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건국대학교
References
- 공동주거관리연구회(2008), 공동주거관리이론, 교문사
- 곽도, 은난순, 하성규(2004),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방안-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12(2), 139-160
- 김광복, 남진(2005), 주택 재개발 임대아파트의 단지 배치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 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0(7), 73-86
- 김경준, 김성수(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23(2), 211-232
- 김종배(1999), 공동주택관리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경옥(2010), 공동주택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환경구축, 한국주거학회 논문집.21(1), 141-150
- 박광재, 백혜선, 서수정(2001),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연구, 대한주택공사
- 박재욱(2001), 집합주거단지에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계획안,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라영, 신남수(2009),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환경 구성요소와 거주자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3), 235-246
- 이라영(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원영, 강순주(2008), 국민임대아파트단지의 거주 실태 및 커뮤니티 의식 비교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19(2)
- 장준호, 이인혁(2001), 주민자치활동과 커뮤니티 의식 수준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조사지리학회지, 4(2),15-26
- 조성희, 이경희, 이영석, 박경옥(2007),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방안연구, 건설교통부.한국주거학회
- 천현숙(200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지, 9(1), 143-172
- 채혜원(2004), 공동주택의 지역공동체 육성을 위한 입주자관리 개발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통계청(2010), '인구 및 주택 총 조사'
- Hillery, G(199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nent, Rural Sociology 20
- McMillan & Chavis(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 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