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Dry Matter Yield,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at Mixture of Rye, Triticale and Legume in Central Region of Korea

중부지역에서 호밀, 트리티케일과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따른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 비교

  • Received : 2011.11.07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growth of rye, triticale with legume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order to select the appropriate forage speci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the results, Rye+Red clover showed 5.2ton/ha of dry matter yie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riticale+Red clover and Rye in upland field. In paddy field, Rye+Hairy vetch showed 5.2ton/h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riticale+Hairy vetch and Rye. Mixture effects with Rye, Triticale and Red clover, Hairy vetch by relative yield were more than 1.00 compared to monoculture, and their mixture effect was recognized in upland and paddy field. Relative feed value was highest in the applications of Triticale mixture in upland and paddy field. The average value of $K_{CP}$ and $K_{TDN}$ showed the highest one as 2.75head/ha/yr in Rye+Red clover in upland field and 2.84head/ ha/yr in Triticale+Hairy vetch in paddy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s, Rye+Red clover in upland field and Triticale+Hairy vetch in paddy field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winter forage crops for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terms of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본 실험은 중부 지방에서 Rye(곡우)와 Triticale(신영)의 단, 혼파 실험을 통하여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을 조사하여 중부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계 사료작물의 건물수량은 밭토양에서는 R+R이 5.20ton/ha로 가장 많았으나 R, T+R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논토양에서는 R+H가 5.20ton/ha로 가장 많았지만 T+H, R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모든 시험구에서 단파구에 대한 혼파구의 상대수량이 1.00보다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상대사료가치는 밭토양, 논토양 모두 Triticale 혼파구에서 다른 시험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축사육능력은 $K_{CP}$$K_{TDN}$의 평균값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밭토양에서는 R+R이 2.75, 논토양에서는 T+H가 2.84로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부 지방에서 동계 사료작물 생산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초종은 밭토양에서는 Rye+Red clover 혼파이며, 논토양에서는 Triticale+Hairy vetch 혼파라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 박준혁․박상수․노진환․윤기용․이주삼. 2011.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9(3): 373-384.
  3.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 2004.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 (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한초지 24(3): 207-216.
  4. 유인수․임선준. 1999. 가축분 시용량에 따른 작물의 수량반응과 시비량 절감효과. 한초지 32(3): 232-238.
  5. 윤세형․김종근․정의수․성시홍. 2007.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체 계에 관한 연구. 한초지 27(4): 275-280.
  6. 이주삼. 2006. 자원 순환형 농업을 위한 유기경종(자원순환형 유기농업 표준 모델 개발). 농림부.
  7. 이주삼. 2009. 조사료 생산 및 이용확대를 위한 연구. 한국축산경영연구원.
  8. 조익환. 2003. 지역별 순환농업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문(1): 69-83.
  9. 조익환. 2006.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4(1): 69-83.
  10. 주정일․이정준․박기훈․이희봉. 2009.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사료가치 변화. 초지조사료지 29(3): 187-196.
  11. 축산과학원. 2007. 한국가축사양표준(한우).
  12. Anon. 1973. Rondup(R) herbicids formulation of isopropylamine salt of glyphosate (N-phosphonomethglycine). Postmergence herbicide. Monsanto Agric. Div., St, Louis. Missouri. Tech. Bull. Mon 0573-2-73.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14. Briggle, L. W. 1959. Growing Rye. U.S.D.A. Farmers' Bull. No. 2146.
  15.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C.
  16. Holland, C., Kezar. W., W. P., Lazowski. E. J., Mahanna, W. C. and R. Reinhart. 1990. Pioneer Forage Manual :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p. 1-55.
  17.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AG-FO-2637.
  18. Loomis, R. S. and D. J. Connor. 1998. Crop ecology. p. 28.
  19. Martin, J. H., W. H. Leonard, and D. L. Stamp. 1976. Principle of field crop production. Collier MacMillan Pub. London. Third ed.
  20.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s of cereal and legume forages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J. Agric. Sci., 98: 17-21. https://doi.org/10.1017/S0021859600041058
  21. SAS. 2002.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