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고층 건축물 입면디자인을 위한 유리재료의 물리적 특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Glass Characteristics for a Tall Building Facade Design

  • 조종수 (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
  • 조헌 (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 투고 : 2012.04.05
  • 발행 : 2012.10.25

초록

From late 1880s based on Chicago School Style, tall buildings have been planned and constructed in major cities by recognizing as one of the solutions to release required office spaces in limited and higher land value downtown area. Consequently, tall buildings have became a powerful expression of architecture in the modern civilization due to their huge mass and vertical spaces. This dramatic phenomenon has rapidly spread to all over the world which want to be modern city. Specially, the center of a typhoon is Asia zone as well as Korea, China and Dubai. Basically, the design of tall building needs a spacial approach to form, space, vertical movement, construction and etc comparing with low-rise buildings. Because tall buildings have a different characters for natural system such as strong wind and huge thermal effect. Hence, to achieve proper tall building facade with architectural aesthetics, the design should understand a physical phenomenon for a wind movement and a thermal appearance such as the gravity is a natural phenomenon. Therefor, the target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a physical phenomenon and application on tall building's facade design. It is very important work to know how design are applied for tall building's facade design by a wind and the sun. So, this study starts with a basic research of a general facade design topic with wind and the sun. And to get the technical data for relationship between wind force, thermal issue and glass performance which is one of the facade component part, this study will use a computer simulation method. It will give a chance to inform design methodology for tall building's facade design before starting initial facade design. Also it will make a database to understand what facade design for wind and the su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토해양부

참고문헌

  1. 강희성, 건축과 유리의 역할, 대한건축학회지, 제48권 제9호, 2004년 9월
  2. 김병조 외1인, 중정형 건축물의 외장재설계용 풍압계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풍공학회논문집, 제15권 제2호, 2011년 6월
  3. 김소희, 표피로서 건축 재료의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4호 2002년 10월
  4. 유진상, 건축외피 표현성의 재해석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1호 통권 181호 2003년 11월
  5. 윤재훈 외3인, Glazing 성능과 건물에너지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7권 제 12호, 2011년, 12월
  6. 정광량, 초고층 건축물 디자인과 풍하중 저감기술, 한국풍공학회, 제10권 제2호, 2006년 12월
  7. 정을규, 임칠순 커튼월의 특성 및 설계조건에 관한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4권 3호 통권 13호 2004년 9월
  8. 정주희, 최성호, 민준기, 사무소 건물에서 커튼월 창유리 특성이 건물에너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생태환경거축학회, 제10권 제2호, 2010년
  9. 조종수, 초고층 사무소 건축의 건물형태 구성 및 효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3권 2007년 6월
  10. 조종수, 중저층 철골조 건축설계메뉴얼 2008년 2월, 현대제철
  11. 조종수, 차민욱, 초고층에 적용된 파사드 디자인 구축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11호, 2010년 11 월
  12. KBC 2009 건축구조기준 제 3장 설계하중 0305 풍하중
  13. 서울특별시 초고층 건축물 가이드라인 2010
  14. Rob Krier, 건축의 요소들, 집문사, 1990년 9월
  15. Bungale S. Taranath Ph. D., S.E. 저, 한국 초고층 도시건축 연합, 삼성건설 초고층 기술팀 역 Wind and Earthquake Resistant Buildings_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16. McGraw-Hill, Architecture of Tall Buildings, CTBUH, 1985, New York
  17. J.S. Cho, Multi-Use Super Tall Building Development, 1997, IIT, Chicago, IL
  18. http://skyscraperpage.com
  19. http://www.supertall.org
  20. http://www.ctbu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