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Vulnerabilities and Performance on the CCTV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CCTV 보안관제 취약성 및 성능 분석

  • Received : 2011.10.24
  • Accepted : 2012.01.11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Recently, the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 are operated and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evolve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the CCTV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an be used in various field as a typical system. However, the security vulnerability problems have become an issue because the system connected by computer network and getting bigger than before. Therefore we studied security vulnerabilities of CCTV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hich is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isaster and terrorism with unauthorized changes on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observation when the cameras are break down as a result by hacking to CCTV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최근 공간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여러 분야에 공간정보 기반의 관제 시스템이 운영 중이거나 추진 중에 있다. 특히 CCTV관제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관제 시스템이다.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와 맞물리고 시스템 자체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보안 취약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 진행 중인, 혹은 이미 구축 운영 중인 CCTV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을 분석했다. 또한 CCTV 관제 위치정보에 대한 악의적 변경에 대한 재난/테러 대비를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현재 운용중인 방범용 CCTV관제 시스템을 실험 대상으로, 악의적인 공격 시뮬레이션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공격이 관제 운용영역(커버리지)을 감소시켜 어느 정도의 관제 성능이 저하되는지 분석하기 위한, 수식을 작성 했다.

Keywords

References

  1. Taewoong Seo, Myunggyun Jeong, and Changsoo Kim, "A Study on Vulnerabilities of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based on IT Convergence Technology,"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pp. 245-247, 2010.
  2. 유지영, 이재일, "신규 IT 서비스 도입 확산을 위한 정보보호," 한국정보처리학회 정보처리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10-17, 2010.
  3. 서태웅, 김창수, 이재승, 이철원, "지리정보시스템과 관제시스템의 융합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 703-709, 2011.
  4. 김영진, 이수연, 권헌영, 임종인, "국가 전산망 보안관제업무의 효율적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 103-111, 2009.
  5. R. Bejtlich, Tao of Network Security Monitoring, the beyond Intrusion Detection: What is Network Security Monitoring, Addison Wesley Professional, 2004.
  6. 오영균, "CCTV통합운용을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연구," 한국행정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 302-319, 2009.
  7. 강원지방경찰청 홈페이지 "http://www.kwpolice.go.kr"
  8. 이원규, 주수현, "CCTV 통합구축 민간투자사업(BTL) 타당성 및 관제센터 구축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11.
  9. 이문구, "정보시스템 보안관리를 위한 위험분석 방법론,"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1권, 제6호, pp. 13-22, 2004.
  10. Johnny Long, 구글해킹 절대내공, 에이콘출판주식회사, 2010.
  11. 윤은준, "CCTV 시스템에서의 보안 위협 요소," CCTV NEWS, 연재 7, 2010.
  12. 권원석, 이현곤, 김영섭, 김창수, "GIS를 활용한 지능형 교통제어 시스템과 재난 정보의 연계," 2010 한국지리정보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30-131, 2010.

Cited by

  1. CCTV Coverage Index Based on Surveillance Resolution and Its Evaluation Using 3D Spatial Analysis vol.15, pp.12, 2015, https://doi.org/10.3390/s150923341
  2. Study on Strengthening Plan of Safety Network CCTV Monitoring by Steganography and User Authentication vol.2015, 2015, https://doi.org/10.1155/2015/960416
  3. Problem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Research through Security Threat Cases of Physical Security Control Systems vol.19, pp.1,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6.19.1.051
  4. Quantitative Evaluation on Surveillance Performance of CCTV Systems Based on Camera Modeling and 3D Spatial Analysis vol.32, pp.2, 2014, https://doi.org/10.7848/ksgpc.2014.32.2.153
  5. Supplementation of the Indoor Location Tracking Techniques Based-on Load-Cells Mechanism vol.17, pp.6, 2016, https://doi.org/10.7472/jksii.2016.17.6.01
  6. A study on operation efficacy and security improvement through structural modification of CCTV network for bansong water purification plant vol.32, pp.2, 2018, https://doi.org/10.11001/jksww.2018.32.2.193
  7. SSH 터널링을 이용한 CCTV 원격접속 보안기법 vol.17, pp.11,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6.17.11.148
  8. Security Problems and Measures for IP Cameras in the environment of IoT vol.24, pp.1, 2019, https://doi.org/10.9708/jksci.2019.24.01.107
  9. 영상보안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연산알고리즘 비교분석 vol.19, pp.5, 2012, https://doi.org/10.33778/kcsa.2019.19.5.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