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지리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제18권1호
- /
- Pages.71-85
- /
- 2012
- /
- 1226-7392(pISSN)
- /
- 2586-1468(eISSN)
결혼이주여성의 거주 분포와 민족적 배경에 관한 소고 : 베트남.필리핀을 중심으로
The Study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Ethnic Background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 류주현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Ryu, Ju-Hyu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1.02
- 심사 : 2012.01.07
- 발행 : 2012.02.29
초록
결혼이주자는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보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그 영향은 결혼이주자들의 자녀로 인해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중요한 지역연구 대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인 거주지 형성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주거지 선택과정이 외생적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졌을지라도 점차 이주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생적 자발적으로 거주지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결혼이주자들의 주거지 분리과정은 자발적인 선택이 거의 어려운 상황에서 이주할 뿐만 아니라 이주 후에도 주거지 변동 혹은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 주거지 분리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지역사회가 선택한 결혼이주자들의 민족적 배경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국적별 결혼 이주자의 주거지 분포 경향과 분리정도를 고찰한 후 베트남계와 필리핀계 결혼이주여성의 분포패턴을 중심으로 그 민족적 배경과 집중 분포지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Marriage Immigrants have greater impact on local communities than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all the more because their childre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n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of marriage immigrants. Residential segregation is oft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intensify locality of residential district. Although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cannot freely decide their residential location at the outset, they could change their residence later on. However marriage immigrants are not free from th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continuously. The intentional(involuntary) residential segregation brings differential residence of marriage immigrant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concerned with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ir ethnic background and the community characteristic with focus on Vietnamese and Filipin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asic guideline for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