북대 박사논문, 2006
  7. 오승남, 김종진, 지각과 인지를 바탕으로 한 실내공간의 빛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6 호, 2006
  8. 유연숙, 이선민, 기호체계에 의한 인테리어코디네이션 트렌드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1호, 2001
  9. 이용재, 건축의 문맥론적 공간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36호, 2003
  10. 이정호, 이찬, 국민주택규모 단위세대 평면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1호, 2010
  11. 이진숙 외 3명, 공동주택의 실내공간별 조명적용현황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12호, 2010
  12. 이현정, 퓨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석논, 2002
  13. 전인목, 안도 다다오의 명화의 정원을 통한 체험적 공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8호, 2011
  14. 정지석, 서지은, 아파트 거실공간에서의 거주자 행태를 고려한 조명색 변경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9권 3 호, 2009
  15. 최주영 외 3명, 실내공간의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주시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5호, 2011
  16. 한지연, 신홍경, 21세기 업무공간의 감성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2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